d라이브러리
"외부"(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신호를 이용해 온몸의 기관들과 뇌를 연결하는 세포. ‘뉴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외부에서 주어지는 자극을 뇌로 전달하고, 반대로 뇌의 명령을 몸 곳곳으로 전달한다. 해부 연구소사람 뇌를 직접 열어서 본다!뇌를 과학의 마지막 미개척지이자 인체 속 우주라고 부른다고? 아주 마음에 드는 ...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곡선이 때에 따라 V자형으로 바뀌기도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어떤 사물과 현상이 외부에서 영향을 받으면 카타스트로피가 일어나 급격하게 바뀐다. 영국의 심리학자 제럴드 피셔가 1967년에 그린 그림은 보는 사람이 어떤 관점으로 보는가에 따라 남자의 얼굴 또는 벌거벗은 채 앉아 있는 여인으로 ... ...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사망시계는 흐른다신기하게도 주변 온도와 구더기 성장 속도는 거의 정비례한다. 파리는 외부에서 열에너지를 받아 성장하는 변온동물이기 때문이다. 온도가 너무 올라가면 오히려 성장을 멈추는 경우도 있지만, 임계점이 40~50℃라 웬만해선 넘지 않는다. 온도가 0℃에 가깝게 너무 내려갔을 때도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연결돼 있다. 뉴런은 수상돌기, 신경세포체, 축삭, 축삭말단 등으로 이뤄져 있다. 외부에서 주어진 자극은 세포체 주변을 둘러싼 나뭇가지 모양의 수상돌기로 전달된 뒤, 길게 뻗어 나온 섬유 가닥인 축삭을 통해 축삭말단으로 이동한다. 인공신경망도 비슷하다. 데이터가 입력단(수상돌기)을 통해 ... ...
- Part 1. MERS 진실 혹은 거짓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만큼 그 안에 포함된 바이러스의 양도 적을뿐더러 환기구를 통해 바이러스가 살 수 없는 외부 환경으로 빠져 나간다. 공기 전파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증폭시켰던 평택성모병원의 경우는 예외사례다. ‘하필’이 세 번이면 사고가 발생한다고 했던가. 하필 최초 환자가 그 병원에 입원했던 시기는 ... ...
- 소라가 해저 압력 이기는 비결은 나사 모양!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들어 있는 피부와 내장을 최소로 다치게 하는 구조라고 덧붙였습니다.조개와 소라는 외부 압력으로부터 버텨내기 위해 오랫동안 껍데기 모양을 진화시켜왔습니다. 인도과학연구소 연구팀은 이런 구조를 자동차 부품이나 건물 디자인에 적용하는 연구를 할 계획입니다 ... ...
- 긁적긁적~! 가려움 극복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나오는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이 가려움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어요. 히스타민은 외부의 자극이 가해졌을 때 우리 몸을 방어하기 위해 분비되는 물질이에요. 피부 진피층에 있는 ‘비만세포’가 활성화 되면 그 안에서 분비되지요. 우리 몸은 나쁜 세균이나 물질이 들어오면 백혈구가 나와 이를 ... ...
- [교과연계수업] 긁적긁적, 환절기에 피부가 더 가려운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나오는 ‘히스타민’이라는 물질이 가려움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어요. 히스타민은 외부의 자극이 가해졌을 때 우리 몸을 방어하기 위해 분비되는 물질이에요. 피부 진피층에 있는 ‘비만세포’가 활성화 되면 그 안에서 분비되지요. 우리 몸은 나쁜 세균이나 물질이 들어오면 백혈구가 나와 이를 ...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또는 열에너지로 바뀌는데, 그 중 운동에너지는 갇혀 있던 물질(빨랫줄의 빨래)을 외부로 분출시킨다. 이게 바로 태양분출현상이다. 지난해 말 나온 ‘네이처’ 논문은 바로 이 과정을 모형을 이용해 상세히 예측한 연구였다. 자기력선의 변덕, 태양 미스터리의 원인일까또다른 현상에 의해 물질 ... ...
- 금연 성패, 답은 정해져있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같은 신체 내부 감각을 결정하는 부위인 뇌섬엽(Insula)과 촉각, 압력과 같은 신체 외부 감각을 느끼는 부위인 체감각피질이 동시에 활성화 된 것. 뇌섬엽은 담배를 피울지 피우지 않을지를 결정해 뇌로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하는 기관으로, 뇌섬엽과 뇌의 다른 부위 간 연결고리를 찾아낸 것은 이번이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