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자
구성원
알맹이
극소량
티끌
미립자
브이
d라이브러리
"
입자
"(으)로 총 2,810건 검색되었습니다.
[비주얼 과학교과서] 무시무시한 죽음의 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돌아다니지는 못하고, 어느 한 곳을 중심으로 진동을 해요. 온도가 높을수록 고체 속
입자
들의 진동폭도 크고 속도도 빨라요. 반면 온도가 낮을수록 진동폭도 작고 속도가 느리지요.한편, 차가운 물질과 따뜻한 물질이 접촉하면 차가운 물질은 온도가 높아지고 따뜻한 물질은 온도가 낮아져요. 열이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플라스마에 전기장과 자기장을 걸어 원하는
입자
를 빔 형태로 걸러낸다. 걸러진
입자
를 가속시켜 다른 물질에 쪼이면 그 물질의 물리량과 구성 물질 등을 알아낼 수 있다.
입자
가속기 기술은 미래형 우주 로켓인 이온 추진 로켓에 활용할 수 있다. 이온 추진 엔진의 원리는 양이온 가속기의 원리와 ... ...
[지식] 최고의 방정식을 소개합니다!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교수는 ‘디락 방정식’을 최고의 방정식으로 꼽았다. 박 교수는 “자연의 기본
입자
인 쿼크와 전자의 행동을 기술하는 이 방정식이 간결하면서도 아름다운 방식으로 상대성 이론과 양자역학의 정수를 모두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김재경 KAIST 수학과 교수는 신경세포의 원리를 ... ...
Part 2. 우주는 거대한 플라스마 실험실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보이지만, 실제로는 고도 100km 이상의 대기권 밖에서 일어나고 있다. 이런 플라스마
입자
들은 평상시에도 엷은 띠 형태로 북극과 남극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그러다 태양풍의 속도가 빨라지면(지구에 전달되는 에너지가 세지면) 극지역에서 적도 지역으로 이동하며 아름다운 빛 자태를 뽐낸다 ... ...
Part 1. ‘제4의 상태’ 플라스마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전 자들과 반응해 화학적으로 활성도가 높 은 중성
입자
(라디칼)들을 발생시킨다. 이
입자
들은 반응성이 매우 커 화학 반응을 효율적으로 만든다. 저온에서도 화학반 응을 활성화시켜 이온의 화학적 성질과 함께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반도체 제조 나 환경정화, 식품보존 등 다양한 분야에 쓰이고 ... ...
[과학뉴스] 바이러스 질량까지 재는 센서 개발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시간도 수 초밖에 걸리지 않는다. 이정철 교수는 “향후 바이러스나 다양한 나노
입자
들을 진단, 분석하는 장치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입자
물리학 분야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조심스럽게 전망했다.
입자
물리학에서는 자연계에 존재하는 네 가지 힘인 중력과 전자기력, 약한 핵력, 강한 핵력이 우주초기에 통합돼 있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표준모형’이라는 이름으로 중력을 뺀 나머지 ... ...
Part 2. 왓슨과 딥블루는 어떻게 챔피언을 무너뜨렸나
과학동아
l
2016년 03호
배우면서 이런 결정론에 회의가 들기 시작했다. 우주의 모든
입자
는 고사하고
입자
서너 개의 상호작용도 깔끔한 수식으로 풀어낼 수 없다는 데 크게 실망하고 방황했다. 그러던 중 우연히 TV에서 IBM의 체스 컴퓨터 ‘딥블루(DeepBlue)’가 전설적인 체스 챔피언 게리 카스파로프를 이기는 장면을 보게 ... ...
[수학뉴스] 건강을 지키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밝혔습니다. 연구를 이끈 리던 트워록 요크대 수리생물학과 교수는 “단백질 초미세
입자
의 기하학적 모양을 예측하는 것은 새로운 백신을 만들 때 어떤 구조가 유리한지 알려준다”고 밝혔습니다.이 연구는 학술지 ‘생물 물리학’ 2월호에 실렸습니다 ... ...
[지식] 매스미디어_라플라스의 마녀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기체로 승화한다. 만약 이것을 물에 넣으면 거품이 생기면서 순간적으로 만들어진 얼음
입자
가 이산화탄소와 함께 하얀 연기로 날아간다. 아오에 교수는 드라이아이스를 물에 넣어 생긴 흰 연기가 공기보다 무겁다는 점에 주목했다. 황화수소 기체처럼 말이다. 그리고 마도카가 황화수소 중독사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