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조절"(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지속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는 기대가 큰만큼, 앞으로 오토파지를 조절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 기 전에 더 많은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6 노벨과학상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움직였기 때문에 기계라고 보기는 어렵지만, 이런 기계적 움직임을 외부의 자극으로 조절하려는 분자기계 연구의 출발점이 됐다. 분자로 만든 엘리베이터와 인공근육카테네인과 로탁세인을 합성한 소바주 교수와 스토더트 교수는 본격적으로 분자기계의 설계와 합성에 매달리기 시작했다. ...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mRNA는 단백질을 생산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대다수의 miRNA는 하나가 100여 개의 유전자 조절에 관여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사람의 miRNA는 약 1000개이며, 사람의 유전자 절반이 miRNA의 지휘 아래 있다. 지난 10여 년 간의 연구 결과 miRNA는 발생과 세포의 분화, 확산, 죽음, 에너지대사, 항바이러스성 방어 ... ...
- [Knowledge] ‘DHL’ 이노베이션 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멀티콥터의 장점을 모두 취한 설계였다.실제로 파셀콥터는 날개의 각도를 90°까지 조절했다. 이륙할 때는 로터를 하늘로 향하게 해 수직으로 이륙하고, 비행할 때는 로터를 수평으로 바꿔 전진 비행하는 식이다. 안드레아스 비킹 DHL 제품 개발 부사장은 e메일 인터뷰에서 “기존의 멀티콥터 드론은 ... ...
- [Tech & Fun] 사람의 여섯 번째 감각 후보는?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정도, 혈압의 높낮음, 심지어는 세포의 부피 조절이나 이온 농도 조절에도 기계적인 감각이 필수다.최근에는 기계적 감각과 관련한 유전자도 처음으로 발견됐다. 지난 7월 오우택 서울대 약학과 교수팀은 근육의 감각 신경에서 기계적 자 극에 따라 여닫히는 이온채널(기계채널) ...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테일로터가 함께 작용한다. 테일로터는 메인로터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줄이고 방향을 조절하는 데 쓰이지만 양력을 발생하는 데에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게다가 매우 약하다. 결국 NASA는 동일한 축 상에서 위, 아래 프로펠러가 반대방향으로 돌아가는 동축반전식을 선택했다. 만약 비행체 ...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닥친 현실이 정말 나에게 위협이 되는지에 대한 판단을 떨어뜨리고, 스스로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도 떨어지게 한다. 이에 따라 행동이나 습관이 달라지고, 대인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외로움을 아는 사람이 오히려 사교적이고 사회관계를 더 잘 맺을 수도 있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 ...
- [Career] 상식 넘어선 도전, 빛나는 태양전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빛을 낼 수 있을 것이다.유기물 혹은 고분자 기반의 태양전지나 발광소자는 파장을 조절할 수 있고, 휘거나 늘릴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문제는 전기를 만들거나 빛을 내는 효율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이와 반대로 실리콘 같은 무기물 기반의 태양전지나 발광소자는 효율은 높지만, 공정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과학기술원 원더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때 센서가 받는 중력의 방향과 크기를 측정해 기울기를 계산해요. 그에 따라 빛의 밝기를 조절하는 거예요.”또 다른 기둥에 기자단 친구들이 손을 가져다 대자 빛과 함께 음악 소리가 흘러 나왔어요. 기둥 위쪽을 톡 치면 드럼소리가 나고, 기둥 옆을 감싸 쥐면 음악이 연주됐지요. 끊어져 있는 전기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드는 궁금증 한 가지, 왜 하필 홍채일까.홍채는 우리 눈에 들어오는 빛의 세기를 조절하는 근육이다. 얇고 수축성이 있는 엽전 모양의 조리개라고 생각하면 쉽다. 동공괄약근과 동공확대근을 이용해 밝은 곳에선 홍채를 조이고(동공의 크기가 작아진다) 어두운 곳에선 홍채를 푼다(동공의 크기가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