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정"(으)로 총 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하늘에 교통체증이? 정리가 필요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4호
- 웨이포인트는 우리나라 전체를 기준으로 지역별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정한 특정 점이에요. 항공기가 주변의 관제탑과 수시로 교신하며 서로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지요. 비행기는 어떤 지역으로 이동하든지 웨이포인트를 중심으로 경로를 만들고, 이동할 때 이 지점을 꼭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저씨의 탈출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3호
- 눈은 나카야 우키치로의 도표대로 나타나진 않아요. 현대 과학자들도 아직 눈송이가 특정한 모양을 띠는 과정을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하지요. 다만, 눈송이는 주변의 습도가 높을수록 크고 복잡한 형태로 자라는 경향이 있답니다. 습도가 낮을 땐 상대적으로 결정이 천천히 성장하기 때문에 육각형 ... ...
- 우리가 몰랐던 여성 과학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만들어내는 유전 정보의 단위를 유전자라고 해요. 20세기 초만 해도, 유전자는 염색체의 특정한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었어요. 그런데 사실 유전자는 염색체의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움직일 수 있어요! 이를 ‘트랜스포존’이라고 하지요. 미국의 유전학자 바버라 매클린톡은 움직이는 ... ...
- 노벨화학상, 생물로 단백질 공장을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항체를 찾는 데 박테리오파지 기술을 썼어요. 다양한 항체들이 섞여있을 때, 이들 중 특정 단백질과 잘 붙는 항체들을 골라내기 위해 이 기술을 쓴 거예요. 덕분에 암세포에만 달라붙는 항체 약물을 개발할 때 큰 도움이 되었답니다 ... ...
- 특명! 태풍을 읽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0호
- 또한 GPM 위성은 물 입자의 움직임을 입체적으로 읽어내 태풍에서 비가 쏟아지는 특정 부분을 찾고, 태풍의 성장 가능성 등을 예측할 수 있어요. 일반적으로 태풍의 바깥쪽에서는 비교적 적은 양의 비가 내리고, 중심 근처에서는 폭우가 내린답니다. 이런 예측을 토대로 강수 수준에 맞는 대비책을 ... ...
- [실전! 반려동물] 호야가 하루종일 발만 핥아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9호
- 그림자를 하염없이 쫓거나 입에 꼬리를 물고 도는 것도 강박증의 한 증상이에요. 또 특정 물건을 계속 핥거나 방의 모서리를 따라 멈추지 않고 뛰기도 한답니다. 한편 반려묘의 대표적인 강박 행동은 자신의 털을 반복적으로 핥는 거예요. 이런 행동은 방광염으로 인한 복부의 통증이 원인일 수 ... ...
- AI 해설 경기 내용을 정확하게 표현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주축을 이룬 ASUAIC 팀이 우승했어요. 팀과 선수 정보를 구체적으로 전달했고, 퇴장과 같은 특정 상황에 대해 정확하게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았답니다. 팀의 리더인 치아 유 박사는 “실제 축구 경기를 보며 해설가들이 어떤 식으로 중계하는지 분석했다”며 “해설가들은 현재 선수들과 공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두 번째 아이템의 행방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8호
- 줄기세포는 여러 종류의 신체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세포지요. DNA의 특정 부분을 잘라낼 수 있는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로 네안데르탈인의 DNA를 줄기세포에 집어넣고, 이를 배양시키는 거예요. 네안데르탈인의 DNA 정보는 2010년에 뼈 화석에서 추출했지요.연구팀이 만들 미니 ... ...
- [지구사랑탐사대] 뜨거운 도시의 비밀을 밝혀라! 매미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이외에는 매미를 주식으로 하는 포식자도 드물다"고 덧붙이셨죠. 매미의 울음은 특정한 온도와 관련 있어요. 예를 들어 참매미는 23℃, 이보다 높은 온도를 좋아하는 말매미는 27℃가 넘는 순간 스위치가 켜지듯 일제히 울기 시작해요. 장이권 교수님은 “매미의 울음을 관찰하면 도시의 이상고온 ... ...
- [통합과학 교과서] 전세계를 거미줄처럼 연결한다?! 해저 케이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신호를 전달하는 물질로, 머리카락 굵기의 가느다란 유리로 이루어져 있어요. 이 유리에 특정 각도 이상의 빛을 비추면 빛이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고 광섬유 내부에서만 반사가 일어나요. 이를 ‘전반사’라고 하지요. 이 때문에 에너지 손실이 없어서 아무리 먼 곳이라도 신호를 빠르게 전달할 수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