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식
데이터
인포메이션
뉴스
자료
보도
information
뉴스
"
정보
"(으)로 총 14,600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게시판] 하나로, 아시아 유일 IAEA 국제연구용원자로센터 재지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지난 2019년 아시아 최초로 ICERR 지정을 받은 이후 올해 재지정 받았다. ■ 과학기술
정보
통신부(과기정통부)는 류광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19일 ‘제20차 미소공감’의 일환으로 경기 성남시에 있는 양자통신기업 'IDQ코리아'에서 양자분야 간담회를 갖고 연구현장을 방문했다고 밝혔다. 이번 ... ...
기본입자 '쿼크'의 고에너지 양자얽힘 세계 최초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상태의 양자 얽힘 상태를 LHC에서 구현했다"며 "LHC와 같은 고에너지 충돌기를 양자
정보
, 양자역학 기초 문제를 연구하는 실험실로 활용할 수 있는 길을 열었다"고 밝혔다. - doi.org/10.1038/s41586-024-07824-z - doi.org/10.48550/arXiv.2406.0397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명의 기원 찾는 과학자들
2024.09.19
실험으로 오파린의 가설은 힘을 얻었지만 같은 해 DNA 이중나선 발견으로 생명의 기원이
정보
의 문제가 되면서 물리화학 현상에 기반한 코아세르베이트는 관심에서 멀어졌다. 그런데 코아세르베이트 내부에서 RNA가 유지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RNA 세계의 플랫폼으로 다시 주목을 받기 ... ...
"임신 중 뇌 구조 바뀌어"…산후우울증 원인 밝힐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지금이 2024년인데도 임신 중 여성의 뇌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에 대한
정보
가 거의 없다는 것은 꽤 충격적"이라며 "이전 연구에서는 임신 전후의 뇌를 스캔했을 뿐 이번 연구처럼 변화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뇌 지도가 만들어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임신 중 뇌 구조의 변화가 ... ...
뇌 표면 밀착 전자패치, 약 안 듣는 뇌질환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4.09.19
시행하려면 대뇌 표면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인 대뇌피질전도를 실시간 피드백
정보
로 활용하는 뇌파 계측 기술이 필요하다. 문제는 대뇌피질전도를 계측하는 전극 소자가 뇌 조직의 복잡한 곡면에 밀착할 수 없다는 점이다. 초음파 자극 시 접촉면에서 음압 진동에 의한 극심한 잡음이 발생하면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G20 연구혁신장관회의 참석
동아사이언스
l
2024.09.18
로고. 과기정통부 제공 ■ 과학기술
정보
통신부는 황판식 연구개발정책실장이 대표로 19일 브라질 마나우스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연구혁신 장관회의에 참석할 예정이라고 18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글로벌 난제 해결 과정 내 과학기술혁신 협력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G20 실무그룹으로 ... ...
유상임 장관 "원자력, 탄소중립 핵심 수단…북한 핵 규탄"
동아사이언스
l
2024.09.18
방류가 국제 기준을 준수해 안전하게 이뤄지도록 IAEA가 실효적 모니터링과 투명한
정보
공개를 지속할 것을 당부하기도 했다. 또 러시아-북한 간 군사협력 확대를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하며, 북한의 불법 핵·미사일 프로그램에 대해 강력히 규탄한다는 정부 의지도 표명했다. 유 장관은 17일 ... ...
'인체 씨앗' 단계까지 구현한 인공배아…윤리 논쟁 재점화되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9.17
차이점을 비교하는 연구가 대표적이다. 다만 이러한 방식도 세포 위치와 같은
정보
는 놓칠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 doi.org/10.1038/d41586-024-02915- ... ...
숨어 있던 6000만 년 전 대륙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9.16
분리되어 떨어져 나간 바다 밑의 땅을 의미합니다. 연구팀은 지각의 역사에 관한
정보
를 알아내기 위해 지각 두께, 지진 반사 데이터 등을 분석했어요. 그 결과 발견된 대륙의 두께는 19~24km로 다른 소대륙에 비해 비교적 두꺼운 것이 특징이었습니다. 또 이번에 발견된 소대륙은 약 6100만 년 전에 ... ...
레이저로 모기 위치 알려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9.16
영상을 컴퓨터로 보내면 컴퓨터는 모기 등 다양한 물체의 형태와 움직임을 학습한
정보
를 바탕으로 촬영한 사물이 모기인지 아닌지 판단합니다. 그런데 밤이 돼 어두워진 방에서는 카메라가 주변 사물을 찍을 수 없어요. 이때는 비지고 아이리스의 조명이 주변에 적외선을 방출합니다. 적외선은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