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
날씨
일기
기후
양미간
눈살
미간
뉴스
"
천문
"(으)로 총 2,295건 검색되었습니다.
달과 비슷한 크기에 태양 질량 1.35배 '극단적' 백색왜성 확인
연합뉴스
l
2021.07.01
백색왜성의 '극단'을 보여주는 별이 새로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다. 하와이 W. M. 켁
천문
대와 외신 등에 따르면 캘리포니아공과대학(Caltech)의 천체물리학자 일라리아 카이아조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지구에서 약 130광년 떨어진 곳에서 관측된 백색왜성 ZTF J1901+1458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 ...
블랙홀이 중성자별 먹어치웠다…블랙홀과 중성자별 충돌로 생긴 중력파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21.06.30
블랙홀이 중성자별과 충돌해 합쳐지는 모습을 나타낸 상상도. Carl Knox, OzGrav / Swinburne 제공 지구에서 약 9억 광년 떨어진 은하에서 블랙홀이 중성자별 ... 기대한다. 이 단장은 “한국중력파연구협력단도 중력파 데이터를 이용해 알아낼 수 있는
천문
학 난제를 연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금성 대기 중 수분 너무 적어 지구 호극성균조차 생존 못해
연합뉴스
l
2021.06.29
존재할 수 있을 만큼 수분을 갖고있는지에 초점을 맞춘 연구 결과를 과학 저널 '네이처
천문
학'(Nature Astronomy)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황산 농도가 높은 금성 대기의 수분 가용성을 나타내는 '수분활성도'(water activity)가 0.004로 지구의 100분의 1에도 못 미쳐, "생명체 활동에 필요한 수준과는 너무 ... ...
인류문명 등장 이후의 지구를 본 별 얼마나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6.28
지구의 존재를 찾아 나설 수 있다는 시점전환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새롭다.
천문
학자들은 이번 연구가 외계생명체 탐사 목표의 우선 순위를 설정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칼테네거 교수는 “이들 별은 우주라는 거대한 극장의 가장 앞좌석에 앉아 인류를 지켜보고 있는 것과 ... ...
아포피스 지구 충돌 확률 커졌나…6월 30일은 ‘국제 소행성의 날’
동아사이언스
l
2021.06.27
27일 밝혔다. 유튜브 생방송은 30일 오후 7시 30분부터 약 90분간 진행된다. 김명진 한국
천문
연구원 우주위험감시센터 선임연구원이 출연해 소행성을 집중 조명하는 시간도 마련된다. 유엔은 2016년 매년 6월 30일을 국제 소행성의 날(International Asteroid Day)로 지정했다. 1908년 6월 30일 러시아 퉁구스카 ... ...
'별의 탁아소' 둘러싼 가스 거품, 별 생겨날 때마다 팽창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6.25
정확한 위치를 파악했다. 이를 통해 거품의 3차원 구조를 복원했다. NASA의 성층권적외선
천문
대(SOFIA)가 우주를 관측하는 모습의 상상도다. NASA 제공 그 결과 거품은 계속해 항성풍을 받다가 결국 터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속에서 다시 별이 태어나면 새로운 거품이 다시 팽창하기를 반복하는 ... ...
우주기술 자립 목표 2022년 4019억원 투입 11.2%증액 …누리호 상용화·한국형GPS 중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21.06.24
참여하는 협정을 미국과 체결하는 등 우주 분야 한미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 한국
천문
연구원은 아르테미스에서 달 과학임무를 위한 과학탑재체를 개발해 미국 민간 달 착륙선에 실어보내는 상업 달 탑재체 서비스(CLPS)에 참여해 탑재체를 개발하고 있다. 이경수 과기정통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2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뉴턴이 무너졌다
2021.06.24
그전까지 잘 보이던 북한산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됐다. 만약 새 단지의 질량이
천문
학적으로 엄청나게 무겁다면 북한산에서 나오는 빛이 새 단지 주변에서 급격하게 꺾여 우리 집 창문으로 들어올 수도 있다. 그러니까 발광체 앞에 뭔가 장애물이 있더라도 그 장애물의 질량이 엄청나게 크면 장애물 ... ...
NASA는 왜 인체 혈관·조직 연구 경진대회를 열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6.21
수치가 증가하고 장내미생물 변화, 망막 신경 두께 변화 등이 제시됐다. 황정아 한국
천문
연구원 책임연구원은 “우주인이 우주환경에서 겪는 것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미세중력과 우주방사선”이라며 “달 기지를 건설하고 심우주 유인 탐사를 위해서는 결국 방사선과 미세중력에 의한 인체 영향 ... ...
[주말N수학] 수학과 문학의 수상한 만남, 시인 함기석
수학동아
l
2021.06.19
어렸을 때부터 상상하거나 모험하는 걸 좋아해 탐험가나
천문
학자를 꿈꿨습니다.
천문
학 같은 과목을 공부할 때 수학이 필수라는 점도 수학을 좋아한 이유였습니다. 그런데 대학에서 배우는 수학은 고등학교 때보다 난이도가 훨씬 높아서 공부하기 힘들었습니다. 그럴 때 짬짬이 시간을 내서 ... ...
이전
81
82
83
84
85
86
87
88
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