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제안"(으)로 총 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역사]프리스틀리, 과학을 위해 살고 과학을 위해 죽다KISTI l2014.04.10
- 794년 미국으로 망명길에 올랐다. 미국에 도착하자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화학 교수직을 제안했지만 그는 사양하고 노섬벌랜드라는 작은 마을에 정착했다. 그는 손을 대는 것마다 대박을 터뜨리는 행운의 사나이였다. 현재 세계인들을 즐겁게 만드는 청량음료의 아이디어를 집근처 양조장의 ... ...
- 고(古)게놈학 30년, 인류의 역사를 다시 쓰다동아사이언스 l2014.04.01
- 금시초문인 제자의 연구에 대해 화를 내기는커녕 너그러이 패보 단독 저자로 보내라고 제안했다!), 논문은 이듬해 실렸다. 패보는 학위를 받은 뒤 박사후연구원으로 그에게는 반신demigod 같은 존재인 앨런 윌슨의 교수팀에 가려고 하던 차에 윌슨 교수의 서신을 받는다. “패보 교수님께”로 ... ...
- [MATH] 트로이 전쟁과 원주율 KISTI l2014.03.19
- 살육을 원치 않으니 양쪽의 장수끼리 싸워 이기는 쪽이 전쟁에서 이기는 것으로 하자고 제안한다. 데살리에서는 거구의 보아그리우스가 나오고 아가멤논 쪽에서는 아킬레스가 나온다. 그 결과 아킬레스는 단칼에 상대 장군을 죽이고 전쟁에서 쉽게 승리로 이끈다. 이 장면은 트로이 전쟁의 주인공이 ... ...
- [만화] 곤충이 미래의 식량?!KISTI l2014.03.14
- 단백질을 구할 방법은 막막하거든.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곤충을 길러 먹자고 제안한 거란다.” “곤충이 그렇게 영양성분이 좋아요?” “단백질과 몸에 좋은 지방이 풍부하고 칼슘, 철, 아연 등 무기질 함량도 높은데다, 같은 먹이를 단백질로 전환하는 효율성 역시 뛰어나단다. ... ...
- 나눔연수 [제1회]동아사이언스 l2014.03.11
- 교사가 참가했다. 이번 나눔연수에는 이혁 용마중 교사가 ‘발명·영재반 수업 제안’이라는 주제로 강사로 나섰다. 30년 넘도록 발명반을 이끌었던 이혁 교사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발명수업 주제를 소개하고, ‘색팽이 만들기’와 ‘돌아오는 바퀴’를 직접 만드는 수업을 진행했다. ... ...
- 이공계 CEO시대의 최고기술경영인(CTO), 강단에 서다KOITA l2014.03.11
- 있다. ‘CTO특강’은 자발적 재능기부의 형태로, CTO클럽이 직접 기획하고 대학에 제안하여 개설되었으며, 학생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번 특강은 서울대, KAIST 등에 이어 8번째 진행되는 강연으로 공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기존강연과 달리 인하대학교 모든 단과대 학부생들이 수강할 수 ... ...
- 미스터리 불빛과 지진 예지KISTI l2014.03.04
- 어려운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역설적이게도 지진 예지와 관련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안되는 것은 지진을 효과적으로 예측하기가 어려움을 반증한다. 최근 들어 지진 발생과 관련한 물리적 현상에 부합하는 보다 현실적인 관측 방법들이 제시되고 있다. 지진 발생 전에 단층대를 중심으로 ... ...
- 해면의 진실동아사이언스 l2014.02.25
- phylum)으로 분류해야 한다고 결론짓고 ‘텍토마이크로비아(Tectomicrobia)’라는 새로운 문을 제안했다. ‘숨기다’ 또는 ‘보호하다’라는 뜻의 라틴어 테게레(tegere)에서 따온 이름으로, 이 박테리아가 오랫동안 실체를 숨겨왔다는 사실과 독소물질을 분비해 자신과 숙주인 해면을 보호한다는 걸 ... ...
- 2014 갑오년 기념, 말의 진화 이야기KISTI l2014.01.06
- 부임한 프르제발스키는 28세 때인 1867년 러시아지리학회에 시베리아를 조사하겠다는 제안서를 내 지원을 얻는데 성공한다. 1869년까지 실컷 돌아다니다 온 그는 ‘우수리 지역 여행’이라는 탐사일지를 책으로 펴내기도 했다. 그 뒤 네 차례에 걸쳐 한 번에 2~3년 걸리는 중앙아시아 탐사여행을 하면서 ...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동아사이언스 l2013.12.23
- 존 험프리의 세미나를 듣고 면역계로 관심을 돌렸다. 때마침 1957년 연구소가 험프리의 제안에 따라 면역학 분과를 열면서 아스코나스는 창설 멤버로 참여했다. 아스코나스는 백혈구 가운데 항체를 만드는 B세포를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그 결과 특정 B세포 클론이 특정 항체를 만든다는 사실을 ... ...
이전81828384858687888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