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즉석
곧
즉시
당장에
직접
꼭
varo
d라이브러리
"
바로
"(으)로 총 11,958건 검색되었습니다.
테러범 잡는 탐지견의 세계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종을 울렸다. 나중에는 종소리만 울려도 개는 침을 분비하며 음식 먹을 준비를 했다.
바로
뇌의 통제를 받는 조건반사다. 탐지견의 경우에도 계속적인 훈련을 통해 탐지활동에 성공할 때마다 보상이 이뤄진다는 사실이 머리에 완전히 새겨진다. 그래야 개는 무의식적으로도 끊임없이 폭발물을 ... ...
거미줄 인터넷에 온기를 불어넣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종이책을 한장 한장 넘기면서 보는 것과는 달리, 한 화면에서 관련 정보를
바로
찾을 수 있도록 해 준다. 하나의 문서에서 몇단계를 거치면 전혀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이 기술이 전세계 네트워크의 근간이다. ‘지구상의 모든 사람이 다섯 다리만 건너면 안면식이 있다’는 서양 속담은 ... ...
바람과의 맨몸 승부 - 첨단사이클의 질주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제한하는 가장 큰 골칫거리이다. 그리고 페달을 돌릴 때 발생하는 저항의 약 70-90%가
바로
이 저항이다. 그래서 무릎을 모아 페달을 돌리는 것이 좋다.다른 하나는 움직이는 물체의 표면에 의한 저항, 또는 표면마찰력이다. 표면저항은 자전거와 사람의 표면에 의해 발생한다. 그래서 사이클선수는 ... ...
2. 가상과 실제 구분 안되는 디지털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학자들의 설명에 따르면 진시황릉이 있는 지하 깊숙한 곳은 사방이 수은으로 막혀있다.
바로
발굴에 들어갈 수도 있겠지만 지하궁전을 발굴하기 위해 개방할 경우 내부 부장품들이 산화돼 손상된다. 따라서 산화로 인한 부식기술을 제어할 수 있는 신기술이 나오기 전까지는 그대로 덮어둬야 한다. ... ...
2 칩 속으로 들어간 생물학 실험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꿈쩍도 하지 않는다. 왜 이토록 물방울은 개미에게 강력한 젤리와도 같을까. 이것이
바로
미시세계에서 유체가 갖는 특성을 보여주는 예다.미시세계에서 유체는 우리가 알고 있던 거시세계와는 다른 현상을 보여준다. 우선 물방울 속에 갇힌 개미에게 물은 매우 끈적끈적한 늪처럼 느껴진다. 이는 ... ...
4 세계 수준의 한국형 MEMS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숙련도가 내시경 진단에서 중요한 점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이다. 자율구동 대장내시경이
바로
이런 것이다.그러나 무엇보다도 살아있는 돼지 대장에서 실험이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는 점이 지능형마이크로시스템개발사업단의 가장 큰 개가다. 자율구동 능력을 소유한 내시경 개발에 미국 ... ...
항공우주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초음속으로 나는 비행기나 우주공간을 향하는 로켓에 사용되는 재료는 어떤 것일까.가벼우면서 강하고 고열에도 끄덕없는 재료인 항공우주재료를 만나보자. 얼마 전 K ... 만든 캔이 아니듯 재료에 대한 연구는 주변에서 많이 사용되는 물건의 재료를
바로
아는 일에서 출발하지 않을까 ... ...
전자레인지에 목욕시킨 애완견을 넣는다면?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이는 제품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큰 위험사고가 뭔지를 생각하면 쉽게 답할 수 있다.
바로
감전과 화재다. 감전과 화재는 제품이 노후됐거나, 번개, 그리고 비정상적인 사용에 의해서 일어날 수 있다. 예를 들어 벼락이 집에 내려쳤다고 하자. 번개의 전기에너지는 피뢰침을 통해 대부분 땅으로 ... ...
해리포터 vs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이루며 독립된 장르를 형성해나가고 있다. 쉽게 말해 요즘 가장 ‘잘 나가는’ 소설이
바로
판타지다. 그러나 국내에서 판타지는 문학의 장르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문학계의 보수성을 그 이유로 꼽는 사람들도 있지만, 작가들의 노력이 부족한 것에도 그 원인이 있다. 대부분의 판타지 ... ...
과학문화교육 전도사 박승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어렵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끊임없이 처음 이야기 하듯이 말하는 사람이 있다.
바로
과학교육계의 대부로 불리는 박승재 교수(서울대 물리교육과)가 그 주인공이다.1976년 과학교육이란 말조차 생소하던 때에 과학교육학회를 만들며 한국과학교육의 토양을 일궈낸 박승재 교수가 요즘은 ... ...
이전
856
857
858
859
860
861
862
863
8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