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력
흰눈
백설
눈발
눈길
눈초리
시선
d라이브러리
"
눈
"(으)로 총 9,617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남·낙동강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북쪽 연안에는 워낙 해상교통량도 많아졌으니까 그렇다치고 남쪽연안도 줄어드는 것이
눈
에 보입니다. 그런 와중에서도 둔덕면 근처에서 쇠백로를 19개체 발견한 것은 큰 수확입니다. 김영채선생님이 돌산에서 발견한 쇠백로 40개체와 함께 백로 서식지 연구가 진행됐으면 합니다.정진규 ... ...
신형 김양식구 만든 윤유택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우리나라를 위해 훌륭한 발명을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이번에는 기차대신 바다로
눈
을 돌렸다. 완도에 실험실 역할을 하는 양식장을 조금 사서는 자신이 개발한 새로운 양식기구로 김 기르는 일을 시작한 것이다. 당시 우리나라의 김은 국내는 물론이고 일본에서 특히 인기가 높아 어디서 ... ...
21세기 미래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대도시가 과밀화되고 토지가 부족해지면서, 또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면서 인간이
눈
을 돌릴 수 있는 곳은 해양이다. 풍부한 해양자원을 효과적으로 이용한 인공섬건설이 추진되고 있다. 종래의 매립방식이 아닌 물에 떠있는 구조를 가진 새로운 형태의 인공섬이 주목받고 있다. 실용화시기는 의외로 ... ...
컴퓨터가 연출하는 「영화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변화하는 피사체를 짧은 시간으로 압축해 영상화하는 기법이다.이러한 현상은 우리의 맨
눈
으로는 볼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보통의 영상과 비교했을때 강렬한 자극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40여시간 걸려 개화하는 장미꽃을 5초동안에 압축, 한 순간에 꽃을 피우는 효과를 얻어낼 수 있다 ... ...
3 지구밖 문명과의 교신도 시도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이용하여 우리들의 오감을 확대시키거나 증폭시킨다. 망원경이나 현미경을 사용하면
눈
으로 볼 수 없던 아주 미세한 세계가 보이고 지구 반대편과도 통신할 수 있다.에너지 파의 중요한 특징은 파가 물질 속을 전달해가는 경우에도 에너지 자체만 움직인다는 것이다. 연못에 돌을 던졌을 때 돌이 ... ...
고려청자 비색의 비밀을 밝힌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좌우된다"고 말한다. "요즘 만들어진 청자나 고려시대 청자 가운데 가끔 균열이 간 것이
눈
에 띄는데 전성기 때 고려청자는 수천년이 지나도 균열이 보이지 않는다. '장인정신이 그 속에 깃들어 있느냐'가 관건이다."국립과학관 정양모 학예실장은 이렇게 풀이한다. "고려청자의 비색과 아름다운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집중탐구/외뿔소자리의 보물겨울철의 대 삼각형 안에는 희미한 은하수의 별들 속에
눈
에 띄지 않는 작은 별들이 외뿔소란 이름의 별자리로 불려지고 있다. 이 별자리는 다소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지만 4등급 이상의 밝은 별은 하나도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일반인들에겐 거의 알려져 있지 ... ...
(3) 전자파 장해 막을 수 없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넓이의 약 50분의 1만큼 떨어진 위치다. 이 정도라면 확실한 이중화면 즉 고스트가 우리
눈
에 보이게 된다. 반사파가 여러 개라면 그 개수만큼의 고스트가 생길 수도 있다. 화면상에서 고스트가 생긴 위치를 측정하면 계산을 역으로 수행해 반사를 일으킨 원인을 찾을 수도 있는데, 이는 레이더의 ... ...
「찻잔속의 태풍」 인공지능 만들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마빈 민스키(Marvin Minsky)였다. 마빈 해글러를 연상시키는 시원한 대머리에 공격적인
눈
매의 민스키는 뉴욕 브롱크스 과학고등학교시절 로젠블랫과 한반 친구였다.1958년 민스키는 남아프리카 출신 수학자인 패퍼트(Papert)와 함께 '퍼셉트론'이라는 제목의 책을 집필하였다, 퍼셉트론을 설명하고 그것을 ... ...
교통사고 원인분석 이것만은 알아두자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비교해 보면 같은 종류의 교통사고란 결코 발생할 수 없음을 금세 알게 된다.방금
눈
앞에서 일어난 교통사고가 이전에 발생했던 교통사고의 복사판이 될 수는 절대 없다. 나중에 그와 똑같은 사고가 다시 일어나지도 않는다. 따라서 교통사고를 조사할때는 이 유일무이한 상황이 벌어진 현장에서 ... ...
이전
858
859
860
861
862
863
864
865
8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