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뉴스
"
대학
"(으)로 총 10,362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하는 총장’ 한양대 이영무 교수 ‘네이처’에 논문 게재
2016.04.28
하니 저희 학교의 연구 역량 자체를 높게 평가하는 분위기가 형성됐다”며 “연구중심
대학
의 수장으로서 연구를 계속 수행하는 것은 자랑스러운 일이 아니라 당연한 일”이라고 말했다. ... ...
현금 없는 금융 서비스, 무인 운송 서비스…10년 후 유망 서비스는?
2016.04.28
금융 서비스 등을 10년 후 등장할 유망 서비스로 선정했다. 이광형 KAIST 문술미래전략
대학
원장이 위원장으로 있는 미래준비위원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뉴노멀 시대의 성장전략’이라는 제목의 미래전략보고서를 27일 발표했다. 위원회는 미래사회 변화를 전망하고 영향력이 큰 이슈들에 대해 ... ...
포스텍, 우수 기업 연구자 교수로 임용한다
2016.04.28
이 밖에도 포스텍은 교수 평가에 산학연구 실적을 반영하고, 여름방학을 90일로 늘려
대학
생들이 방학에 국내외 기업이나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등의 연구소에서 현장 경험을 쌓게 하는 등 저성장 시대를 극복할 인재 양성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 ...
2016 아벨상 수상자 앤드루 와일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다!
수학동아
l
2016.04.27
몰려들었다. 와일스는 훌륭한 아이디어를 완성한 켄 리벳을 포함한 여러 수학자와
대학
원생 앞에서 증명을 완성해 나갔다. 증명을 끝내고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칠판에 쓴 그는 “이쯤에서 끝내는 게 좋겠습니다”라고 말하며 발표를 마쳤다. 순간 우레와 같은 함성과 박수갈채가 쏟아졌다. ... ...
젖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2016.04.25
고개를 끄덕일 것 같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
대학
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 ... ...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꿈은 요리사?
2016.04.24
또 다른 과학자가 쓴 ‘요리책’이 나왔다. 재료물리화학자인 라파엘 오몽 프랑스 파리11
대학
의 교수가 쓴 ‘부엌의 화학자’다. 26세에 최연소로 미슐랭 스타 셰프에 오른 티에리 막스도 도왔다. 과학자와 스타 셰프의 기묘한 만남은 요리를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바로 ‘요리 ... ...
[토요판 커버스토리]가상화폐 어떤 게 있나
동아일보
l
2016.04.23
대학
생 A 씨(26)는 요즘 가상화폐 투자에 성공해 함박웃음을 짓고 있다. 2014년 한
대학
설명회에서 얘기를 듣고 산 ‘이더리움(Ethereum)’의 가격이 수백 배나 치솟았기 때문이다. 당시 A 씨는 또 다른 가상화폐인 비트코인 60만 원어치로 이더리움을 샀다. 자신의 현금을 하나도 동원하지 않고 2년간 ... ...
불에 뛰어드는 불나방, 이제는 옛말?
2016.04.23
연구진은 전했습니다. 실험에 사용된 작은 집나방 - F. Altermatt 제공 바젤 및 취리히
대학
교의 연구진은 나방이 불빛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관찰하기 위해 10종의 집나방1 애벌레를 수집했는데요. 애벌레는 빛 공해가 거의 없는 지역과 장기간 심각한 빛 공해에 노출된 프랑스 동부 및 스위스 북서부 ... ...
치사율 높은 패혈증, 생존율 70%까지 높일 방법 찾았다
2016.04.21
데 역이용한 셈이다. 공동 제1 저자인 이승준 IBS 혈관연구단 연구원(KAIST 의과학
대학
원 박사과정 연구원)은 “보통 치료용 항체는 표적 물질에 결합해 이를 무력화시키는 데 그치지만, 앱타는 표적 물질인 ANG2 단백질의 기능을 정반대로 바꿔 주는 효능까지 있다”며 “아직은 초기 실험 단계지만 ... ...
하늘의 계시? 구름 모양으로 땅위의 동물 밝혀낸다
2016.04.21
관목)의 서식지 위치 및 크기를 정확하고 자세하게 측정할 수 있는 것이지요. 예일
대학
교의 생태학 및 진화 생물학 조교수이자 공동 저자인 윌터 제츠(Walter Jetz)는 “이 기술로 멸종 위기에 직면한 동식물 서식지를 연구 및 관찰할 수 있다”고 말하며 “생물 다양성의 공간 패턴을 이해하는 것은 ... ...
이전
859
860
861
862
863
864
865
866
8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