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틈
거리
틈새
관계
겨를
도중
d라이브러리
"
사이
"(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코골기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그 원인은 다음 둘 중 하나이거나 둘다이다. 첫째로 연구개가 특이하게 길어 입과 목구멍
사이
의 통로 길이가 정상보다 짧은 경우다. 이런 사람이 등을 대고 누운 상태에서 공기를 들이 마시면 편도선과 구개수의 점막이 진동하게 된다. 이 진동이 코를 골 때 생기는 소리의 전형이다.둘째로 우리 ...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구할 수 있다. 불행히도 현재의 관측값은 임계 밀도의 10분의 1에서 임계 밀도의 두배
사이
라는 구간에 있다. 따라서 우주는 닫혀있을 수도 열려 있을 수도 있다(그림5). 이제까지는 우주의 전체적인 구조(즉 유한과 무한의 문제)나 현재라는 시각에서 볼 수 있는 전 우주의 시공간의 단면(그림1)을 ... ...
인류의 미래 형상화한 NASA 우주개발 캘린더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존슨우주센터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 2월/황혼의 랑데부달에 드리운 지구의 그림자
사이
로 햇빛이 비추고 있는 가운데 핵연료운송선이 달착륙선과 도킹을 시도하고 있다. 화성탐사선도 이러한 방법으로 조립되기도 한다. NASA의 핵추진 연구기관에서는 이 방법으로 달과 화성탐사를 수행할 우주선을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과정에서 통과하는 12별자리(황도 12궁) 중의 하나이다. 태양은 매년 12월 17일에서 1월 20일
사이
에 이곳에 머무른다. 태양의 최남단회귀점(태양이 천구상에서 남쪽으로 움직이다 다시 북쪽으로 방향을 바꾸는 지점)이 이곳에 있다. 이 회귀점은 사수자리의 별들속에 있는데 태양이 그곳에 머무는 때가 ... ...
1 제철용 코크스에서 우주정거장까지 날로 확대되는 탄소의 영역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만들어진 상자속에 넣은 후, 상부에서 탄소블럭을 아래로 내려서 탄소블럭과 탄소상자
사이
에 고압의 전류를 흘려보냄으로써 시작된다. 이렇게 1천℃ 전후의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후, 탄소블럭을 양극으로, 탄소상자를 음극으로 함으로써 탄소상자의 하부에 알루미늄금속이 모이게 된다. ... ...
테마에세이/환경과 인간⑦ 바다 쓰레기로 해양생물 몸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삼은 사람들도 생겼을 정도다.바다 위에서 보는 바다와 물안경을 쓰고 들여다 보는 바다
사이
에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 우리나라의 항구와 만내의 여러 곳에는 쓰레기 매립장을 방불케 할 정도로 바다속에 각종 쓰레기가 쌓여 있다. 해변에 가보면 즐비하게 밀려온 쓰레기를 어디에서나 쉽게 볼 수 ... ...
(2) 컬러모니터와 비디오카드 슈퍼 VGA카드 상용화 한창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IBM사의 PS/2 모델 25와 30과 함께 발표되었다.메가헤르츠(MHz)1 메가헤르츠는 초당 1백만
사이
클의 전기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이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처리속도나 모니터의 리프레시 주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사용된다.멀티프리켄시(multifrequency)각 모니터마다 지원하는 수평 수직 주파수가 있다. 슈퍼 ... ...
1 우리 은하 태양도 초속 220㎞로 은하중심을 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풀리지 않은 가장 중요한 문제중의 하나다. 은하가 부서지지 않는 이유 별과 별
사이
의 광활한 공간은 지상의 실험실에서 얻을 수 있는 그 어떠한 진공상태 보다도 더 희박하지만 실제로는 성간물질이라고 불리는 가스와 먼지로 가득 차 있다. 이곳은 또한 별이 태어나는 곳이기도 하다. (사진2 ... ...
4 은하 관측법 달 표면에 천문대를 세워라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실제 거리가 크다. 1pc 떨어진 곳에서 1초의 실제 길이는 약 20만분의 1pc인 지구와 태양
사이
의 거리(1천문단위)에 해당된다. 우리은하 중심에서 1초의 길이는 약 0.05pc이고, 안드로메다은하에서는 3pc, 처녀자리 은하단에서는 60pc에 해당된다. 지구 대기에 의한 분해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 ...
지구한랭화를 주도하는 대빙하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가정하면 언젠가는 또다른 빙기가 내습해 올 것이 틀림없다. 실제로 현재를 빙기
사이
에 있는 하나의 간빙기라고 보는 것이 과학자들의 일반적인 견해다. 그래서 현재를 후빙기(後氷期)라고 부르기도 한다.설령 빙기가 다시 돌아온다고 해도 그것은 적어도 수천년 혹은 수만년 후의 일이 될 것이다. ... ...
이전
860
861
862
863
864
865
866
867
8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