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222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과학계 너무 성과만 생각해… 새로운 아이디어 개척해야”
2015.10.13
활발한 교류 활동을 하고 있다. 자신이 네이처 그룹의 편집장이 된 것을 ‘운 좋게
발견
한 것’을 의미하는 ‘세렌디피티(serendipity)’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마셸 편집장은 “과학자는 평생에 걸쳐 한 분야를 깊이 파고 들지만 학술지 편집장은 그보다 더 넓고 다양한 분야를 접할 수 있다”며 ... ...
만능줄기세포 결정 칼날 쥔 리보솜
2015.10.12
알아냈다. 특히 이 중 6개의 단백질이 리보솜 생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도
발견
했다. 즉, 리보솜의 양에 따라 배아줄기세포가 만능줄기세포 특성 유지여부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아줄기세포는 리보솜의 양이 많고, 단백질의 합성이 왕성하게 이뤄지는 특성을 갖는다. ... ...
대마초의 과학
2015.10.12
규제가 완화되면서 의약용 카나비스 연구가 탄력을 받고 있다. 1992년 최초로
발견
된 내인성카나비노이드인 아나다미드의 분자구조. 내인성카나비노이드는 신경조절물질로 지금까지 150여종이 알려져 있다. - 위키피디아 제공 사실 카나비노이드는 1980년대부터 의약품으로 쓰이고 있다. THC를 조금 ... ...
황토고원에서 날아온 흙먼지가 황허에 쌓인 줄 알았더니…
2015.10.11
연구팀은 황허 침전물의 성분이 황토고원을 지나면서 확연히 달라진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지금까지 황허의 침전물은 대부분 황토고원에서 바람을 타고 날아온 흙먼지가 쌓여 형성됐다고 알려져 있었다. 이 가설대로라면 황토고원과 황허 침전물의 구성 성분이 같아야 한다. 그러나 ... ...
1900년에 살던 사람들이 상상한 2000년
2015.10.11
열린 만국박람회에 전시됐으며, 이후 미국의 과학소설가 아이작 아시모프가 우연히
발견
해 1986년 작품인 ‘미래: 19세기가 본 2000년의 모습(Futuredays: A Nineteenth Century Vision of the Year 2000)’에 소개하기도 했다. 당시 예술가들은 2000년이 되면 전기와 기계가 일상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화장이나 청소, ... ...
현생 인류, 아프리카에서 시작된 거 맞다
2015.10.09
무게를 싣는 결과를 처음으로 얻었다. 연구팀은 에티오피아 남동쪽 모타 동굴에서
발견
된 화석이 유라시안의 유전체를 전혀 지니지 않은 순수 아프리카 혈통이라는 분석 결과를 ‘사이언스’ 9일 자에 발표했다. 온도가 높은 아프리카 지역에서 화석이 수천 년간 온전한 상태로 보존되는 경우는 ... ...
코끼리 도토는 정말 정준하를 기억했을까
2015.10.09
코끼리 무리별 사망률을 분석한 결과, 늙은 암컷이 이끈 무리의 생존율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과거 가뭄에서 살아남은 기억을 갖고 있는 늙은 코끼리가 물과 먹이가 있는 장소로 코끼리들을 이끌었다는 것이다. 탄자니아에는 1858~1961년 극심한 가뭄이 있었는데, 당시 최소 5세였던 코끼리가 3 ... ...
전기 통하는 新 부도체 찾았다
2015.10.09
STM)으로 인듐 원자 전선을 관찰한 결과 특정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솔리톤을
발견
해 여기에 ‘카이럴 솔리톤’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염 단장은 “전자기기는 내부의 트랜지스터에서 전자가 한 번에 수십 개 이상 이동하기 때문에 열이 발생하고 전력 소모도 커진다”며 “원자 전선을 이용해 전자 ... ...
“한때 연구보조원” 터키 의사의 인생역전기
2015.10.08
MutH)가 메틸화된 염기를 인식해 그 염기가 속한 가닥이 주형이라고 판단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즉 메틸화는 DNA복제 이후에 일어나므로 기존 DNA가닥이 새로 만들어지는 DNA가닥보다 메틸화가 된 염기가 많다. DNA는 너무 불안정해도 안 되지만 그렇다고 너무 안정돼도 문제다. DNA복제와 복구가 ... ...
[2015 노벨 화학상] DNA 복구 과정 밝힌 과학자 3명 수상
2015.10.08
잘못된 염기를 잘라내고 그 자리를 새로운 염기로 메우는 ‘염기 절단복구’ 과정을
발견
했다. 모드리치 교수는 두 가닥의 DNA 사이에 짝이 맞지 않는 염기 서열을 골라 고치는 ‘미스매치 복구’ 과정을 밝혀냈다. 산자르 교수는 자외선에 의해 DNA가 손상될 때 염기뿐 아니라 DNA를 구성하는 ... ...
이전
860
861
862
863
864
865
866
867
8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