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뉴스
"
이후
"(으)로 총 12,719건 검색되었습니다.
[제5회 과기장관회의]다부처·인력양성 사업별 맞춤형 예타 추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보다 과학기술계 입장을 대변해 조사를 했다고 자평했다. 2018년 4월 위탁을 받은
이후
1년 1개월 동안 총 43건의 R&D 예타에 착수해 평균 한 해 착수 건수인 11~12건보다 3배 이상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는 각 부처에서 R&D 관련 예타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다. 2018년 한 해 동안 신청한 예타도 91건으로 2015~20 ... ...
원자력 '학사'만 딸 수 있던 방사선 면허, '석사'에게도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원안위는 “특별사법경찰관의 수사가 완료되면 중간조사 결과를 우선 발표한다”며 “
이후
KINS의 전체 조사가 마무리되면 재발방지대책을 수립해 원안위가 심의 및 의결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 ...
북한 아프리카돼지열병 첫 발병...정부 "접경지역 방역 강화해 차단 총력"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비상이 걸렸다. 게티이미지뱅크 아프리카와 유럽을 휩쓸다가 지난해 중국으로 넘어온
이후
아시아로 확산하고 있는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북한에도 발생한 것이 공식 확인됨에 따라 방역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정부는 긴급회의를 열고 북한 접경지역 10개 시군을 ‘특별관리지역’으로 정하는 등 ... ...
AI, 3D 게임서도 인간 꺾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이해한 것은 5만 판을 한
이후
였다. 협동에 필요한 정보는 20만 판을 한 뒤에 이해했다.
이후
35만 판까지는 목표를 설정하고 상대방을 조준하는 기술을 익혔다. 35만 판부터는 다양한 전략을 개발했다. 깃발을 들고 있는 아군을 따라가며 엄호하거나 상대방의 기지를 정찰하고 돌아오는 전략을 ... ...
말레이해파리 대사변화 예측 독일특허 등록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2000년대
이후
매년 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는 노무라입깃해파리. 크기 2m에 무게는 최대 200kg까지 나간다. 바다에서 사람이 독에 쏘이는 경우가 늘고 있다. 이번에 UNIST와 한국해양과기원 연구팀이 게놈을 처음으로 해독해 관련 특성 유전자를 밝혔다. 사진제공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기후변화에 의한 ... ...
7월 민간 주도한 정부 R&D 혁신방안 평가 결과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 설문조사도 실시한다. 점검내용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에 7월
이후
에 보고될 계획이다. 김성수 과기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 “연구현장에는 여전히 일부 규제가 관행적으로 남아 있는 것이 사실이고, 일반국민들과 소통을 강화하여 정책 체감도를 높여갈 필요가 있다”며 ... ...
비흡연자도 폐암 걸리는 원인 규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세포가 암을 발생시킬수 있는 융합유전자를 가진
이후
에도 암세포로 변하기 위해서는 추가 요인들이 오랜 기간 쌓여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고 연구팀은 분석했다. 이번 연구가 흡연과 관계없는 폐암 발생 과정을 밝혀내면서 폐암을 예방하고 미리 선별할 수 ... ...
‘따뜻한 아이스 커피’ 가능할까…상온서 얼음 만드는 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5.30
열린 것이다. 연구팀은 기기에 설치된 초고속 영상기록기술을 이용해 결정을 분석하고,
이후
압력을 세밀하게 조절하는 방법으로 기존에 형성된 얼음 결정(입체인 팔면체 모양)을 납작한 평면 형태의 결정(날개 모양)으로 바꿨다. 연구팀은 얼음을 온도가 아닌 압력으로 제어하는 이번 기술로 ... ...
아시아 암유전체 데이터 모두 한국에 모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0
연간 최대 1만 건의 유전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컴퓨팅 인프라를 구축한다.
이후
한국과 일본, 중국 등 아시아 국가에서 생산된 유전체 데이터를 처리할 계획이다. 지역 데이터센터 유치로 한국은 국내에서 생산된 암유전체 데이터와 함께 글로벌 임상 암유전체 데이터를 확보하게 됐다. ... ...
“자폐 영유아 눈 못 맞춘다는 건 편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5.30
자폐스펙트럼장애에 대해 거부감을 지니는 사회 분위기 때문에 평균 진단 시기가 4세
이후
로 늦은 편이다. 연구팀은 616명의 영유아들에게 ‘까꿍’ ‘안녕’ 등 간단한 대화와 몸짓을 보이는 사람이 등장하는 1분 미만의 짧은 동영상을 보여줬다. 그 뒤 영유아들이 어느 부분을 얼마나 오래 보는지 ... ...
이전
860
861
862
863
864
865
866
867
8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