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d라이브러리
"
계속
"(으)로 총 10,457건 검색되었습니다.
나의 얼굴은 어느형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다르게 생긴 이유가 유전자와 그 조합에 의한 것이라면 그 유전자를 물려준 조상을
계속
거꾸로 찾아 올라가면 조상들이 이주해온 경로, 적어도 이주(移住)와 관계있는 증거들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일은 어렵지 않다.한국인뿐만 아니라 민족의 형성과정을 생각하는 일반적인 도식은 이주, ... ...
(2) 가상 연주장·청중 입력 실제와 꼭같은 음향테스트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복원하고 있다. 시스템공학연구소에서는 미륵사지탑 복원을 계기로 문화재 연구소와
계속
적으로 이 작업을 진행중인데, 이는 원형고증 작업에 신속성과 정밀도를 향상시켜 문화재 보존 관리를 철저히 하기 위한 것이다.이러한 입체영상 제작 기술을 바탕으로 가상박물관이 만들어지면 멀리 떨어져 ... ...
디지털 고속도로 종합정보통신망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0년대에 본격적인 정보고속도로가 완성될 예정이다.출장간 아빠가 집으로 전화를 거는데
계속
통화중이다. 긴급하게 엄마에게 부탁할 일이 있는데 한시간째 전화는 통하지 않고 '혹시 수화기를 잘못 내려놨나, 집에 강도가 들었나' 안절부절이다. 집에 돌아와 원인을 알아보니 컴퓨터 통신 때문. ... ...
지동설을 탄생시킨 목성의 4대위성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행성들중 가장 크지만 초보자가 보는 목성의 표면은 그리 크게 느껴지지 않는다.
계속
적인 관측을 통하여 숙련자가 되어야만 표면 무늬의 자세한 모양을 제대로 관측할 수 있다. 올 7월 슈메이커-레비혜성이 목성에 충돌하게 되면 표면 무늬에 큰 변화가 일어날 것이다. 그때까지 목성 관측에 관한한 ... ...
화학- 독한 술의 짜릿한 느낌은 침속 수소와 결합때 열방출 때문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때문에 일정한 구조를 갖고 있다고 보여진다. 또한 그 구조는 고정돼 있는 것이 아니라
계속
해서 변화한다고 생각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물분자의 수소결합으로 인해 일정한 빈 공간이 생겨난다고 생각할 수 있다. 즉 액체 상태의 물은 분자를 볼 수 있는 미시적인 시야로 보면 틈이 많은 액체다. ... ...
세계 각국의 진기한 연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그리하여 연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게 됐으며 요즘도 새로운 연들이
계속
고안되고 있다.겨울철이 되면 연 날리기는 세시풍속의 하나로 찬 바람 속에서도 추위를 잊게 했다. 정초에는 연에 송액영복(送厄迎福)이라 쓴 후 아이의 이름과 생년월일을 써서 높이 날린 후 소원을 함께 ... ...
3. 변화무쌍한 돌연변이로 '싸움'과 '공존'의 이중전략 구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곧 어디론가 사라져 버린다. 판도라의 상자는 아직도 열린 채이며 새로운 악을
계속
내보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바이러스에 대한 이해가 착실하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옛 그리스신화에서도 나오듯 아직도 희망은 상자에서 도망가지 않은 상태라고 할 수 있다 ... ...
백악기 절멸기에도 거의 모든 곤충 살아남았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생존을 높이고, 생존한 그룹은 또한 다양성의 기회를 부여해 준다. 이러한 과정은 영원히
계속
된다"고 말했다.두사람은 논문에서 "인류의 삼림채벌은 곤충류의 다양화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고 경고하면서 "지금 벌어지고 있는 작태는 페름기 말기에 일어난 식물멸종과는 비교할 수 없지만, ... ...
세포의 주소·운명·개성·목적 결정하는 '형태 조성지시유전자'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일로 생각했다.그 결과는 그들이 꿈꾸었던 것보다 훨씬 좋았다. 소닉 고슴도치 분자가
계속
해서 찾던 신체의 꼴을 만들어주는 것이라고 판명된 것이다. 이것은 극성을 가진 영역이라고 알려진 바로 그 자리 언저리에서 발현된다. 그리고 초기 중추 신경계의 척삭과 상판에 정확히 놓여있을 때 ... ...
사라진 이산화탄소의 행방은?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알아내는 것이 급선무였다. 그러나 증거를 찾는 일은 쉽지 않았다. 바닷물 속의 탄소량을
계속
측정해 매년 얼마만큼씩 증가하는 지를 볼 수 있다면 가장 좋겠지만 이 방법은 실행상에 큰 문제가 있다.수십억t의 탄소가 바닷물에 녹아든다면 상당히 차이가 날 것 같다. 그러나 실제로 바닷물 속의 ... ...
이전
861
862
863
864
865
866
867
868
8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