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안
실개천
속
나
d라이브러리
"
내
"(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Ⅰ'20세기의 판도라 상자' 핵에너지, 어떻게 탄생됐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중성자가 어떻게 결합하고 있는 것일까 매우 의아해 했다.큰 전자기적 반발력을 견뎌
내
고 핵자들을 결합시키는 힘이 존재하려면 아주 좁은 공간속에서만 작용하는 새로운 힘을 상정하지 않으면 안됐다. 1935년 일본의 유가와는 핵력이라는 존재를 처음으로 제안했다. 그에 따르면 양성자와 중성자는 ... ...
자동수질측정시스템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자동수질측정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면 24시간
내내
전국의 수질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으며 어떤 공장에서 폐수를 버렸는지를 즉각 탐지하는 것은 물론 식수원 ... 오게 될 머지않은 장래에는 썩은 양심을 가진 어떤 사람도 감히 시커먼 폐수를 하수구로 마구 흘려 보
내
지 못할 것이다 ... ...
뮤입자를 이용해 인체
내
미량원소를 측정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측정해 이와 관련된 병의 진단에 성공한 바 있다. 뮤입자 진단법이 실용화 되면 체
내
의 알루미늄과 알츠하이머병의 관계, 셀렌과 암과의 관계 등이 해명돼 새로운 치료법이 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 ...
밤하늘은 왜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중 천체 관측의 기본 교육을 받고, 함께 관측회를 다니며 활동 하기를 희망하는 새
내
기나 재학생들을 모집한다. 매주 일요일 4시 서강대학교 RA관 앞 벤치에서의 만남으로 별빛 동호회의 모임은 시작된다.■ 별과 사람들일반인들을 위한 아마추어 천문 모임. 이 모임에서는 천체 관측의 기본부터 천체 ... ...
지구과학- 지구의 크기 어떻게 측정했나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하니 달은 우리 민족에게 포근한 느낌을 주는가 보다.달을 보고 걸을 때 달이
내
게 다가오는 것을 느낀 적이 있는가? 아마 과학적 호기심이 없어도 그저 무심코 달을 본 사람을 제외하고는 달이 자기만 좋아하는지 항상 따라오는 것을 느낀 적이 한두 번쯤은 있을 것이다.어린 학생들 대부분은 가까이 ... ...
3. 1996년 2단 중형 로켓발사의 디딤돌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개발됐다. 움직이는 부분은 모두 유압으로 자동화했으며 고도와 방위각 등을 0.1도 이
내
로 정밀조정이 가능하도록 제작했다. 이동식 발사대로는 세계 수준에 뒤지지 않는 기술을 확보한 셈이다.개발된 로켓은 발사 후에 빠른 속도와 심한 진동으로 인해 힘을 받는 동시에 지상과는 환경조건이 다른 ... ...
3. 염색체의 DNA에 투과, 인위적 돌연변이 유발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관계 없는 인체의 자연적 돌연변이에 의한 선천성 기형의 발생률이 1백만명당 약 6만
내
지 10만명(6-10%) 정도이므로 여기세 방사능 피폭이 추가하는 0.02%의 수치는 매우 낮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방사선 생물학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이 정도의 적은 확률이 몰고올 위험 가능성을 중시하고 방사선 ... ...
"개발 이전에 반드시 환경평가 거쳐야"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배웠습니다. 천수만 A지구에서 기대했던 황새가 출현은 했으나 촬영에 실패한 점이 못
내
아쉽습니다. 밀렵꾼들의 총성에 새들이 쫓겨다니던 애처로운 모습이 가슴 아팠습니다.오세창―이번에 새들을 보는 눈을 달리하게 됐습니다. 저도 생물을 가르치는 사람이지만 주변 오리류도 잘 모르고 ... ...
하늘에 떠있는 별들의 절반은 짝별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필자가 관측한 경험으로 볼 때 위 다섯개의 별들 중 미자르나 레굴루스는 망원경의 시야
내
에 넣기도 쉽고 두개의 별로 분리해 보는데 아무 문제가 없다. 반면에 오리온자리의 베타성 리겔은 망원경 시야에는 쉽게 별을 넣었으나 분해되어 보이지 않았다. 여러 번의 관측 시도 끝에 어느날 주성의 ... ...
물리- 번개와 천둥은 빛과 소리의 속도 차이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된 소리가 들린다.예를 들어 "우리 저녁에 도서실에서 만나자"라는 말을 하면서
내
옆을 지나가는 친구가 있다고 하자. 그 친구가 '도'자를 발음할 때 나와 가장 가까운 거리를 지나갔다면 나에게 가장 먼저 들리는 소리는 '우'자가 아니라 '도'자가 될 것이고 그 전과 후에 발음된 '에'자와 '서'자가 ... ...
이전
862
863
864
865
866
867
868
869
8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