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보고"(으)로 총 10,8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사이언스 지식IN] 고양이가 조류독감에 걸렸다고요?동아사이언스 l2016.12.31
- 미국의 한 수의사가 조류독감에 걸린 고양이로부터 조류독감이 옮은 것으로 의심된다는 보고는 있었습니다. 다행히 그 수의사는 생명엔 지장이 없다고 하네요. 보통 사람은 조류독감에 걸린 고양이 한 마리를 통째로 먹어야(조류독감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러스가 그 정도의 양) 감염될 위험이 ... ...
- [정신과 전문의의 신경인류학 에세이] 2016년 당신은 ‘행복’했습니까?2016.12.31
- 이쯤 되면, 우리나라는 정말 ‘헬조선’인가 싶습니다. 유엔 세계 행복 보고서 2016의 두번째 표 상단부분에, 행복 순위 58위에 랭크된 한국이 보인다. - SDSN 제공 ● 행복지수는 믿을 만 한가? 사실 정신과 의사들은 행복이라는 말을 그리 즐겨 쓰지 않습니다. 행복에 대한 ... ...
- 2017년 새해 첫날, 당신에게 1초의 시간이 더 생긴다과학동아 l2016.12.31
- 2018년에도 추가될 예정이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윤초 문제가 계속 발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지구의 자전 속도가 계속 느려질 것이기 때문이다. 달과의 조석 마찰이 지구의 자전 속도를 변화시키는 가장 큰 요인이다(이는 앞서 음의 윤초가 실시된 적이 없다는 말을 설명해준다). 2005년부터 미국, ... ...
- 스스로 움직이는 인형 ‘오토마타’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12.30
- 2017년 새롭게 시작하는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참가자들이 직접 설계부터 제작까지, 원재료를 이용해 하나의 완성품을 만들어가는 시간이랍니다. 첫 번째로 완성 ... 동아사이언스 다빈치룸 •신청방법 홈페이지(kids.dongascience.com) 공지사항을 보고 신청해 주세요 ... ...
- '살처분 매몰'에 멍드는 금수강산…호기·호열 매몰 방식 안전한가포커스뉴스 l2016.12.30
- 관리 후에 매몰을 '해제'한다"고 밝혔다. 이어 "6개월이면 사체의 분해가 모두 완료됐다고 보고 다시 꺼내 바이러스 검사를 거친다. 그 후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으면 이를 농가에서 퇴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고 밝혔다. 현행 가축전염병 예방법은 '가축의 사체 또는 물건을 매몰한 토지는 3년 ... ...
- ‘만병통치약’을 퇴치하고픈 여성 과학자를 아시나요?동아사이언스 l2016.12.30
- 최 교수는 이날 시상대에 아들과 함께 올랐다. 아들이 엄마가 과학자로서 활약하는 것을 보고 과학자가 되기로 결심했기 때문이다. 그는 “과학자 엄마로서 아들에게 롤 모델이 될 수 있어 기쁘다”며 웃었다. ● 수학을 재미있게 설명하는 ‘소통의 귀재’ WISET 제공 “어려운 수학을 전시, ... ...
- [영.혼.남의 3분 영화] ‘스알못’도 볼 수 있는 ‘로그 원: 스타워즈 스토리’2016.12.29
- *영.혼.남의 기대평: 연말연시, 누구와도 부담없이 함께 볼 수 있는 따뜻한 힐링 영화를 보고싶다면. *’영.혼.남의 3분 영화’는 2017년 새해를 맞이해, 기존처럼 개봉 영화 소개가 아닌 ‘테마가 있는 영화 리뷰’를 주제로 매주 연재될 예정입니다. 2017년 새해에는 독자 분들께 행복한 일들만 ... ...
- 보청기 착용, 빠를수록 좋다포커스뉴스 l2016.12.29
- 보청기를 사용한 아동은 6개월 이후에 보청기를 사용한 아동보다 발음이 더 분명하다는 보고도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보청기를 시의 적절하게 착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보청기 조기 착용을 위해서는 보청기를 바라보는 시각부터 바뀌어야 한다. 황혜경보청기 청각언어센터 황혜경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2016.12.29
- 994년 촉각수용체세포에서만 녹색 형광이 나오는 예쁜꼬마선충을 만들어 ‘사이언스’에 보고했다. 첸 역시 프레이서에게서 대장균을 받았고 화학자답게 먼저 형광 메커니즘을 연구해 1994년 이 과정에 산소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한편 해파리의 GFP는 형광이 선명하지 못했기 때문에 첸은 ... ...
- 인간은 얼마나 작은 존재인가? 팝뉴스 l2016.12.29
- 회자되면서 충격(?)을 주는 위 사진이 그것을 설명한다. 우리는 태양계 주변의 별을 조금 보고 있을 뿐이다. 노란 원에 있는 별이 눈에 들어온다. 나머지는 미미한 존재인 인간에게는 보이지 않는다. 한편 우주에는 은하가 1천 억 개가 있다는 설이 지배적이었다. 최근에는 1조 개 또는 2조 개라는 설도 ... ...
이전8638648658668678688698708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