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의 소산
독창적인 생각
상상력
창조력
창작력
d라이브러리
"
창의
"(으)로 총 1,126건 검색되었습니다.
미항공우주국과 함께 하는 우주망원경 갤렉스
과학동아
l
200306
12월에는 이 단장은 자신의 꿈을 담은 자외선우주망원경 연구제안서가 과학기술부
창의
적연구진흥사업으로 채택되자 바로 마틴 교수를 찾아가 설득했고 그 자리에서 한국의 참여를 승낙받았다. 마틴 교수팀의 원래 연구계획에 이 단장의 새로운 아이디어가 합쳐질 경우 원래보다 2배 이상의 ... ...
보석 일상생활에서 첨단기기까지
과학동아
l
200306
창문을 지름 10cm, 두께 2mm의 다이아몬드 창으로 바꿔 적외선을 밖으로 빼버림으로써
창의
과열 문제를 해결했다.이렇게 해서 일본 원자력연구소에서는 무사히 1백70GHz(기가 헤르츠, 1GHz=${10}^{9}$Hz)의 주파수에서 출력 4백50kW의 전자기파를 얻어냈다.자연에 없는 인간의 창조물 큐빅시계 속의 수정, ... ...
2 힘세고 오래가는 에너지 활용비법
과학동아
l
200306
최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에서 ${10}^{-6}$torr의 고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진공
창의
시제품개발에 성공해 향후 실용화 가능성을 한층 높여주고 있다.밝고 오래가는 빛의 기술최근 조명 산업에서는 이른바 신조명 기술이라 불리는 새롭고 혁신적인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신조명 기술은 기존의 ... ...
두뇌발달 따라 교육법 달라야
과학동아
l
200304
표현력과
창의
력을 꺾을 수 있다. 만약 아이가
창의
적이지 못하다면 가르치는 사람이
창의
적이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또한“3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는 옛말이 사실이라는 점을 실감할 수 있는 시기 이기도 하다. 즉 사회성이 발달하므로 사회를 느끼고 남을 배려하고 양보할 수 있도록 ... ...
반도체 나노소재기술
과학동아
l
200302
깊이 있게 생각하고 논리적으로 사고하며 판단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야
창의
력을 계발할 수 있다고 한다. 이를 위해 단순히 물리나 화학 분야의 책을 읽는 것 이외에 철학이나 역사 분야의 책을 읽으며 깊이 있고 논리적으로 사고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한다.미국 IBM과 HP에서 반도체 ... ...
보지 않고 그린 코뿔소가 세상을 속이다
과학동아
l
200302
코뿔소를 본 적이 없다는 것입니다. 단지 이곳저곳에서 들은 이야기를 바탕으로 자신의
창의
력을 발휘해 그린 것이죠. 그래서 그림의 코뿔소는 목 뒤에 작은 뿔(그림 3 원 안)이 있고 중세기사처럼 철갑을 두르고 있으며 다리엔 비늘이 있는 등 실제 모습과 차이가 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세기 ... ...
월드컵 하늘에 방패연 띄운 다윗 - 류춘수
과학동아
l
200301
설계하며 ‘발상의 전환’을 강조한다. 그러나 발상의 전환이 그냥 나올 리 없다. 그는 “
창의
적인 아이디어는 번뜩이는 영감이 아니라 끊임없는 생각의 축적”이라고 강조했다. 동그라미를 계속 그리다가 어느 순간 네모가 나오듯이 멋진 건축물을 한번에 그리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그림을 그리다 ... ...
벽 뚫고 지나가는 공
과학동아
l
200212
서로 마주보는 두장의 편광필름은 같은 방향이므로 빛이 그대로 통과해서 밝게 보인다.
창의
가운데는 편광방향이 서로 수직을 이루는 대각선 방향의 필름이 겹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곳은 빛이 통과 못해 어두워 장애물로 막혀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 점을 이용해 마술을 부릴 수 있다. 탁구공을 ... ...
학사 출신 연구원 다나카의 수상 비결
과학동아
l
200211
정평이 나있다.그렇다면 다나카 연구원은 어떻게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을까. 그의
창의
성은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노벨상 수상에 대해 다나카 연구원은 운이 좋았다고 겸손해 하지만, 평소 머리감는데 빼앗기는 시간이 아까워 아예 삭발할 정도로 연구에 열심이었다. 시마즈제작소에 입사한 후부터 ... ...
세계 영재석학이 전하는 과학 영재교육의 노하우
과학동아
l
200211
왜 그럴까. 그는
창의
성을 발휘하려면 학생들에게 자유가 필요하다며 얘기를 시작했다.
창의
적인 아이디어는 아무 것도 없는 상태에서 나오지 않는다. 학생들에게 여백이 있어야 가능하다는 것.그러나 그는 학교라는 제도적 장치 내에서 학생들에게 자유를 주기는 쉽지 않음을 인정한다. 학교에는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