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감독
주시
경계
관찰
단속
정찰
경비
d라이브러리
"
감시
"(으)로 총 96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Ⅱ HDTV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볼 수 있게되므로 정보활용에 획기적인 개선이 기대된다. 고배율 HD카메라를 장착한
감시
추적장치 등 고도의 기능을 가진 군사장비 개발도 가능하다. 또한 인쇄출판이 HDTV와 컴퓨터 레이저프린터 등이 결합된 전자출판으로 바뀌게 돼 '인쇄문화의 혁명'이 예상된다.X레이필름이나 내시경 촬영화면이 ... ...
PART 1 로보틱스란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할 수 있는 컴퓨터 할(HAL)이 등장한다. 이 컴퓨터가 맡은 임무는 우주선의 모든 계기들을
감시
하고 제어해 목적지인 목성까지 무사히 도착하도록 하는 일이다. 또 탑승객들의 벗이 되어 주기도 한다.그러나 여행이 계속되는 동안 할의 회로에 이상이 생겨 성격이 포악해진다. 할은 스스로를 보호하기 ... ...
PART3 우리나라의 위성개발 우리도 1993년엔 관측위성 띄운다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접하는 구름사진은 기상위성이 보낸 고급정보다.관측위성은 전지구적인 규모로 지구를
감시
해 식물의 생육상태, 토지이용 상황, 화산활동, 대기오염 상황 등을 모니터한다. 또한 조수의 전파, 해수의 온도, 플랑크톤의 분포상태도 파악해 고급의 어장정보를 제공한다.이외에도 수십개의 ... ...
선진 5위권 진입을 목표로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연구개발사업으로는 협회 산하 8개 연구조합을 중심으로 시스템소프트웨어 인공지능
감시
제어 소프트웨어공학 유통시스템 CAD·CAM(컴퓨터이용설계 및 생산) 생산관리분야에 대한 대형과제를 발굴, 추진해가기로 했다 ... ...
환경오염의 해결이란 큰짐 진 조경식 초대환경처장관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조장관은 환경문제가 바로 내자신과 우리주변에 미친다는 인식을 갖고 국민 모두가 '환경
감시
원'이라는 고발정신을 발휘해 파수꾼 역할을 해달라고 당부했다 ... ...
PART4 주차난의 해결사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배꼽이 더 큰」평면주차시설을 대체할 수 있는 기계식 입체주차시설이 컴퓨터의
감시
하에 가동되고 있다.교통체계에 있어서 공간은 가장 기본적인 요소다. 교통공간은 운송장비의 이동에 이용되는 운송통로로서의 기능을 가진 이동공간과 운송장비와 수송의 주체 또는 객체를 접속시켜 주고 ... ...
환경파괴 없는 남극개발에 나설 때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1천5백t급 전용선박으로 남극기지를 순회하면서 각국 기지들의 환경보호 상태를
감시
하고 있다. 그린피스 동남극 로스섬에 있는 남극최대기지인 맥머드기지(미국)에서 20㎞ 떨어진 '케이프에반스'에 '세계의 공원, 남극'이라는 푯말을 걸고 4명이 항상 상주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세종기지도 두차례에 ... ...
겨울이 두렵지 않은 북극땅다람쥐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그런 뒤 다람쥐들을 일정한 범위 내에서 마음껏 돌아다니도록 풀어 주었다. 이같은
감시
장치를 설치한 그는 다시 실험실로 돌아가 8개월 동안의 동면과정을 유심히 지켜 보았다.다람쥐의 체온은 주기적으로 올라갔다가 떨어지곤 했다. 특히 겨울잠을 '쿨쿨' 자고 있을때는 체온이 빙점 이하인 -2. ... ...
인간성 회복이 우선과제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했던 송위원장은 고(故)장준하씨와 가까이 지낸 '덕'에 권력의 미움을 사 한때
감시
대상이 되기도 했다.활동에 적잖은 규제를 받았던 그는 78년부터 야생조류 보호사업에 뛰어든다."83년부터 야생조류가 눈에 띄게 줄어들고 있다. 농약 폐수 등 유해물질의 배출이 공공연하게 자행되고 있기 때문 ... ...
남북과학교류 추진하는 원병오교수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옥타브 높아져 있었다."현재 국내에서 절종위기에 있는 새는 53종입니다. 그중 국제적인
감시
대상으로 등록된 새만도 19종이나 있어요. 특히 크낙새 노랑부리백로 황새 등은 잘 보호해야 해요."실제로 새의 보호는 시급한 숙제이다. 전 세계적으로 11%(약 1천종)의 새가 멸종위기에 있는 것이다.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