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리"(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고 리의 나 혼자 산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사용자를 찾기 위해선 ‘유사도’를 구해야 합니다. 유사도를 구하는 방법은 유클리드 거리, 피어슨 상관관계, 타니모토 계수 등 다양하지만, 오늘은 ‘코사인 유사도’에 관해 설명할게요. 코사인 유사도는 두 벡터가 만드는 각도의 코사인 값으로 서로 얼마나 유사한 취향인지 따지는 겁니다. ... ...
- [통합과학교과서] 이 하늘에서 떨어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알 수 있어요. 전파는 빛의 속도로 움직이거든요. 같은 방법으로 총 4대의 GPS 위성에서의 거리를 파악하면, 내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지요.원래 GPS는 미국 국방성이 군사용으로 1973년부터 개발했어요. 그런데 1983년, 우리나라 여객기가 실수로 당시 적국이었던 소련의 영공을 침범해 격추당하는 ... ...
- 태양계 너머 외계행성을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존재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51 Pegasi b’로 명명된 이 외계행성은 중심별로부터의 거리가 약 0.053AU(1AU는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에 불과하며, 표면온도는 목성의 약 10배(1280도)로 매우 뜨거운 것으로 분석됐다. 우주 관측 역사상 처음으로 태양과 비슷한 별에서 외계행성이 확인된 순간이었다 ... ...
- [맛있는 수학] 철판 아이스크림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사이의 상호의존도를 측정했습니다. 변수 자체의 값뿐만 아니라 변수들끼리의 상호 거리도 계산했고, 이를 통해 일반적인 상관계수를 구할 때는 무시되는 관계까지 잡아낼 수 있게 된 겁니다. 실링 교수와 함께 논문을 쓴 마틴 러셀 수리추계학과 교수는 “우리의 방법은 생물정보학처럼 방대한 ... ...
- [지구사랑탐사대] 쉿! 조용히 귀 기울여 보세요♬ 소리모아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것들‘뽀삐뽀삐’ 노래를 부르는 박새, ‘삐리릭, 삐~’하고 우는 곤줄박이, ‘깍깍’거리는 까치까지, 소리의 주인들을 알고 나자 평소에 그냥 지나쳤던 소리들도 특별하게 느껴졌어요. 귀만 기울였을 뿐인데 숲길 산책이 더욱 즐거워졌지요. 그런데 별안간 ‘뾰뾰뾰뾰’하는 신기한 소리가 ... ...
- [본격 게임 채널] 쿠키런 : 오븐브레이크, 이차함수로 젤리 많이 먹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몇 가지 가정을 한 뒤 분석해보죠! 쿠키의 속도와 젤리를 얻기 위해 필요한 최소 거리 등 여러 요인에 따라 가장 많은 젤리를 먹을 수 있는 점프 지점은 달라집니다. 게임을 하면서 눈을 부릅뜨고 관찰한 뒤 합리적인 가정을 세우고 계산해보세요. 무턱대고 점프하는 것보다 훨씬 많은 젤리를 먹는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엘리베이터의 변천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0호
- 필요한 힘과 돌리는 거리를 조절할 수 있어요. 일반적으로 같은 일을 할 때 힘과 거리는 반비례 하거든요. 즉, 하늘색 톱니가 작을수록 더 큰 힘이 필요해요. 대신 조금만 돌려도 물체와 연결된 검은색 톱니바퀴의 체인이 더 많이 회전하지요. 따라서 손잡이가 달린 연두색 톱니의 회전엔 구슬의 ... ...
- ‘핵인싸’의 발차기 병뚜껑 챌린지도 과학입니다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증가하는데, 그 에너지 변화는 돌림힘에서 온 것이다.에너지 변화, 즉 일은 힘과 거리의 곱이다. 또한 돌림힘에 회전각을 곱한 값이기도 하다. 따라서 발차기가 만든 돌림힘으로 발이 병뚜껑을 밀어주는 동안 병뚜껑이 회전한 각도를 곱하면 발차기가 전달한 에너지를 구할 수 있다. 발차기가 전달한 ... ...
- [전지적 수학시점] 리그오브 레전드, 맨허튼 거리로 사거리 측정하기수학동아 l2019년 10호
- 거리를 재는 방법에 따라 가장 먼 지점이 바뀌기도 합니다. 챔피언 사이의 거리를 맨해튼 거리로 재는 게 아닌지 전략적 팀 전투를 즐기며 분석해 보는 건 어떨까요?일시적이지만, 전략적 팀 전투를 즐기는 플레이어 수가 기존의 LoL을 즐기는 플레이어 수보다 더 많아지기도 했습니다. 지난 7월 1 ... ...
- [과학뉴스] 철새의 야간 이동, 단백질 변이 덕분?과학동아 l2019년 10호
- 수천km나 되는 먼 거리를 길을 잃지 않고 날아간다. 망막 속에 존재하는 CRY4 단백질이 지구 자기장을 인식해 나침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CRY4 단백질은 청색광에 반응하기 때문에 철새는 낮에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하지만 일부 철새들은 야간에 이동하기도 한다.미국 서던메소디스트대 화학과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