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점
결함
약점
흠
부족점
잘못
허물
d라이브러리
"
단점
"(으)로 총 1,531건 검색되었습니다.
14년 우정이 만든 빛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받아 각자 연구하는 경우가 많다. 공동연구가 오래 지속되지 못하는 점이 바로 이런
단점
때문이다. 하지만 마가리톤도 부총장과의 공동연구는 달랐다. 두 사람은 필요한 부분에서는 분야를 나눠 연구했고, 직접 연구자들이 오고가며 실험을 하고 세미나도 열었다. 그동안 주고받은 e메일만 해도 셀 ... ...
MEMS는 미래기술의 해결사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한계다. 또 화면에 가까이 다가가면 미세하게 나눠진 화소 사이의 간극이 어둡게 보이는
단점
도 있다.하지만 윤 교수는 “머리카락 굵기의 8분의 1만한 거울을 사용하면 화소 사이의 간극을 없애 시야각을 넓히고 반응속도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한다. 또 거울의 측면에서 빛을 비추면 움직이는 ... ...
시들해진 마음에 불을 질러라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남녀노소 모두에게 사랑을 받았다. 그러나 이러한 장점은 게이머들이 쉽게 질릴 수 있는
단점
이기도 했다. 처음에는 불타는 호기심으로 게임에 빠져들지만 곧 지루해져 게임을 그만둘 수 있다는 얘기다.이를 막기 위해 게임 회사는 지속적으로 재미있는 트랙을 만들고 새로운 아이템을 개발하는데 ... ...
컴퓨터 앞 '땡땡이'는 이제 그만!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내용을 일방적으로 강의하기 때문에 학생 개개인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할 수 없다는
단점
이 있다.영국 에섹스대 빅 캘러그한 박사와 중국 지아오통대 션 리핑 박사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학생의 감정을 읽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했다. 이 소프트웨어를 이용하는 학생은 심장 박동과 맥박 그리고 ...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원자 지름의 수십 분의 일까지 측정한다. 진공에서만 사용할 수 있었던 전자현미경의
단점
을 극복하여 공기 중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손가락 끝으로 물체를 만지는 것처럼 원자현미경의 끝에 달려 있는 예민한 탐침이 물체의 표면을 더듬으며 원자의 모양을 읽어 낸다.속을 꿰뚫어보는 ... ...
건강한 눈, 예쁜 눈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5호
직접 덮는 방식이기 때문에 위생에 많은 신경을 써야 하고 눈을 피곤하게 만든다는
단점
이 있어요. 특히 외모를 위해 많이 사용하는 서클렌즈는 다른 렌즈보다 두껍고 색소도 첨가돼 있어 눈을 더 피곤하게 만든답니다.라식이나 라섹과 같은 수술법라식이나 라섹과 같은 수술은 각막을 깎아 내 ... ...
달에서 월드컵이 열린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되지 않는 선수가 어떻게 막을 수 있을까’하는 사람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그런
단점
도 보완할 수가 있습니다. 경기장에 들어가면 자철석 수만 개를 녹여 압축시키고 굳힌 강자석이 경기장 잔디밭이 되고, 선수들 옷과 축구공엔 강자석과 철가루가 서로 반응해서 지구의 중력과 같게 될 만큼의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굴절하는 정도가 달라 상이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
단점
이 있었다. 뉴턴은 이러한
단점
을 보완하기 위해 빛을 굴절시키지 않는 망원경을 연구하였다. 뉴턴은 빛의 반사를 이용한 망원경을 생각하고, 청동을 갈아만든 2.5센티미터의 오목거울과 평면경을 사용한, 길이 15센티미터의 반사망원경을 ... ...
DAY3-4 스페이스십투 타고 우주 가볼까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러시아 우주국과 함께 내놓은 우주여행 상품을 이용해 다녀왔다. 이 여행상품의 가장 큰
단점
은 가격이 너무 비싸다는 것이다. 국제우주정거장에 8일 동안 머무는 비용은 2000만달러(약 190억원)에 달한다. 한번 쓰고 버리는 소유즈 우주선을 제작하는 데만 600만달러(약 56억원)가 든다. 특히 일반 ... ...
자연에서 얻는 공학적 영감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거미줄이 만들어지는 과정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섬유가 제멋대로 뿜어져 나온다는
단점
이 있다.한국기계연구원에서는 노즐 옆에 전극을 설치해 나노섬유가 효과적으로 뿜어져 나오게 만드는 연구를 하고 있다. 섬유의 굵기는 공정 조건에 따라 거미줄 정도인 10μm에서 거미줄보다 가는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