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둘"(으)로 총 3,399건 검색되었습니다.
- [Focus News] 햄버거병, 햄버거는 억울하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봤다.1. 햄버거병 이름 적절한가?햄버거병의 정식 명칭은 용혈성요독증후군(HUS)이다. 둘 다 처음 들어보는 낯선 이름이지만 대표적 원인균인 ‘O157:H7’은 매우 친숙하다. 여름철이면 자주 듣는, 식중독을 유발하는 병원균이다. O157:H7(오른쪽 사진)은 혈변이 나오는 장염을 일으킬 수 있는 대장균으로 ... ...
- Part 2. 남성 생식 연구를 허하라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몸을 아는 데서 시작한다 (여성이 웃으며 독백) “아직은 혼자가 좋으니까, 아직은 둘이 좋으니까” - 000 피임약 광고 中 피임도 마찬가지다. 1960년 세계 최초의 경구 피임약, ‘에노비드10’이 개발된 이후 여성용 경구 피임약은 부작용을 줄이는 방향으로 꾸준히 발전해 왔지만, 아직까지 시판되고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엄마의 계획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달린 상자에서 물건을 꺼내는 모습이 보였다.‘저거다!’바로 돈을 넣고 물건을 넣어둘 수 있는 보관함이었다.하림은 얼른 보관함으로 달려가 33번이 있는지 찾아보았다. 있었다. 그리고 33번 함은 잠겨 있었고, 비밀번호를 입력해야 열 수 있었다. 비밀번호가 뭔지는 뻔했다.0124를 입력하자 보관함은 ... ...
- [Future] 성큼 다가온 양자정보통신 시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양자의 속도와 위치를 동시에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는 ‘불확정성 원리’다. 여기에 둘 이상의 양자가 서로 특성을 공유하는 ‘양자얽힘’ 현상까지 더해진다. 이를 통한 양자암호통신은 도청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완전한 방패 기술로, 나아가 일정 거리 내에서 정보를 순식간에 이동시키는 ... ...
- [Culture] 치카우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아기는 울지 않았다. 대신 기어다니며 웃기 시작했다. 그 소리는 크지 않았기 때문에 둘은 아까보다는 덜 당황했다.“이렇게 안 자면 밤낮이 바뀌어 건강을 해칠 텐데.”“황제 폐하께서도 이렇게 이 토착 생명체를 돌보는 일을 계속 하시다 보면 언제 쉬시겠습니까? 옥체를 상하실지도 모릅니다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과자 도둑 ‘ 까까나 까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공장 천장에 매달린 모니터에 나타났다.“우헤헤! 초콜릿에 손을 대면 죽거나 살거나 둘 중 하나! 가짜 초콜릿을 못찾으면 폭탄이 터지게 돼 있지롱!”썰렁홈즈가 가짜 초콜릿을 찾아내자 막혀 있던 벽이 열리면서 기다란 초코 막대과자가 만들어지는 곳이 나타났다. ‘까까나 까까’가 어디 숨어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는 뜻을 나타내는 ‘물 수(氵)’와 음을 나타내는 ‘가죽 피(皮)’로 이뤄져 있어요. 이 둘의 뜻을 합치면 물의 표면에 생기는 파도, 또는 물결이라는 뜻이 되죠. 음인 ‘피’는 현재 ‘파’로 바뀌어 소리가 난답니다.‘형상 형(形)’에는 발음요소인 ‘평평할 견(幵)’과 의미요소인 ‘터럭 삼(彡 ... ...
- 최일규 KAIST 박사 후 연구원 일도 취미도 끝장 본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연구가 어떤 의미가 있냐고요? 예를 들어볼게요. 같이 일하기 싫은 사람이 있어요. 그런 둘이 함께 일을 하지 않도록 조를 짜다 보면 어쩔 수 없이 싫은 사람과도 일을 하게 될 거예요. 비유하자면 저는 이런 일이 최소로 일어나도록 조를 짜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는 거지요.틀리지 않았다는 걸 보일 ... ...
- 수의 시선을 담다 ‘유현미 작가’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수학. 수학과 예술. 요즘 융합이 대세라고 하지만, 이 둘은 어울려 보이지 않는다. 과연 수학과 예술이 친구가 될 수 있을까? 최근 ‘수’를 주제로 한 ‘수의 시선’이라는 전시를 열었던 유현미 작가는 그렇다고 답한다. 유 작가는 어떤 매력에 끌려 이와 같은 작품 활동을 하게 됐을까. 호기심에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적게 먹었을 때 몸에 생기는 문제가 없는지 알아 본 연구 결과가 2000년 전후로 하나 둘 발표되기 시작했다. 특히 2011년 ‘미국의학협회학술지(JAMA)’에는 유럽인 3681명을 8년 동안 추적 조사했더니, 소금을 적게 먹은 사람들의 심혈관질환사망률이 많이 섭취한 사람들보다 오히려 높다는 연구 결과가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