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멸
분열
파괴
황폐
분해
파산
파손
d라이브러리
"
붕괴
"(으)로 총 873건 검색되었습니다.
탄산가스로 인한 온실효과 더워지는 지구, 그 결과는?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보다 대규모로 이루어질것으로 보인다. 특히 우려되는 것은 서 남극의 빙상(氷床)의
붕괴
. '로스' 해와 '웨델'해 양쪽으로부터 따뜻한 해류가 흘러들어오면 서 남극의 빙상을 지탱하고 있는 붕빙(棚氷)이 녹아 빙상 전체가 소멸될 위험이 있다. 만일 그렇게 되면 해면상승은 5~8m에 달해 전세계의 ... ...
'라보아제'가 몰고온 화학혁명 연금술에서 근대화학으로
과학동아
l
1987년 03호
산소와 결합하는 것임이 밝혀졌다. 1백년 동안 화학계를 지배해 왔던 '플로지스톤'설이
붕괴
되고 합리적인 화학발전의 토대가 수립된 것이다.한편 '라보아제'는 원소의 개념을 명확히 하였고 이를 토대로 많은 원소를 발견하고 정리함으로써 원소표를 작성할 수 있었다. 그는 원소랑 어떤 수단에 ... ...
PART5 전자재료 실리콘 시대가
붕괴
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반도체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실리콘은 고집적화로 인해 물리적 한계를 드러냈다. 이를 대체할 신소재는?반도체 디바이스의 극소화는 전자공학 진보의 상징이다. 그러나 극소화의 한계에 도달한 지금 보다 고밀도 고속의 디바이스를 추구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모색되고 있다. 또한 기록장치도 종래 ... ...
PART9 초합금 극한상태를 극복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있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붕소는 결정립계에 편재하면서 어떤 이유에서인지 입계를
붕괴
시키지 않으면서 변형시킨다는 것이다. 그 확실한 메카니즘은 아직은 분명하게 규명되지 않았지만 현재 왕성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겨우 0.02%의 붕소 첨가가 감마프라임 Ni3Al의 취성(脆性)을 연성(延性)으로 ... ...
화산 분출물이 계속쌓여 만들어진 한라산
과학동아
l
1987년 01호
했다. 이러한 노력은 19세기말 프랑스의 '베크엘'이 자연계에서 일정한 양으로 스스로
붕괴
하는 방사성 원소를 발견함으로써 그 결실을 보게 되었다. 암석속에 있는 방사성 원소의 연구는 훌륭한 지질시계의 역할을 하게 된 것이다.우리는 용암내에 들어있는 방사성 원소를 이용하여 용암의 연령을 ... ...
PART 1 금강산댐과 그 대응책
과학동아
l
1986년 12호
결과를 초래할것이 우려되고 있다.한편, 댐이 자연재해나 혹은 인위적인 작용으로
붕괴
될 경우, 수도권지역의 수몰위험이 크게 강조되고 있다. 즉, 홍수기에 금강산댐의 물이 방류되면 하류지역에 있는 화천댐 등 5개댐은 물론, 서울시전역과 강원도 1시 3개군 9개읍면, 경기도 1시7개군22개 읍면이 ... ...
물질의 근본을 밝힌다 입자 가속기
과학동아
l
1986년 11호
방사선이 나오는 것을 발견했다. 이어서 영국의 ‘라더포드’ 그룹은 방사성 원소가
붕괴
할 때 나오는 수백만eV(1eV는 전자 한개를 1V의 전압으로 가속시킬 때의 에너지)의 에너지를 가진 α입자를 질소원자에 충돌시키면 산소와 수소가 발생된다는 핵변환을 발견하였고, 이와같은 핵변환이 다른 ... ...
아인슈타인 이후의 상대론 천재의 예언은 들어 맞았나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sakharov)는 최근에 양자 변동에 기인한 계량의 변화에 일반적인 질문을 던졌는데, 중력
붕괴
의 최종상태는 부호가 유클리디안이라는 가능성을 제한했었다. 한편 '와인버그'(Weinberg), '살람'(Salam) '글래쇼우'(Glashow)에 의해 발표된 전자 약작용이 하나의 게이지 이론으로 서술 가능케됨에 따라 입자 ... ...
화강암집의 폐암 위험 대단히 높아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죽는것 같다고라돈은 우라늄의
붕괴
과정에서 생기는 것인데 폴로니움으로 다시
붕괴
된다.그런데 암석위에 지은집의 경우 마루바닥을 통해 스며든 라돈개스가 안전기준의 2백배나 된다는 것이다.조사자의 추정에 따르면 화강암 지반위에 있는 집과 우라늄이 많이 섞여있는 지대에 있는 집을 포함해 ...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대참사 안전관리 무시한 예측된 사고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있을 것같다. 불길이 뿜어 낸 세슘137과 스트론튬90등의 방사능 입자는 매우 느릿하게
붕괴
하기 때문에 땅에서 완전히 없어지려면 넉넉잡고 수십년은 기다려야 한다. 이 보다 짧은 수명의 아이오다인 131과 함께 이 방사능 물질들은 사람과 곡물과 가축에 짧게 또는 장기간 영향을 미칠 것이다. 남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