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애이시아
에이시아
아세아
동양
동방
오리엔트
아시아개발은행
d라이브러리
"
아시아
"(으)로 총 1,764건 검색되었습니다.
붉은 단풍은 노란 단풍이‘똑똑하게’진화한 것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달라 단풍 색깔도 다르다”고 말했다.미국이나 캐나다 같은 북아메리카와 한국 같은 동
아시아
는 산줄기가 남북으로 뻗어 있어 기후가 변하면 동식물이 살기 좋은 장소를 찾아 남쪽이나 북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래서 기후 변화에 관계없이 진딧물에게 시달렸고 붉은 단풍을 만들도록 진화했다 ... ...
유전자와 문화 사이의 균형추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책| 지구온난화에 속지 마라 |프레드 싱거, 데니스 에이버리 지음 | 김민정 옮김 |동
아시아
| 392쪽 | 1만 5000원 인간 사회의 어느 분야든 한 시대를 이끄는 주류(主流)가 있게 마련이다. 과학도 마찬가지다. 지구온난화가 바로 현대 과학을 이끄는 주요 흐름 가운데 하나라는 사실을 부인할 사람은 많지 ... ...
0의 발견 숫자 가문의 영광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위와 같이 한자 또는 알파벳을 이용했지만 계산할 때는 별도의 보조 도구를 이용했다. 동
아시아
에서는 수천 년 전부터 대나무 등으로 만든 ‘산대’ 또는 ‘산가지’ 를 계산 보조 도구로 이용했다. 막대를 가로 또는 세로로 놓으면서 숫자를 만들어 내고 계산하는 것이다. 아래와 같이 일, 백, 만 ... ...
깨처럼 고소한 물고기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가을 바다를 통째로 굽자한반도 남쪽 바다에 앉아 우라나라 가을 전어 굽는 내음을
아시아
로 유라시아 대륙으로 즐겁게 피워 올리자시인 정일근이 쓴 ‘가을전어’다. 이 시에서처럼 한국인의 정서가 담뿍 담긴 가을 전어는 입맛을 당기는 일등공신이다. ‘가을 전어 머리에는 깨가 서 말’ ‘가을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중화녹두 1호’를 개발하며 40여 년 동안 농작물 육종가의 길을 걸어왔으며, 2004년
아시아
태평양종자협회(APSA)에서 특별공로상을 받았다. 올 5월 다국적 식물생명공학기업들의 공동체인 크롭라이프코리아 대표에 취임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대한민국 ... ...
한반도 아열대화 사실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최근 엘니뇨가 발달하면서 서태평양 해상에서의 대류 활동이 약화됐고 상대적으로 동
아시아
지역에서의 대류활동이 강화되면서 중국 쪽에서 저기압이 자주 발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기상청은 일단 7월 말 북태평양고기압이 북상하면서 장마전선이 소멸한 뒤 8월에는 무더운 날씨가 찾아올 ... ...
열 오른 지구의 신음을 보라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둘러싸여 주변에 바다가 없는 내륙국 가운데 가장 큰 나라, 카자흐스탄. 중앙
아시아
에 위치한 이 나라에는 바다가 없는 대신‘아랄 해’가 있다. 한때 면적이 1만m2쯤 되는 섬이 1000개 이상 흩어져 있어 ‘섬들의 바다’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아랄 해는 세계에서 4번째로 큰 호수였으나 지금은 그 ... ...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군함을 뛰어넘는다.“아라온 호 뱃머리 철판 두께는 39.5mm나 됩니다. 2005년 해군이 진수한
아시아
최대 수송함인 독도함의 경우 20mm 정도이지요. 아라온 호는 어디 내놔도 빠지지 않을 정도로 튼튼한 배입니다.”아라온 호가 갖고 있는‘싸움의 기술’은 박치기뿐만이 아니다. ‘누르기’도 있다. ... ...
비버 선생의 건축 비법 건툴의 달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내는 거미줄은 대단히 유연하고 튼튼해 같은 크기의 강철만큼 뛰어나답니다.재봉새
아시아
의 열대 지방에 사는 새로 보통 녹색이나 회색이 섞인 밝은 색을 띤다. 주로 숲이나 정원에서 살며, 나뭇잎을 바느질하듯이 꿰매 둥지를 만들기 때문에 재봉새라는 이름이 붙었다.나뭇잎을 꿰매면 둥지가 뚝딱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주아가 떨어지길 기다리거나 익은 다음 한 알씩 심어야 번식이 된다.마늘 원산지인 중앙
아시아
에는 희한하게도 꽃 피는 마늘이 난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원예작물부 윤무경 연구관은 이런 마늘을 수집해와 서로 교배시켜 ‘다산’‘천운’‘화산’의 3품종을 개발했다. 이들은 보통 마늘과 달리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