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원"(으)로 총 2,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한민국을 덮친 AI의 정체는? AI 바이러스 수사 파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높다는 주장이다. 인 . 터 . 뷰 김재홍(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 AI 역학조사위원회 위원장)만약 우리나라 농가의 오리나 닭에서 AI 바이러스가 처음 생겼다면 오리나 닭의 사체에 항체가 있어야 해요. 하지만 조사 결과 항체는 없었지요. 동림저수지에서 발견한 가창오리, 큰기러기, 큰고니, ... ...
- 아름다운 층간소음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4호
- 윗집에서 나는 층간소음이 더 거슬리는 걸까요?이유1 예기치 않게 갑자기 들린다국민권익위원회가 운영하는 110정부민원안내콜센터가 조사한 결과, 사람들이 가장 듣기 싫다고 느끼는 층간소음은 어린이들이 뛰어다니는 소리였어요(36%). 아무 때나 쿵쾅거리기 때문에 소리의 크기나 리듬이 일정하지 ... ...
- 수학교과서에 오류 있다?!수학동아 l2014년 03호
- 모두가 출판사의 교과서를 심의하는 것이 아니라 조를 이뤄 심의하기 때문에, 심의위원 한 사람은 한 종의 교과서만 심의하게 된다.박제남 교수는 “제가 디오판토스의 묘비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고, 그 내용을 수정했더라도 다른 출판사의 교과서를 심의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교과서의 내용을 ... ...
- PART1. 핵 쓰레기통이 넘친다과학동아 l2014년 03호
- 방식이든 공론화를 통해서 지역사회와 시민들의 합의를 도출해야한다. 정부는 공론화위원회를 본격적으로 운영하고 현재 원전이 아닌 지역에 중간처분장 건설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문제는 현실성이다. 원전 등에서 사용한 작업복, 장갑, 폐필터 등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처리장을 위한 부지 ... ...
- 2014 소치 동계올림픽 과학으로 100배 즐기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3호
- ● 가장 따뜻한 곳에서 펼치는 겨울올림픽!소치는 흑해 해안을 따라 145㎞ 정도 뻗어 있는 아름다운 자연 도시예요. 지금까지 동계올림픽이 열린 장소 중에서 가장 따뜻하고 고도도 낮답니다. 1~2월 평균 기온이 7~8℃(서울 평균 -2℃)라니 얼마나 따뜻한지 알겠죠?소치는 위도가 43°로 37°인 서울보 ... ...
- BRIDGE. 경주 방폐장 부지, 과연 ‘안녕’한가?과학동아 l2014년 03호
- 그런데 경주 방폐장 선정 당시 부지선정위원회 위원이 현재 사용후 핵연료 공론화위원회 위원장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핵쓰레기 더이상 버릴 곳이 없다PART1. 핵 쓰레기통이 넘친다BRIDGE. 경주 방폐장 부지, 과연 ‘안녕’한가?PART2. 지하 500m도 ... ...
- 가창오리의 억울한 죽음과학동아 l2014년 03호
- 있다는 말입니다. 가창오리뿐 아니라 철새 종류마다 면역력과 잠복기가 각각 달라요”김 위원장은 “동림저수지에서 죽은 가창오리들은 다른 개체로부터 AI가 옮아 죽었을 것”이라면서 “단, 가축 조류가 아니라 주변에 있던 다른 철새들이 전염원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간단히 말해 범인은 ... ...
- [뉴스포커스] 2014년은 ‘한국 수학의 해’ 수학, 산업을 이끈다!수학동아 l2014년 02호
- 앤드 마리 퀴리대에서 수치해석박사 학위를 받은 그는 유럽수학회 응용수학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으며, 지난해 국제산업응용수학회 차기 회장으로 선출된 석학이다. 수학동아에서 마리아 에스테반 소장을 직접 만나봤다. 에스테반 교수 인터뷰우리나라와 수학으로 교류가 있었나요?현재 ... ...
- 프랑스의 실패한 달력 혁명과학동아 l2014년 02호
- 교황 그레고리 13세는 독일의 수학자 크리스토퍼 클라비우스를 위원장으로 하는 달력위원회를 만들어 1582년, ‘그레고리력’을 만들었다. 이와 더불어 율리우스력의 누적 오차인 10일을 복구하기 위해 1582년 10월 4일의 다음날을 10월 15일로 정했다. 갑자기 달력에서 10일이 사라진 것이다 ... ...
- [뉴스포커스]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성공적인 수학 축제가 되려면?수학동아 l2014년 01호
- 위해 노력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박형주 조직위원장은 “7년 전 세계수학자대회 유치위원회가 구성됐는데, 이제 대회를 8개월 눈앞에 둔 시점에 왔다”며, “세계수학자대회가 규모도 크고 필즈상 수상자가 배출되는 대규모 행사의 성격에서 더 나아가, 앞으로 대회를 통해 우리나라가 무엇을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