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복
2배
두배크기
배가
d라이브러리
"
이중
"(으)로 총 1,762건 검색되었습니다.
왜 과학자들은 남극을 찾아갈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1961년 남극 조약이 발효될 때에는 12개국이 남극조약에 가입했다. 남극조약은
이중
구조로 돼 있어, 누구나 다같은 자격을 갖는 것이 아니다. 실질적으로 남극연구를 하는 나라만이 이른바‘남극조약 협의당사국’(ATCP) 자격을 획득해 남극에 관한 규정이나 법규를 개폐할 권리가있다. 현재 ... ...
내 휴대폰 외국에서도 잘 터진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수 있다. 011, 017로 로밍 서비스를 이용한 고객은 4월말 현재 약 4만2천여명에 이른다.
이중
자동로밍이 3만명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016, 018 이용자수도 5월 현재 이용자가 약 3만4천여명에 달하고 있다.SK텔레콤측은 “월드컵과 부산아시안게임 등 국제행사가 줄이어 개최돼 국제로밍 서비스가 ... ...
롤러코스터처럼 짜릿한 공학설계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우뇌를 동시에 사용해야 한다는 것. 인간의 두뇌는 크게 좌뇌와 우뇌로 나눌 수 있는데,
이중
좌뇌는 분석적이고 논리적이며 과학적 원리의 사고를 관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말할 것도 없이 과학자나 공학도에게 무엇보다 필요한 능력이다. 이에 비해 우뇌는 주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 ...
공각 기동대 vs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네오는 낮에는 대기업의 프로그래머인 토머스, 밤에는 뒷골목의 헤커인 네오라는
이중
적인 삶을 살고 있는 인물이다. 정체성 찾기 게임의 주인공으로 제격인 캐릭터다.어느날 네오를 찾아온 모피스는 ‘네가 우리의 구원자’라는 황당한 말을 꺼내며 매트릭스의 실체를 보여준다. 이때부터 네오는 ... ...
2. 태초에 수소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만나면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더욱 커지는 엄청난 반발력을 무마할 길이 없다. 하지만
이중
수소는 옆에 끼고 있는 중성자 덕분에 이 반발력을 가라앉힐 수 있다. 최초의 핵융합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두명의 남자(양성자)가 마주보고 눈을 부라리고 있는데 두명의 여자(중성자)가 남자 사이에 끼어 ... ...
물리학 안경으로 통합되는 생명현상 생물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물리학이 생물학의 발전에 큰 기여를 한 사건이 있었다. 1953년 왓슨과 크릭이 DNA
이중
나선을 발견하는데 물리학이 이룩한 X선 회절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이다. 이처럼 지난 2백여년 간 물리학과 생물학은 교감의 수는 적었지만 서로 강렬한 이미지를 남긴 셈이다.그렇다면 21세기에 물리학과 ... ...
날씨따라 가격 변동 시키는 원격제어 자동판매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아예 전자레인지가 작동되지 않도록 안전장치를 마련했다. 내부가 들여다보이는 창은
이중
으로 했고, 만약 창이 깨지면 창의 일부분이 누르고 있던 센서단추가 올라오면서 아예 자판기 시스템이 구동하지 않도록 했다. 07 수백가지 상품 판매하는 무인점포자판기초보적인 로봇 기술 도입자판기의 ... ...
봄에 떠나는 생명 여행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정말 알아야 할 우리 꽃 백가지’를 통해 우리나라 자연을 전해준다.
이중
‘쉽게 찾는 우리 꽃’시리즈는 저자가 직접 전국의 산과 들을 누비며 찍은 사진과 함께 꽃의 특징과 생태 등을 간단히 소개한 책이다. 우리가 그냥 들꽃이라고 불러온 그 많은 꽃들에 저마다 사연이 깃든 예쁜 이름이 있다는 ... ...
보이지 않는 빛 과학으로 찍는다 - 이만홍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찍어야 한다. 즉 ‘
이중
촬영’ 방식이 동원된다.과학실에서 많이 쓰는 알코올 램프도
이중
촬영 기법을 이용한다. 불꽃에 맞춰 빛을 비추면 램프가 잘 나오지 않고, 램프에 빛의 양을 맞추면 불꽃이 잘 나오지 않는다. 빛을 약하게 해 불꽃을 찍은 뒤 다시 빛을 강하게 비춰 램프를 찍으면 불꽃이 붙은 ... ...
공개된 파일에 숨겨진 음모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16세기, 엘리자베스에 역모를 꾀한 스코틀랜드의 메리 여왕은 비밀 지령을 암호화했지만
이중
첩자에게 그 음모가 담긴 문장을 빼앗겨 머리를 잃고 말았다. 암호화된 정보는 들키면 결국 풀리게 마련이다. 그렇다면 들키지 않아야 한다. 숨기는 일이야말로 최상의 비밀이라는 상식을 고대의 역사가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