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환
교환
전향
전도
변경
전화
d라이브러리
"
전환
"(으)로 총 1,626건 검색되었습니다.
에이즈 범인 잡은 계통유전학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한 퓨린 염기가 다른 퓨린 염기로 바뀌는 것이다. 즉 A가 G로, C가 T로 바뀌는 형태다. 염기
전환
은 피리미딘 염기가 퓨린염기로 또는 그 반대로 바뀌는 것으로 A가 T로 C가 G로 바뀐다.일반적으로 일어나는 DNA 변화는 염기전위다. 염기전위는 시간에 따라 거의 비례해서 변하다가 어느 지점부터는 ... ...
이라크전 임박 계기로 본 미래전쟁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약 2백년 동안 인류의 발전을 이끌어온 산업문명 패러다임이 정보문명 패러다임으로
전환
됨에 따라 전쟁 수행방식과 양상도 본질적으로 변화되고 있다. 산업시대의 전쟁 방식 및 양상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정보전쟁과 네트워크 중심전쟁 같은 새로운 전쟁형태가 발전되고 있다.19세기가 총과 대포에 ... ...
① 돌리는 태어날 때부터 6살이었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수의학과 황우석 교수팀이 해파리의 형광 발광 유전자(GFP)를 체세포에 삽입한 형질
전환
돼지를 출생시켰다. 그런데 그 가운데 한마리가 출생 4개월만에 복부와 턱 밑의 피부에 주름이 지고 울음소리가 늙은 돼지와 유사하는 등 조기노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황우석 교수는 “서울대 연구팀이 현재 ... ...
비밀번호 훔쳐도 현금 인출 못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입력해도 경보 시스템을 작동시킨다.센서는 스크린에 가해지는 압력을 전압으로
전환
했을 때 이를 측정할 수 있는 특수한 폴리머(분자량이 작은 물질이 여러개 중합된 화합물)로 이뤄져 있다. 입력하는 사람이 누구냐에 따라 스크린을 누르는 압력이 다르기 때문에 센서가 측정하는 전압이 달라지는 ... ...
NASA '아기우주' 사진 공개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막 태어났을 때 우주의 모습은 어땠을까. 지난 2월 11일 미항공우주국(NASA)은 이제까지 찍은 사진 가운데 가장 선명한 우주의 ‘아기사진’을 공개했다. 2001년 6월에 발사된 NASA ... 존 바콜 박사는“우주가 어떻게 형성되고 진화했는지를 이해하는 혁명적인
전환
점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 ...
사이언스 북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특별함은 무엇보다 책의 구성에 있다. 첫장부터 마지막장까지 왼쪽에는 과학의 역사에서
전환
점으로 기록될만한 사건에 대한 설명이, 오른쪽에는 그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가 파격적인 크기로 실려있다.인류가 최초로 수를 세기 시작한 기원전 35000년전부터 인간 유전자 지도가 완성된 2000년까지 ... ...
인터넷으로 밝혀진 좁은 세상의 구조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바꿔 생각한 것이다. 복잡성을 무작위성으로 바꿔보았던 에르도쉬와 레이니의 사고의
전환
은 좁은 세상을 구현하는 훌륭한 네트워크 모형을 만들어준 것이다.에르도쉬와 레이니의 논문 발표 이후 무작위적 네트워크는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에서 절대적인 위치를 차지했다. 때문에 사회학자나 ... ...
1 생명 현상 조절의 실체 단백질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공통적인 기반 기술이 필요했다. 즉 유전체학에서 DNA 증폭기술(PCR)이 게놈구조 연구의
전환
점이 된 것처럼 단백질도 무엇인가 핵심적이고 기반적인 기술이 필요했다. 인간게놈 연구의 열기가 서서히 식어갈 즈음 분위기가 무르익기 시작했다. 바로 2차원 전기영동과 질량분석기, 바이오인포매틱스의 ... ...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관계를 밝히는 효모 2-하이브리드 방법과 TAP-태그 방법은 프로테오믹스 연구에 획기적
전환
점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다.국내에서도 이 방법을 이용한 단백질 네트워크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필자의 연구팀에서는 세포막의 유동성을 관장하는 포스포리파제D2와 연결된 단백질 분자 ... ...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시작한 흡착 기술은 비행시간 측정법과 결합하면서 고분자물질의 질량 분석에 획기적
전환
점을 가져 왔다. 이 방법을 이용하면 단백질의 분자량을 정확하게, 즉 단백질 배열순서에 따른 정확한 값을 분석할 수 있다.하지만 이 경우도 문제가 없는 것은 아니었다. 레이저를 이용해 흡착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