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식
점심밥
d라이브러리
"
중반
"(으)로 총 1,13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환경을 지키는 녹색바람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가능한 나트륨·유황 배터리를 개발했다. 이 배터리를 활용한 버스 트럭 승용차를 90년대
중반
에 대량생산할 것으로 전시회에 참여한 한 관계자는 설명했다.원래 ABB는 도시 교통난을 해결하고 석유에너지를 절약하는 기술을 연구하다가 대기오염을 줄일 수 있는 기술개발에 눈을 돌리게 됐다고 ... ...
PART2 볍씨 개량 도전 1백년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때 우리의 입맛에 알맞는 맛있는 볍씨를 만드는 것은 볍씨개량의 최대 현안이다. 80년대
중반
까지만 해도 일본에서 개량하여 도입한 아키바레 품종이 우리 국민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가 있었으나 최근에는 우리나라에서 육성한 화성벼 진미벼 일품벼 등이 아키바레의 밥맛을 훨씬 능가하는 좋은 ... ...
PC용 소프트웨어 삼총사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손으로 컴퓨터를 만져보게 되니 이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는 오죽했겠는가.그러나 80년대
중반
까지 우리나라에서 유행했던 8비트 컴퓨터에서는 컴퓨터 사용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워드프로세서 기능조차 마음대로 되지 않았다. 거금(?)을 투자해 컴퓨터를 샀던 사람들의 실망은 대단히 컸다. 8비트 ... ...
안정된 자세로 임무 수행 순조로워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이현우 김성헌 최경일 유상근 김형신 박강민 장현석 박성동 민승현, 이들은 모두 20대 초
중반
)은 과기대를 졸업하자마자 인공위성 연구센터에 선발돼 소형 과학위성 개발로 유명한 영국 서리 대학으로 유학갔다. 여기서 위성학을 공부하면서 중간중간에 서리 대학의 도움을 받아 우리별1호 제작에 ... ...
지의류 생태계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가진 클라도니아(Cladonia)종의 지의류는 역시 방사능 낙진도 흡수하였다. 1960년대
중반
에 주로 순록의 고기를 먹고 사는 라브라도인들은 스트론튬 90과 세슘 137을 그들보다 남쪽에 사는 핀란드인들에 비해 30배나 더 많이 섭취하였다고 한다. 캐나다에서는 이뉴이트족의 모유(母乳)가 같은 물질에 ... ...
2. 뇌파 낮추면 마음의 평안 얻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사람들에게는 잘 일어나고 어떤 사람들에게는 잘 일어나지 않는다. 왜 그럴까.20세기
중반
까지는 누구나 수련을 오래하거나 여러 번 반복하면 똑같은 이완상태에 들어갈 수 있을 것이라고 추정하였고 의사들 또한 그렇게 믿어왔다. 그런데 1960년대부터 왜 어떤 사람들에게는 변화들이 빨리 일어나고 ... ...
시베리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러시아가 자랑하는 바이칼 콤비나트의 중심도시로 각종 공업이 발달되어 있다. 1980년대
중반
부터는 바이칼호 주변의 오염을 막고 자연을 보호하기 위한 '연안보호구역'으로 지정되면서 많은 연안 도시들과 함께 발전에 제약을 받고 있기는 하지만, 새로운 국제적 관광지로 각광 받고 있다.잠재력이 ... ...
2 흑연 다이아몬드에 이은 제3의 화합물 ${C}_{60}$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구를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로 사용하는 연구가 현재 진행되고 있다.1980년
중반
에 질량분석기라는 장치를 이용, 그 존재를 밝혀낸 이후 1990년에는 사람의 손으로 만지고 육안으로 관찰할만한 양의 풀러렌이 얻어졌다. 그후 여러가지 희한한 추측과 실험결과들이 연이어 발표됐다. 이들 중 ... ...
냉동수정란 수난 시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이렇게 보존된 수정란은 1990년 한해동안만 전미국에서 2만3천여개. 냉동보존은 80년대
중반
부터 보급되기 시작했는데 수정란이 4내지 8구체 단계에서 액체 질소로 냉각한다면 이론적으로는 수백년 이상 보존이 가능하다.이 냉동수정란은 이후 어떻게 쓰이는 것일까. 사용에 대한 지침이 없어 각 ... ...
1 제철용 코크스에서 우주정거장까지 날로 확대되는 탄소의 영역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전극 등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에디슨의 탄소필라멘트를 뒤이어한편 1950년대
중반
부터 일어나기 시작한 미 · 소간의 우주개발경쟁은 다양한 특성을 겸비한 신소재의 개발을 촉진시켰으며, 그중에서도 가장 획기적인 소재가 탄소섬유이다. 최초의 탄소섬유로는 1875년에 미국의 에디슨이 발명한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