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옷감
피륙
직물
헝겊
천개
천달러
chen
d라이브러리
"
천
"(으)로 총 5,28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킬레스와 헬레네는 상상 속 인물?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기원전 1
천
2백년 경, 트로이의 왕자 파리스는 스파르타 메넬라오스 왕의 아내인 절세미인 헬레네를 유혹한다. 메넬라오스의 형인 미케네 왕 아가멤논은 동생의 명예를 회복하고 헬레네를 되찾기 위해 용맹한 전사 아킬레스를 대동하고 트로이와 전쟁을 일으킨다.그리스 시인 호메로스의 서사시 ... ...
해저케이블로 해류를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있다. 동해는 세계 대양의 축소판이기 때문이다. 최고 수심이 대양의 평균수심과 유사한 4
천
m 정도이며 대양의 아열대, 아한대 순환형태와 유사한 상층 해수순환이 일어나고 있다. 동해 북부해역에서 겨울철에 형성된 심층수가 가라앉으며 동해 전해역으로 순환하는 형태는 북대서양의 노르웨이 ... ...
최초의 새는 날개가 넷?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마이크로랩터도 팔다리에 깃털이 달려있었기 때문이다. 마이크로랩터는 시조새보다 2
천
만년 후에 살았지만 4장의 날개로 하늘을 날았던 새에 가까운 생명체다. 반면 시조새는 긴팔을 제외하면 새의 골격구조가 아니라 오히려 육식공룡에 가깝다고 크리스찬센 교수는 주장했다.마이크로랩터 화석과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언론플레이라는 비난을 면치 못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사회가 지금까지 교수협의회 추
천
인사를 비공식적으로 인정해왔으면서 이번에 ‘갑자기’ 러플린의 공모 참여 사실을 공개한데 대해 일부 교수와 학생들은 “그 취지와는 상관없이 결코 투명하지 못한 처사”라는 반응이다. 러플린 교수가 ... ...
남녀까지 식별하는 위성사진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분광영역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고성능 분광센서도 조만간 국산화될 전망이다. 또 악
천
후에도 지표면을 관측할 수 있어 첩보 목적이나 자원탐사에 폭넓게 활용되는 레이더 센서 역시 현재 상용화를 눈앞에 두고 있다.이처럼 2002년 세계시장 규모가 20억 달러에 이를 정도로 위성영상분야는 ... ...
색동옷에 숨겨진 전통염색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들여야 제대로 된 보라색을 얻을 수가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녹색도 먼저 쪽물들인
천
에 황련 또는 황백물을 들여야 색을 오롯이 얻을 수 있다. 간색을 내는 데에는 백(서)→청(동)→황(중앙)→홍(남)→흑(북)라는 염색순서가 있기 때문이다.조상들은 이같은 간색의 원리로 보라색, 주황색, 녹색 등 ... ...
내 부모는 예외일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1백만명 정도가 이 병에 시달리고 있다. 국내의 경우 정확한 통계자료는 없으나 인구 1
천
명 당 1명의 비율로 파킨슨병이 발병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과학자들은 1950년대 후반 파킨슨병 환자를 부검한 결과 뇌에서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의 양이 매우 적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 후 1960년대에 ... ...
9
천
년 전 최초 집고양이 유골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있다. 그러나 이제 고양이의 역사를 새로 써야할지 모른다. 지금까지 알려진 것보다 5
천
년 이상 앞선 집 고양이 유골이 발굴됐기 때문이다.‘사이언스’ 4월 9일자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최초의 집고양이는 지금으로부터 약 9
천
5백년 전 키프로스에 살던 것이었다. 고양이 유골은 신석기시대 ... ...
바이러스 찾아내는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한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 개체 하나의 무게는 약 10아토그램(ag)이다. 아토그램은 fg의 1
천
분의 1(${10}^{18}$분의 1g)이다. 연구 책임자인 해럴드 크레이그헤드 교수는 나노 다이빙대에 얹혀진 6ag의 금 입자를 측정하는데 성공, 바이러스 검출까지 가능함을 증명했다고 밝혔다.이같은 형식의 바이러스 ... ...
아빠없이 태어난 쥐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H19는 정자의 부계 각인 유전자인 것.연구팀은 미성숙 난자에서 H19 유전자를 포함한 1만3
천
여개의 염기를 떼냈다. 그 결과 정자를 대신하게 된 미성숙 난자는 다 자란 난자와 결합해 정상적으로 수정란을 형성했다. 또한 태아가 자라는 동안에는 정자를 대신한 미성숙 난자에서 유래한 Igf2 유전자가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