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d라이브러리
"
천문학
"(으)로 총 1,635건 검색되었습니다.
제13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큰곰자리 나선은하 M81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보기 드문 현상을 찍은 작품이 눈길을 끌었다. 심사위원장인 이명균 서울대 교수(
천문학
)는 “일반부문의 수상작은 모두 우열을 가리기 힘들 정도로 좋은 작품이 많았다”고 밝혔다. 모든 당선작은 천문연구원(www.kao.re.kr)과 동아사이언스(www.dongaScience.com) 홈페이지에서 만날 수 있다. 시상식은 4월 ... ...
6년만에 일어나는 1등성 성식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선결과제가 해결돼야 한다. 허공에 떠있는 달의 위치를 정확히 측정하는 것! 많은
천문학
자들이 오래 전부터 이 문제를 고민해왔는데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간단한 방법은 바로 성식을 이용하는 것이다.성식(星蝕)이란 달이 별 앞을 지나가면서 별을 가리는 현상이다. 달에 비해 별은 무한히 멀리 ... ...
과학자가 직접 그리는 만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그가 이론을 세울 당시에는 우주가 운동하는 동적인 존재라는 사실을 보여 주는
천문학
적 관측 결과가 전혀 없었기 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 우주는 매우 불안하여 조금만 충격을 받아도 바로 쪼그라들 수 밖에 없었습니다. 이 문제는 허블의 팽창 우주가 해결해 주었습니다 ... ...
우주의 신비를 찾아나선 대서사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신비를 파헤치는 풍부한 상상력과 통찰로 사람들의 감성과 눈을 사로잡는다. 현대
천문학
의 거장인 그는 에라토스테네스, 데모크리토스, 히파티아, 케플러, 갈릴레오, 뉴턴, 다윈 같은 과학의 탐험가들이 개척한 길을 따라가며 현대 과학의 눈부신 성과와 인류 앞에 놓여 있는 신비한 수수께끼들을 ... ...
우주는 여전히 출산 중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2004년 12월은 은하를 연구하는
천문학
자들에게는 기억에 남을 달이다. 1일과 21일 흥미로운 관측 결과가 연이어 발표됐기 때문이다. 1일
천문학
... 이유는 아직 미스터리로 남아있다. 이제 막 가까운 거리에 있는 아기 은하 연구를 시작한
천문학
자들이 어떤 대답을 찾아낼지 지켜볼 일이다 ... ...
마젤란이 본 것은 성운 아닌 은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성운이 아니라 제멋대로 생긴 은하다. 실제로 NGC 346이 성운이다. 19세기까지 대부분의
천문학
자들은 뿌옇게 보이는 은하를 성운이라고 오해했다. 마젤란성운 대신 마젤란은하라는 용어가 맞는 표현이다.소마젤란은하는 지구에서 21만 광년 떨어진 채 우리 은하를 돌고 있는 위성 은하다. 이 은하는 ... ...
슈퍼컴퓨터로 우주 만들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나온 ‘가상 우주’의 모습과 실제 관측되는 우주의 모습을 비교하기 위해서다.
천문학
자들은 우주의 비밀을 풀기 위해 ‘양면 공격’을 시도하고 있다. 거대망원경으로 은하들의 분포를 넓고 깊게 관측하는 ‘우주 측량’을 하는 한편, 슈퍼컴퓨터로 현재까지 알려진 표준 우주 모형에 따라 ... ...
80시간의 세계 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에를랑겐 대학에서 법률을 공부하고 괴팅겐·쾨니히스베르크 대학에서는
천문학
을 배웠다 괴팅겐 대학에서 K F 가우스, W E 베버와 알게 되어 그들의 발명인 자침 전신기를 개량했다1832년 뮌헨 대학 교수에 취임했으며 49년에는 오스트리아 정부의 초청을 받아 통신망을 완성했다 55년 뮌헨에 광학기계 ... ...
우리은하의 비밀 간직한 막대나선은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별이 많다. 실제 나선 팔 곳곳에 보이는 파란빛은 젊은 별들에서 나온 것이다.물론
천문학
자들이 마티니 은하를 허블우주망원경으로 관측한 목적은 술을 연구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은하에서 막대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밝혀내 우리은하의 탄생 비밀을 벗기기 위한 것이다. 우리은하도 ... ...
효소 이용해 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20가지나 되기 때문. 수백개나 되는 자리 각각에 20종이 올 수 있으므로 경우의 수가
천문학
적이다. 예를 들어 아미노산 3개로만 이뤄진 사슬의 종류도 8000(20×20×20)가지나 되며 10개로 이뤄진 사슬은 10조가지가 넘는다. 따라서 수백개로 이뤄진 사슬의 종류는 사실상 무한정이다.자연계에 존재하는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