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통과"(으)로 총 2,9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 내손으로 디자인한다! 수학동아-넥슨 게임 카페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게임이에요. 마법사의 지팡이에서는 빛이 나오는데, 거울을 이용해서 악마에게 빛을 통과시키면 악마를 무찌를 수 있어요.- 석누리, 송태솔, 박시후, 오승헌.4모둠 뉴욕시를 청소하는 청소차가 도로에 있는 쓰레기를 최소한의 연료를 가지고 청소할 수 있도록 청소차의 경로를 그리는 라인드로잉 ... ...
- 6개 염기 가진 인공 생명체 탄생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확인할 수 있었다.이번에 개발된 인공 염기쌍을 이용하면, 독성아미노산을 단백질에 통과시켜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죽이는 방법 등을 개발할 수 있다. 롬스버그 박사는 “우리가 만든 것은 유전정보가 늘어난 살아있는 세포”라며 “4개가 아닌 6개 문자로 책을 쓴다면, 더 재미있는 이야기를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굴절돼 휘돌아 나가기 쉬운데, 재료의 굴절률이 유리의 굴절률(1.5)보다 크면 가시광선을 통과시켰을 때 빛이 심하게 산란되는 것이다. 이번에 김 교수가 개발한 메타물질은 굴절률이 3 이상인 유전체로 만들어졌다. 그는 “정말 유리처럼 투명하게 보이려면 굴절률이 최소한 2 이하인 재료로 ... ...
- 개와 고양이가 자외선을 본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죽은 여러 종류의 동물들을 기증받았어요. 그리고 동물의 눈에 자외선을 쏘아 수정체를 통과해 망막까지 도달하는지 측정하는 실험을 했지요. 그 결과 개와 고양이, 흰담비, 고슴도치 같은 동물은 자외선이 수정체를 지나 망막에 도달하는 것을 알아냈어요. 이 동물들은 자외선을 볼 수 있다는 ... ...
- 투명망토로 지진파 돌려보낸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4월 4일자에 발표했다.메타물질은 흔히 ‘투명망토 기술’로 불린다. 통과하는 빛이 물체에 직접 닿지 않아 마치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 것처럼 되기 때문이다. 물체 주변을 원자로 촘촘하게 둘러싸 빛이나 소리, 진동과 같은 ‘파동’의 흐름을 조작하는 게 핵심이다. 메타물질을 이용하면 에너지를 ... ...
- 수학계 최고의 스승과 제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4년 05호
- 푸아송이 논문 발간에 실패한 저를 놀려댔지만, 저는 4년 뒤 논문 내용을 보완해 결국 통과했지요. 당시에는 스승님에게 섭섭했지만,지금은 푸리에 급수가 데이터를 압축하거나 소리를 분석하는 데 활용되고 있어서 뿌듯해요.로피탈의 정리* 함수의 극한에 관한 정리 중 하나다. 함수의 미분값을 ... ...
- 지금은 소프트로봇 시대 - 로봇이 림보도 하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계란과 살아있는 쥐를 잡는 데 성공한 바 있다. 이런 유연함으로 복잡한 지형을 쉽게 통과할 수도 있다. 위험한 재난 지역의 수색 및 구조 작업에도 투입될 전망이다.소프트로봇 무기는 이미 상용화 단계에 들어섰다. 가정용 청소기 로봇으로 유명한 미국의 아이로봇(iRobot)사는 ‘에어암(AIRarm)’이라 ... ...
- 그녀는 왜 물탱크를 버렸을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보면, 먼저 부패조에 하수를 모아 미생물로 분해하고 다 분해하지 못한 오물을 록 필터를 통과시켜 분해했다. 록필터의 돌 표면에는 미생물이 살고 있는데, 이 미생물이 2차 분해자 역할을 했다. 마지막으로 미생물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 습지를 조성해 미생물 찌꺼기가 가라앉도록 했다. 실제로 ... ...
- “우주선부터 인공장기까지 필요한 건 다 만듭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나노 단위의 막을 이용해서 물질의 정보를 분석하는 거예요.특정 성분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는 아주 얇은 고체로 된 막인 멤브레인을 사용합니다. 물속에서 멤브레인에 10nm 보다 작은 구멍을 하나만 열어놓고 전기장을 걸면 DNA가 구멍 속으로 빨려 들어갑니다. 두께 1.5nm 정도인 DNA 가닥이 실타래 ... ...
- 중단된 마라톤 기록, 수학으로 되찾는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참가자들이 마지막으로 지난 체크포인트(구간 기록을 구하기 위해 5km마다 지나는 지점) 통과 기록을 가지고 통계학적으로 완주 기록을 예측할 수 있다고 제안한 것이다.스미스 교수가 사용한 방법은 K 근접 이웃(K-Nearest Neighbor)이다. 이 방법은 구하고자 하는 값과 비슷한 기존 기록 중에서 유추를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