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자"(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살이란 무엇인가?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해설을 들어보자.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살은 무엇인가? Part1. 물리학자의 뱃살은 왜 늘어나는가?Part2.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 └[인포그래픽] 유전자로 보는 지방세포의 운명Part3. 살이 빠지는 화학반응이 있을까?Part4. 뇌는 왜 자꾸 먹으라고 명령하나 ... ...
- 글로벌 제약 사업에 뛰어든 바이오 전문가 “인생의 멘토를 만드세요”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됐을 만큼 그는 내 인생 최고의 멘토였다”고 말했다. 연구와 임상 연결하는 과학자이자 경영자 MIT를 떠날 무렵 기초연구와 임상을 연결하는 중개의학(translational medicine)에 도전해보고 싶었던 권 부문장은 그간의 경력을 인정받아 미국 하워드휴스의학연구소(HHMI)에서 전문연구원 자리를 ... ...
- [DJ 맹추의 수담수담] 수학을 빛낸 신스틸러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상금을 주고 수학 학술지 ‘수학 동향’에 실어 주겠다는 조건을 걸었죠. 물론 수학자들의 관심은 단연 다체 문제로 쏠렸습니다. 이미 천재로 정평이 난 푸앵카레는 참신한 아이디어가 담긴 300쪽짜리 풀이와 함께 풀이 검토를 맡은 심사위원에게 아이디어를 설명한 100쪽 분량의 설명집을 ... ...
- 키보드 1시간 두드리면 살 얼마나 빠질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일부는 우리 몸에 살로 축적될 것이다. 바로 이 칼로리라는 단위를 필자와 같은 물리학자들은 힘과 에너지를 설명하기에 더 적합하도록 줄(J)로 환산해 사용한다(1cal는 약 4.186J). 이제 손가락으로 자판을 두드릴 때 사용하는 에너지를 계산해 보자. 계산의 복잡도를 줄이기 위해 필자의 손가락 ... ...
- [특집] 비밀의 방 - 보이니치 필사본을 해독하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위해서는 어떤 언어로 작성했는지부터 알아내야 한다. 기호학자들은 미국의 언어학자 조지 킹슬리 지프가 만든 ‘지프의 법칙’을 활용했다. 글 속에 가장 많이 나오는 단어가 n번 등장할 때 두 번째로 자주 쓰이는 단어는 n/2번, 세 번째로 자주 쓰이는 단어는 n/3번으로 각 순위에 반비례한다는 ... ...
- 사라지는 역사 디지털로 살린다, 문화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이렇게 과학적 방법을 이용해 문화재의 비밀도 밝히고, 문화재를 지키기 위해 연구하는 학자들이 점점 많아지고 있어. 궁금하면 날 따라와!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사라지는 역사 디지털로 살린다, 문화재Part1. 문화재가 간직한 비밀을 밝혀라!Part2. 문화재, 실시간으로 감시한다!Part3 ... ...
- [매스미디어] 수학이 보이는 자칭 먹방 예능, 도레미마켓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몬더그린을 자주 겪게 됩니다. 음성 인식에도 쓰이는 몬더그린 극복 방법영국의 신경학자 올리버 색스는 몬더그린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므로 다른 정보를 이용해 몬더그린이 발생했다는 사실을 알아차리고 고치면 충분하다고 말합니다. 실제로 도레미 마켓의 출연진은 처음에는 들리는 대로 엉뚱한 ... ...
- n번방 사건, 텔레그램은 정말 아무 잘못이 없을까?수학동아 l2020년 05호
- 2008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마스카와 도시히데 일본 교토대학교 명예교수는 저서 ‘과학자는 전쟁에서 무엇을 했나’에서 연구자가 가져야 할 윤리 의식을 끊임없이 이야기한다. 디지털 기술 없이는 어떤 일도 할 수 없는 현 시점에서 마스카와 교수의 말은 다시 한번 새겨들을 만하다 ... ...
- [가상인터뷰] 나비, 날갯짓으로 체온을 유지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우리의 눈에는 나비의 색으로 보이는 거야. 이러한 구조를 ‘광구조’라고 한단다. 과학자들은 이러한 구조를 본따 색소를 사용하지 않고 색을 표현하는 미세입자 등을 만들고 있지. 또 나비의 부드러운 날갯짓에서 영감을 받은 로봇용 인공근육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단다 ... ...
- [과학동아천문대 소식] 왜소은하 찾고, 시민과학자가 되어 봐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있거든요. 하지만 크기도 작고 어둡다 보니 왜소은하를 발견하기란 쉽지 않아요. 천문학자들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예측한 것보다 훨씬 적은 수의 왜소은하를 발견했지요.이에 과학동아천문대는 연세대학교 은하진화연구센터와 ‘왜소은하 찾기’ 시민참여과학 프로젝트를 마련했어요.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