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계"(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예수는 어떤 와인을 마셨을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아닐까. 난파선에 보존된 200년 전 샴페인사실 2000년 전 와인의 맛을 추측한다는 것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와인 제조법을 본격적으로 연구하고 기록으로 남기기 시작한 것은 중세 이후라 기록이 부족하다. 토기에 남아있는 성분으로 맛을 추적하는 것도 어려움이 있다. 와인의 단맛을 내는 ...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KISTI) 산업정보분석실 연구원은 “자기유도방식은 충전거리 문제로 한계가 있다”며 “앞으로는 A4WP의 자기공명방식으로 시장이 재편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실제로 2014년 12월 특허청에서 발표한 무선충전기술의 국내특허출원 동향만 봐도 자기유도방식은 2009년 102건에서 2013년 54건으로 줄어든 ...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아르키메데스의 방법은 적분과 닮았습니다. 하지만 아직 극한이라는 개념이 없어서 분명 한계가 있습니다. 특히 적분의 짝꿍, 미분이 세상에 나오기까지는 2000년에 가까운 시간이 필요했습니다. 환상의 파트너미분은 곡선 위의 한 점을 지나는 접선의 기울기를 구하는 과정에서 태어났습니다. 보통 ... ...
- [생활] 수학과 화학의 맛있는 만남 분자요리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첫 번째 시험관에 든 스프를 들이킨 다음, 삼키지 말고 두 번째에 든 연어를 먹으세요. 음미하다가 세 번째에 든 소스를 마셔요. 그리고 마지막 시험관에 든 연어 알을 톡 ... 입맛을 충족시켜주지 않을까? 훨씬 더 새롭게, 더 신선하게, 더 특별하게 변신하고 있는 요리에는 한계가 없다 ... ...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오기 전에는 에어로넷(왼쪽 위 사진)이 유일한 원격측정장비였는데, 고체만 측정 가능한 한계가 있었다. 이제 에어로넷과 판도라가 짝을 이뤄 기체와 고체 모두를 측정한다. 하늘을 날며 대기질을 관측할 수 있는 NASA의 대형항공기 DC-8 초미세먼지 중 몇%가 중국 것인가늘 어디론가 훌쩍 떠나는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신경세포의 연결이 시시때때로 바뀌어요. 따라서 죽은 사람의 뇌로 연구를 하는 데는 한계가 있지요. 이에 과학자들은 사람 대신 쥐를 이용해 뇌 연구를 하고 있어요. 존 오키프 교수와 부부 과학자인 마이브리트 모세르 교수, 에드바르드 모세르 교수도 쥐의 뇌를 연구한 결과로 2014년 10월 ... ...
- PART 1 인공지능 디스토피아는 없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18개월에 2배씩 향상된다는 ‘무어의 법칙’이 수십 년 안에 끝날 것으로 본다.이런 한계를 타파하기 위해 다양한 컴퓨터가 시도되고 있지만, 아직은 그 성능이 기대에 못 미친다. 미국 IBM사는 지난해 8월 뉴런과 시냅스 구조를 모방해 인간 두뇌와 같은 원리로 동작하는 컴퓨터용 마이크로 프로세서 ...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약 340ms 뒤에 두 번째 그림을 의식적으로 인지한다고 결론내렸다. 그리고 시각적으로 한계가 있어서 중의적인 그림임을 알더라도 두 모습을 동시에 볼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아주 작은 변화가 큰 변화로~그렇다면 왜 그림 하나가 두 가지로 보이는 걸까? 수학자들은 중의적인 그림을 볼 때 지각에 ... ...
- PART 3 딥러닝, 인공지능을 혁신하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처음 보는 필체라도 숫자 5라는 걸 알아차릴 수 있다. 초기 인공신경망은 컴퓨터 성능의 한계 때문에 원시적인 수준이었지만, 기술 발달로 훨씬 복잡한 심층인공신경망으로 진화했다. 심층인공신경망은 입력단과 출력단 사이에 노드가 많아져 더 정교하고 복잡한 계산을 할 수 있다. 서두에 ... ...
- Part 3 특종 인공번개 쏴라~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생겼다. 그리고 약 50m짜리 거대 인공번개가 나타났다.하지만 이렇게 만든 번개에도 한계가 있다. 실제와 똑같이 대기 중에 방전이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또 번개가 지나간 자리에서 공기가 팽창하면서 생기는 천둥도 일어나지 않는다. 낙뢰로 인한 피해를 줄이는 연구를 하기 위해서는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