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호주"(으)로 총 1,268건 검색되었습니다.
- 반짝반짝 빛나라! 조명의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23호
- 조명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약 50억 달러 이상의 전기세가 낭비되고 있대. 그래서 미국, 호주, 칠레 등 일부 나라에서는 이미 필요 이상으로 밝은 조명을 규제하는‘빛 공해 방지법’을 시행하고 있어. 또한 많은 기업에서는 빛 공해를 줄이기 위한 방법을 연구하고 있는 중이야. 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 ...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 보너스 화보 2007년의 특이한 신종 생물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7호
- 자신에게 독이 있음을 광고하고 있을지도 모른다는 의견을 밝혔다. 나는야 미쉐린맨~호주 서부에서 발견된 이 식물은 독특한 모양 때문에 주목할 만한 신종 생물에 선정되었다. 바로 타이어 회사의 광고 캐릭터인 미쉐린맨과 모양이 비슷한 것. 얼마나 비슷하냐고? 직접 비교해 보시라~ ... ...
-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구!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4호
- 진행해 왔어요. 그 중에는 실리콘 원자의 수를 기준으로 하는 방법도 있는데, 이를 위해 호주 정밀광학센터에서는 순수한 실리콘으로 이뤄진 구를 만들었어요. 이 구는 표면의 거칠기가 0.3㎚ 이하로, 현재까지는 세상에서 가장 완벽한 구라고 하네요 ... ...
- “두 발로 쌩~!”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08년 13호
- 달리는 게 정말 네 발로 달리는 것보다 빠른지 알아본 거죠. 연구팀은 다양한 크기의 호주산 도마뱀 16종을 러닝머신처럼 생긴 기계 위에서 달리게 하면서 결과를 분석했답니다. 저도 참여했었는데, 계속해서 뛰는 게 쉽진 않더군요.달리는 도마뱀들은 좀 힘들었겠지만 정말 흥미로운 연구군요. ... ...
- 겨울 재촉하는 밤하늘 불새과학동아 l2008년 12호
- 동호회 정회원이다. 독자사진 지난달 수상작 박혜영 씨의 ‘대마젤란과 소마젤란’. 호주 서부 사막에서 대마젤란은하(가운데 구름 같이 뿌연 부분)와 소마젤란은하(오른쪽 위 모서리)를 찍었다. 보면 장수한다는 전설이 있는 노인성(왼쪽 아래 밝은 별)도 함께 찍혔다 ... ...
- ‘순간’을 필름에 담는 엔지니어과학동아 l2008년 12호
- 수 있구나’라고 깨닫는 순간이었다. 그때부터 그의 옆엔 늘 카메라가 있었다. 2000년 호주에서 열린 학회에 참석하기 위해 여장을 꾸릴 때도 FM2를 넣었다. 남반구의 별자리를 언제 또 찍을 기회가 있겠냐 싶었다. 낮에는 학회에 참석하고 밤에는 도시 이곳저곳을 배회했다. 남십자자리와 ... ...
- 지구 멸망 시나리오 3과학동아 l2008년 12호
- 충돌이 언제 일어날 것인가 하는 점이다.변용익 교수 연세대 천문기상학과를 졸업한 뒤 호주국립대에서 천문학과 천체물리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2년 미국 NASA의 허블펠로우쉽을 수상했고, 하와이주립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지낸 뒤 대만국립중앙대 교수를 거쳐 1998년 연세대에 부임했다 ... ...
- [생태학]물고기 리더는 뚱뚱하고 몸 색깔 진해야과학동아 l2008년 12호
- 여론에 따라 우두머리를 뽑으며, 이에는 일정한 기준도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호주, 스웨덴, 영국, 미국 과학자로 이뤄진 공동 연구팀은 큰가시고기(Gasterosteus aculeatus)가 여론에 근거해 우두머리를 뽑으며 이때 건강, 외모를 기준으로 삼는다는 연구결과를 생명과학저널 ‘커런트 바이올로지’ 1 ... ...
- 400만V 번개에 감동, 입체지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08년 11호
- 출간된 지 150년이 되는 뜻 깊은 해다.다윈은 1831년 비글호에 올랐고 5년간 남아메리카, 호주, 갈라파고스 제도를 비롯한 여러 섬을 탐험하며 동식물을 조사했다. 1859년에는 ‘모든 생명체는 자연에 적응하며 변해간다’는 진화론을 담은 저서 ‘종의 기원’을 발표했다. 특히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 ...
- 2020년 한국판 아이언맨 나온다과학동아 l2008년 10호
- 보호 섬유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탄소나노튜브도 방탄복 소재 제1후보다. 지난해 호주 시드니대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로 방탄복을 만들면 다이아몬드처럼 단단한 총알을 맞더라도 그 총알의 운동에너지를 모두 흡수한 뒤 다시 튕겨내기 때문에 절대 뚫리지 않는 방탄복을 만들 수 있다는 연구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