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세
조류
진행
경향
유입
유통
형국
d라이브러리
"
흐름
"(으)로 총 2,209건 검색되었습니다.
판타스틱! 우주에서 펼쳐지는 마술 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보실까요? 일주운동 (강지수, 일반부 동상)하늘의 별을 한 시간 정도 촬영하면 시간의
흐름
에 따라 회전하는 것처럼 보인다.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이다.제1막 빙글빙글~, 자전과 공전 쇼제1막은 빙글빙글 도는 것이 주특기인 주인공들의 특별 공연입니다. 오, 지구의 위성인 ‘달’님이 첫 번째로 ... ...
태풍의 과거, 그리고 현재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2000년 이후에 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자료 정리와 분석을 통해 우리는 태풍의 발생
흐름
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강한 태풍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것도 알았다. 실제로 기상연구원들은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의 경로나 태풍의 특성과 같은 과거 기록을 분석하면서 미래를 예측하는 ... ...
이제는 우측보행 시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줄어들었던 것.뇌파는 신경계에서 뇌신경 사이에 신호가 전달될 때 생기는 전기의
흐름
이다. 주파수 8~13Hz인 알파파는 심신이 안정됐을 때 늘어나고 13~30Hz인 베타파는 각성이나 긴장 상태에서 우세하다. 따라서 일상에서 환경변화에 따른 뇌 활동의 변화는 주로 알파파와 베타파를 측정해 해석한다. ... ...
승용차의 4배가 넘는 가공할만한 F1 머신의 힘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달리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이 없다. 그래서 진동이 적고 소형 제작이 가능하다. 공기
흐름
에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해 최대한 차체의 부피를 줄여야 하는 머신으로서는 매우 적절한 엔진인 셈이다. 그동안 단점으로 지적돼 온 낮은 효율도 최근 기술개발을 통해 향상되면서 가스터빈 엔진은 현실성 ... ...
슝~! 사랑은 비행기를 타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바람이 더 빠르게 지나가요. 그런데 공기의
흐름
이 빠르면 압력은 작아지고, 공기의
흐름
이 느리면 압력은 커져요. 이걸 ‘베르누이 원리’라고하지요. 그 결과 압력이 큰 날개 아래쪽에서 압력이 작은 날개위쪽으로 밀어 올리는 힘인 ‘양력’이 생겨요. 섭섭박사님과 함께 모험을 하는 동안 ... ...
1 수학책과 친해지기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정말 많거든.또 수학자의 일대기나 수학 이론의 완성 과정을 소개한 책은 수학의 전체
흐름
을 더 쉽게 알 수 있어. 이것은 수학자가 어떤 환경에서 어떤 과정을 통해 이론을 발견했는지 설명해 주기 때문이지.수학책은 학교에서 배운 수학 내용에 흥미를 더해 주기도 해. 방학을 이용해 문제집에 ... ...
위험할 땐 통돌이 로봇 불러주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조금만 잘못 움직여도 앞뒤좌우로 날아다니기 일쑤다. 하늘에 떠 있는 물체는 공기의
흐름
을 받으며 계속 움직여야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사람이 타는 진짜 헬리콥터라도 호버링은 까다로운 기술이다. 헬리콥터를 띄우려는 양력과 앞으로 나아가려는 추력의 합이 중력과 항력의 합과 꼭 같아야 ... ...
인간 심판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판독을 요청해
흐름
을 끊는 식으로 악용될 수도 있다.그렇다면 결론은 간단하다. 경기의
흐름
을 끊지 않으면서 실시간으로 공의 정확한 위치를 심판에게 알려줄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과연 현존하는 어떤 기술이 이 조건을 만족시킬까.1. 매의 눈으로 보는 호크아이축구팬으로 알려진 테니스 ... ...
은하 중심부에 막대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그 지점에서 자동차의 밀도가 높아져 정체가 된다. 사고 처리가 끝나면 이 지역의 교통
흐름
은 다시 좋아지나 다른 곳에서 사고가 나면 그 지역이 또 정체된다. 도시 전체로 보면 어느 지역이 정체됐다가 시간이 지나면 풀리고 다시 다른 지역에 정체 현상이 나타나는 것과 같이, 원반에서 만들어지는 ... ...
진화론은 정말 ‘최종 이론’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아니다”며 “여러 학문이 머리를 맞대고 서로의 입장에서 생각해볼 수 있을 때 모든
흐름
을 읽는 논리가 탄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그는 “진화를 통하지 않고는 세상의 무엇도 설명할 수 없다”면서 통섭의 근간에도 진화론이 깔려 있다는 점에 대해 부인하지 않았다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