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추세
조류
진행
경향
유입
유통
형국
d라이브러리
"
흐름
"(으)로 총 2,209건 검색되었습니다.
판타스틱! 우주에서 펼쳐지는 마술 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보실까요? 일주운동 (강지수, 일반부 동상)하늘의 별을 한 시간 정도 촬영하면 시간의
흐름
에 따라 회전하는 것처럼 보인다. 지구가 자전하기 때문이다.제1막 빙글빙글~, 자전과 공전 쇼제1막은 빙글빙글 도는 것이 주특기인 주인공들의 특별 공연입니다. 오, 지구의 위성인 ‘달’님이 첫 번째로 ... ...
위험할 땐 통돌이 로봇 불러주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조금만 잘못 움직여도 앞뒤좌우로 날아다니기 일쑤다. 하늘에 떠 있는 물체는 공기의
흐름
을 받으며 계속 움직여야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사람이 타는 진짜 헬리콥터라도 호버링은 까다로운 기술이다. 헬리콥터를 띄우려는 양력과 앞으로 나아가려는 추력의 합이 중력과 항력의 합과 꼭 같아야 ... ...
승용차의 4배가 넘는 가공할만한 F1 머신의 힘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달리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이 없다. 그래서 진동이 적고 소형 제작이 가능하다. 공기
흐름
에 방해를 받지 않기 위해 최대한 차체의 부피를 줄여야 하는 머신으로서는 매우 적절한 엔진인 셈이다. 그동안 단점으로 지적돼 온 낮은 효율도 최근 기술개발을 통해 향상되면서 가스터빈 엔진은 현실성 ... ...
꽃잎에 숨어 있는 과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냄으로써 전기를 생산한다. 식물이 광합성 작용을 통해 받은 태양에너지를 전자의
흐름
으로 만들어내 산화환원작용의 에너지로 쓰는 것과 같은 원리다. 식물의 잎이 광합성을 할 때 엽록소라는 염료가 빛을 흡수한다. 이에 비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나노 크기의 염료분자를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 ...
1 수학책과 친해지기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정말 많거든.또 수학자의 일대기나 수학 이론의 완성 과정을 소개한 책은 수학의 전체
흐름
을 더 쉽게 알 수 있어. 이것은 수학자가 어떤 환경에서 어떤 과정을 통해 이론을 발견했는지 설명해 주기 때문이지.수학책은 학교에서 배운 수학 내용에 흥미를 더해 주기도 해. 방학을 이용해 문제집에 ... ...
이제는 우측보행 시대!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줄어들었던 것.뇌파는 신경계에서 뇌신경 사이에 신호가 전달될 때 생기는 전기의
흐름
이다. 주파수 8~13Hz인 알파파는 심신이 안정됐을 때 늘어나고 13~30Hz인 베타파는 각성이나 긴장 상태에서 우세하다. 따라서 일상에서 환경변화에 따른 뇌 활동의 변화는 주로 알파파와 베타파를 측정해 해석한다. ... ...
태풍의 과거, 그리고 현재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2000년 이후에 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자료 정리와 분석을 통해 우리는 태풍의 발생
흐름
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강한 태풍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는 것도 알았다. 실제로 기상연구원들은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의 경로나 태풍의 특성과 같은 과거 기록을 분석하면서 미래를 예측하는 ... ...
슝~! 사랑은 비행기를 타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바람이 더 빠르게 지나가요. 그런데 공기의
흐름
이 빠르면 압력은 작아지고, 공기의
흐름
이 느리면 압력은 커져요. 이걸 ‘베르누이 원리’라고하지요. 그 결과 압력이 큰 날개 아래쪽에서 압력이 작은 날개위쪽으로 밀어 올리는 힘인 ‘양력’이 생겨요. 섭섭박사님과 함께 모험을 하는 동안 ... ...
작은 은하 잡아먹던 과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이는 큰개자리 왜소은하가 우리 은하와 병합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대규모의 별
흐름
이라고 생각된다.행방불명된 왜소은하를 찾아라현재 정설로 인정받고 있는 차가운 암흑물질의 계층적 은하형성 모형에 의하면, 우리 은하의 질량 규모를 갖는 은하는 주위에 수백여 개의 왜소은하가 있어야 ... ...
우주범선, 여름 밤하늘을 항해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요하네스 케플러는 혜성 꼬리의 운동을 관측했다. 그는 이를 토대로 지상의 바람과 같은
흐름
이 우주에는 태양으로부터 분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우주에 범선을 띄울 수만 있다면 우주를 미끄러져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영국의 물리학자 제임스 맥스웰은 1873년에 광자가 반사막 표면에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