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분
일환
부위
갑부
부호
부자
어린이과학동아
"
일부
"(으)로 총 869건 검색되었습니다.
빛의 기원 파헤칠 새 우주망원경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531
있다고 말해요. 부경대 오재호 교수팀이 영국 기상청에 의뢰해 분석한 결과 2030년에는 한반도에 슈퍼태풍이 올 수도 있대요. 그러나
일부
에서는 슈퍼태풍이 몇 년 안에 온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으며 오히려 사회에 불안감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반박하고 있어요. [소제시작]독감 접근 금지![소제끝] 독감을 막는 옷이 개발됐어요. 미국 코넬대학교 과학자와 ...
스파이더맨 결혼 대작전(1)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511
돌연변이를
일부
러 만들려면 방사선을 쏘거나 유전자조작기술을 이용해야 해요. 어떤 원리로? 식물에 방사선을 쏘면 DNA사슬의
일부
가 끊어져요. 즉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유전자에게 사고가 일어나는 거죠. 유전자는 즉시 끊어진 사슬을 이으려고 하는데, 원래의 DNA 조각 대신 다른 것으로 사슬이 이어지는 경우가 있어요. 그러면 돌연변이가 ...
페가수스가 마신 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430
신호를 보내요. 그러면 가까이 있는 다른 로봇들이 그 신호를 보고 음식에 모여들죠. 그런데 연구팀이 로봇의 기능을 점점 높여 주자
일부
로봇들이 음식을 찾고도 다른 로봇에게 ‘독’이라는 신호를 내보냈어요. 특히 음식에 멀리 있어 거짓말을 알아차릴 수 없는 로봇에게만 거짓말을 했죠. 연구팀은 이 현상을 개미나 벌과 비교할 계획이래요. [소제시작] ...
뇌에서 잠 스위치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412
중국과 미국 과학자들이 화석을 조사한 결과 4만 년 전 인류의 턱뼈로 밝혀졌어요. 이 화석은 대부분 현재 인간과 비슷하지만
일부
는 유라시아 대륙에 살았던 고생 인류(인류의 조상)의 특징을 갖고 있었어요. 이것은 인류가 아프리카에서 시작돼 세계로 퍼진 것이 아니라 중국 등 다른 지역에서도 스스로 진화돼 나왔다고도 볼 수 있는 증거예요. 많은 학 ...
우등생 비결은 잠자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228
드라이아이스 등이다. 이런 빗방울 씨 앗에 구름 속의 아주 작은 물방울이 달라붙고 마침내 굵은 비가 되어 내린다. 지금도 중국 등
일부
나라는 이 기술을 쓰고 있는데 미래에는 더 정확하고 부작용이 없는 기술로 개발될 것이다. 눈도 마음대로 만들 수 있어 크리스마스가 되면 세계가 온통 하얗게 될 것이다. 여름과 가을에 큰 피해를 주는 태풍도 발생 ...
한반도에도 큰 지진이 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131
지각판의 가장자리에 있어 판이 움직일 때 충격을 많이 받기 때문이다. 한국은 지각판의 안쪽에 있어 큰 지진이 적다. 그러나
일부
에서는 한반도가 아무르판이라는 작은 지각판의 가장자리에 있어서 이 판이 지금보다 더 활발하게 움직이면 한반도에서도 큰 지진이 일어날수 있다고 말한다. 아무르판의 존재는 아직 과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엇갈리고 있지만 많은 ...
우주로 이사 가는 날!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111
바이오스피어2는 18개월 만에 실패로 끝이 났다. 기대했던 것과는 달리 산소 농도가 줄어들고 이산화탄소가 계속 늘어나는 데다
일부
곤충만이 번식을 하는 등 생태계의 균형이 깨졌기 때문이다. 화성에 대기층을 만들고 식물을 살게 해서 생태계를 만드는 일은 바이오스피어2보다 훨~씬 더 성공하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하늘을 날거나 우주에 가는 일도 ...
썰렁홈즈가 보낸 마지막 편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214
첫 번째 문제를 간단하게 해결했다. 다음은‘○○군’을 맞히는 문제. 이번에도 뭔가 글자를 나타내는 그림이 하나 있었다. 글자의
일부
가 지워져 버린 듯한 그림이었다. “살면서 자기가 해놓은 일들이 생각지도 않게 지워지거나 잘라져 없어질 때도 있을 거야. 하지만 실망할 필요는 없어. 다시 찾을 수 있거든.” mission 3 혼자 살 수 없는 세상 ...
똥의 향기에 취하다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61013
하고 있을 때쯤 푸른빛의 똥차가 똥을 단체로 수거해 간다. 이제 가는 곳은 배수종말처리장. 위에 뜨는 맑은 물을 걸러 낸 뒤 똥의
일부
는 미생물 분해 시설로, 나머지는 지렁이 사육장으로 보낸다. 지렁이는 똥을 먹고 다시 똥을 누는데 이 똥이 기름진 퇴비로 쓰인다. 자연적으로 똥은 그 자체가 완성품이다. 하지만 똥을 바라보는 사회의 시선은 불편하 ...
3짱 프로젝트-여드름 싫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914
흰색 알갱이가 피부 표면 아래에 생깁니다. 이것을 흰색 면포라고 하는데 피부표면으로 올라왔을 때 짜도록 합니다. 흰색 면포의
일부
가 피부 표면에서 공기와 만나 검게 변한 것을 블랙헤드라고 부르는데 이것 역시 살짝 짜도록 합니다. 절대로 짜서는 안 되는 여드름은 염증이 생겨서 붉게 변한 경우입니다. 하지만 이런 붉은 여드름이라도 염증이 곪아 고름 ...
이전
82
83
84
85
86
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