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초록빛
초록색
초록
풀빛
청색
푸르름
신선
뉴스
"
녹색
"(으)로 총 893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요뒷談]로봇 물고기를 기억하시나요
동아일보
l
2013.09.01
로봇 물고기를 4대강에 운용해 2중, 3중으로 수질을 확보할 수 있다. 세계가 대한민국을
녹색
성장의 기수로 보고 있다”며 웃었다. 로봇 물고기는 이 전 대통령이 2008년 2월 취임 직후부터 추진한 4대강 사업이 환경오염 논란에 휩싸이자 이를 돌파하기 위한 ‘승부수’였다. 로봇 물고기의 등장에 ... ...
종이만 있으면 벌새도 뚝딱! 오리가미 초고수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3.08.27
모양의 종이로 만들어진 오리가미 작품이다. 더 놀라운 점은 안나벌새의 몸통(짙은
녹색
부분)은 종이 한 장으로 접어 만든 작품이라는 사실이다. 종이접기 분야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오리가미 창작 활동은 종이를 자르거나 풀칠하지 않고 기하학적으로 접어나가는 예술의 한 분야다. 세계적으로 ... ...
청정바다로 통행금지 당한 ‘낙동강 녹조’
동아일보
l
2013.08.23
상공에서 바라본 낙동강 하류(둑 기준 오른쪽)의 녹조현상. 바다(왼쪽)에 비해 짙은
녹색
을 띠고 있어 명확히 대조된다. 부산=서영수 기자 kuki@donga.com [화제의 뉴스] - ‘대마초 셀프 제조’ 가능한 이유 알고보니… - 100억 위조수표 주범, 한달에 15억 펑펑 - 로스쿨 출신 법조인 취업 막은 대한변협 - ... ...
나노미터급 '픽셀'로 분자에 색을 칠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21
단위로 매우 빠르게 일어나 에너지 전이가 일어날 시간이 없다"며 "HPI를 변형시켜 만든
녹색
과 적색 분자를 섞으면 비율에 따라 모든 색을 표현할 수 있어 분자를 물감처럼 섞을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박 교수는 "분자 수준에서 RGB를 표현할 수 있는 원리를 구현한 것"이라며 "이전까지 이런 ... ...
어? 이 동네 땅은 왜 이렇게 빨갛지?
동아사이언스
l
2013.08.21
산소와 결합된 물질로 이루어지는데, 일라이트와 카올리나이트는 흰색을, 녹니석은
녹색
을 띤다. 뉴칼레도니아와 우리 토양색이 다른 이유도 바로 이 2차 광물 때문이다.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조현구 교수가 2012년 9월 한국광물학회지에 게재한 논문에 따르면 ... ...
주차공간이 부족해요? 차를 ‘접으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8.13
'접을' 수 있는 초소형 접이식 자동차가 나왔기 때문이다. KAIST 서인수 조천식
녹색
교통대학원 교수팀은 접으면 1.65m에 불과한 접이식 전기차 ‘아마딜로-T’를 13일 공개했다. 적을 만나면 몸을 둥글게 마는 동물 ‘아마딜로’에서 따온 이름처럼, 주차할 때 중간지점을 기준으로 뒷부분이 위로 ... ...
절전? 가정용 전기부터 절약하라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8.08
(김영사), (웅진출판사)등의 저서가 있다.성북구의 ‘
녹색
환경정책추진위원’으로 위촉되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실천 가능한 에너지 절약 운동’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에너지 문제에 대한 강연까지 점차 활동 영역을 넓혀 가고 있다. 더 많은 ... ...
반짝 반짝 빛나는 그래핀으로 실험 정밀도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8.07
만들어 청색의 빛을 내는데 성공했다. 이와 함께 이 그래핀 양자점을 산소와 반응시켜
녹색
빛을 내는 ‘산화 그래핀 양자점’을 만드는데도 성공했다. 더군다나 그래핀은 인체에 무해한 친환경 소재라는 점에서 다양한 분야에 응용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 ...
강한 자만 살아남는 냉혹한 세포 세계
동아사이언스
l
2013.08.04
제공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배아세포 일부를 현미경으로 확대해본 결과
녹색
세포가 주변의 파란색 세포를 에워싸고, 그 안에서 점차 파란세포가 사라진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일반 세포들이 제거된 것은 Myc단백질이 많은 세포들이 배아의 성장에 보다 적합한 것으로 판단됐기 ... ...
박테리아가 고효율 충전지를 만든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7.31
박테리아(보라색) 주변에 코발트 산화물 나노분말(
녹색
)이 달라붙은 모습을 그린 그림. 이렇게 만든 분말은 고용량 고효율 축전지에 활용할 수 있다. - 아주대 제공 국내 연구진이 박테리아로 차세대 충전지를 만들었다. 아주대 김동완 에너지시스템학과 교수팀은 박테리아를 이용해 ‘초용량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