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길"(으)로 총 1,105건 검색되었습니다.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그 작용 메커니즘을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면역 질환 치료 신념 하나로 걸어온 길 임 그룹리더는 고려대학교에서 학부 및 석사 과정을 마쳤으며, 유전자 재조합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은 뒤, 종근당 R&D센터에서 연구원으로 일했다. 여기서 그는 약을 개발하려면 면역학을 공부해야겠다는 생각에 ... ...
- [표지로 읽는 과학] 바닷속 희미한 빛이 닿는 곳, ‘트와일라잇 존’ 동아사이언스 l2017.03.05
- 수심의 한계는 30m 남짓, 하지만 그는 과거 짜릿했던 경험의 순간을 잊지 못해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는 곳, 희미한 빛만 겨우 닿는 곳을 갈망했습니다. 깊은 바다 속을 탐험하려면 잠수정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었지만, 워낙 비용이 많이 드는데다 주로 150m 이상으로 내려가므로 그가 원하는 구역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들은 얼마나 똑똑할까2017.02.28
- 굴리면 설탕물을 보상으로 받는 학습을 이해할 뿐 아니라 이를 응용해 좀 더 쉬운 길을 찾기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사이언스 제공 다음으로 뒤영벌의 학습능력과 사고의 유연성을 알아보는 실험에 들어갔다. 원형 바닥에는 공이 세 개 있는데 중심에서 거리가 각각 다르다. 첫 번째 그룹은 ... ...
- 권력을 얻은 사람이 부도덕해지는 까닭은?2017.02.26
- 높은 자리에 가게 될수록 공감능력이 떨어지고 조직의 불의를 무마하게 되는 등 잘못된 길에 빠지게 될 가능성들이 다양하게 존재한다. 리더의 인성 및 도덕성 같은 ‘내적 자질’이 더더욱 중요한 이유다. ※ 참고문헌 Galinsky, A. D., Magee, J. C., Inesi, M. E., & Gruenfeld, D. H. (2006). Power and perspectives not ... ...
-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모든 걸 걸었어요!"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시설의 컴퓨터 제어시스템을 구축하는 일에 보람을 느끼면서 동시에 많은 후배들이 이 길에 동참했으면 한다는 바람도 내비쳤다. 핵물리학이론을 전공한 최숙 연구위원은 "이론물리 전공자가 실제 가속기라는 실험 장치를 만드는 일에 참여해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일을 하다 보니 굉장히 ... ...
- [지뇽뇽의 色수다] (ep8) 어떤 여성들이 포르노 업계에 종사할까?2017.01.15
- 낮은거야"라고 해 가면서 지켜야 하는 어떤 고정된 여성성, 통제하고픈 ‘여성의 길’ 같은 게 있는 건 아닐까? 성욕을 활발하게 표출하고 성적으로 활발한 남성은 자연스럽고 건강하게 바라보는 반면, 그러한 여성은 부자연스럽고 잘못됐다고 바라보는 이중 기준(sexual double standard)이 있음이 자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2017.01.10
- 상태이고 양극이 산화된 상태이므로, 제품의 전원을 켜 둘의 회로가 연결돼 전자의 길이 열리면 음극이 산화되고 양극이 환원되는 반응이 일어난다. 결국 배터리의 용량은 한 번 충전에 얼마나 많은 전자를 음극에 잡아둘 수 있느냐의 문제이고 리튬이온배터리의 경우 전극에 포획된 리튬이온의 ... ...
- IBS 5년간 땀과 노력, 한 권으로 집대성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 1mm 벌레에서 건강한 노년의 힌트를 얻다 08. 혈관 연구단 | 치사율 30% 패혈증 치료 새 길 열어 09. 유전체 교정 연구단 | 표적 유전자만 정확히 잘라낸다 10. 유전체 교정 연구단 | 외부 DNA 사용 않고 농작물 유전자 교정 11.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 세포 내 분자가 지능을 가졌다? 12. 첨단연성물질 연구단 ... ...
- [사이언스 지식IN] 우리 고양이, 조류독감에서 안전한가요?동아사이언스 l2017.01.02
- 주시고요. 최대한 예방하는 것이 답입니다. ● 캣맘들을 위한 번외 질문 Q. 동네 길냥이에게 밥을 주는데, 당분간 주지 말아야 할까요? Q. 일주일에 한 번씩 동물보호소로 봉사활동을 나갑니다. 위험한가요? 서로 다른 질문이지만 같은 답을 드릴 수 있겠군요. 되도록이면 동물과 직접 접촉하지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2017.01.02
- 뇌질환들의 배후에는 변형된 단백질의 축적이 있다며 이 문제의 해결이 치료법을 찾는 길이라고 주장했다. 그리고 단세포 진핵생물인 효모를 이런 질환의 모델 생물로 선택해 연구를 진행했다. 효모를 연구해 어떻게 신경계 질환을 이해할 수 있느냐고 의아해하는 사람들도 많았지만 린드퀴스트는 ... ...
이전82838485868788899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