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루
끌채
픽
스페셜
"
채
"(으)로 총 950건 검색되었습니다.
[
채
널A] 장수 노인 105명…‘토종 유산균’ 101개 발굴
채널A
l
2014.09.16
‘LF9988’은 기존 유산균에 비해 위산에 월등히 강해 최근 제품으로도 출시됐습니다.
채
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society/3/03/20140912/66356002/1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즉 사사이 박사는 배아줄기세포가 너무나 민감하기 때문에 외부 자극을 최소화한
채
방향제시만 해서 스스로 특정 조직이나 기관으로 분화하게 유도해야 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세포배양에 기본 ‘소모품’인 소의 혈장(serum)을 과감히 빼고(다양한 성장인자가 들어있기 때문에) 원하는 지시 ... ...
에볼라 바이러스, 합리적인 경계가 필요하다!
KISTI
l
2014.09.01
나눴다. 이 장면을 지켜보던 외신들은 일제히 “의료진이 보호 장비를 착용하지 않은
채
, 환자였던 브랜틀리 박사와 직접 접촉한 것은 이날이 처음이었다.”라고 전하며 “접촉만 해도 감염이 되는 질병이기 때문에, 환자와 의료진이 보여준 포옹 장면이야 말로 ‘더 이상 에볼라 바이러스에 대한 ... ...
[
채
널A] 타이어 3분의 2 잠기면 급류에 휩쓸린다
채널A
l
2014.08.27
없기 때문에 반대편 문을 열고 고정된 지형물에 의지해 탈출해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채
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 보기 : http://news.ichannela.com/society/3/03/20140826/66026045/2 ... ...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2014.08.18
‘하버-보슈법’으로 불린다)은 약간의 개량은 있었지만 본질적으로는 바뀌지 않은
채
현재까지도 쓰이고 있다. 그리고 인류의 삶에 미치는 영향력도 여전히 막강하다. 즉 이 합성과정을 통해 매년 1억2000만t의 질소가 암모니아로 바뀌는데, 여기에 들어가는 에너지는 인류가 쓰는 에너지의 2%를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당국은 즉시 인근 코페츠우드병원으로 플랫을 격리시켰고 입원환자 160명은 영문도 모른
채
짐을 싸 다른 병원으로 옮겨졌다. 한편 영국 정부는 포턴다운을 폐쇄하고 직원 다수를 가택에 격리시켰다. 49일 동안의 집중치료를 받고 플랫은 목숨을 건졌다. 첫 한 주가 고비였는데, 체온이 4 ... ...
[MATH] 반(半) - 자장면과 종이접기
KISTI
l
2014.07.21
면을 뽑는다. 요리사는 적당히 반죽된 밀가루를 반씩 접어가며 처음 반죽의 양을 유지한
채
늘려가며 면을 만든다. 이런 과정을 몇 차례 반복하면 쫄깃하고 맛있는 면이 만들어진다. 처음에는 한 가닥이었던 면발이 요리사의 능숙한 손놀림으로 순식간에 가늘고 많은 가닥으로 바뀐다. 굵은 밀가루 ... ...
비행기 사고 서바이벌 가이드
동아사이언스
l
2014.07.11
‘브레이스 포지션’(Brace Position)을 취해야 한다. 브레이스 포지션은 두 손을 깍지 낀
채
머리를 감싸고 팔을 앞좌석 등받이에 붙이는 자세다. 앞에 좌석이 없는 경우에는 허리를 숙이고 무릎을 감싼 뒤 머리를 무릎에 대면 된다. 보잉727 추락 실험에서는 이 브레이스 포지션이 실제로 유용한지도 ... ...
촉매 하에 레고처럼 결합시켜 신약 개발한다
IBS
l
2014.07.09
설명했다. 홍 교수 연구그룹은 여기에 착안해, 출발 물질에서 전혀 작용기를 붙이지 않은
채
, 촉매 시스템에서 탄소-수소 활성화를 거쳐 다양한 화합물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이는 아주 효율적이고 환경에 친화적인 반응이라고 한다. 기존의 '합리적 약물 설계'를 넘어서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우연히 시골빵을 먹어보고 감동해 추적 끝에 알아낸 빵집 ‘타르틴(Tartine)’과 제빵사
채
드 로버트슨의 이야기가 흥미롭다. 샌프란시스코 교외 한적한 곳에 위치한 빵집 타르틴에서는 오후 늦게야 빵이 나오는데 하루에 250덩이만 굽는다고. 그래서 오후가 되면 사람들이 가게 앞에 줄을 선다고 한다 ... ...
이전
82
83
84
85
86
87
88
89
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