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222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이 ‘TNT’ 공격에 살아남는 법
2015.09.06
연구에 참여한 리즈 라이로트 박사는 “이번 연구는 TNT에 내성이 있는 식물을
발견
한 데 그치지 않고 TNT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시스템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며 “이제 그 긴 여정에서 중요한 첫 발을 내딛은 셈”이라고 설명했다 ... ...
남극물개가 자기 자식 찾는 비법은 ‘목소리’
2015.09.03
연구진이 새끼 남극물개도 어미의 목소리를 알아채 서로의 위치를 파악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티에리 오빈 프랑스 파리수드대 연구원 팀은 어미 물개가 새끼와 멀리 떨어져있을 때와 가까이 있을 때 사용하는 목소리의 성분이 다르다는 연구결과를 학술지 ‘플로스원’ 2일 자에 발표했다. ... ...
설악산 산양과 울진 산양, 유전자가 다르다
2015.09.02
이어졌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최근 삼척 울진 지역에서 탈진한 상태의 산양이 많이
발견
되고 있는데 회복한 뒤 자칫 설악산 등지에 방사하 경우 유전적 다양성을 해칠 수 있다”며 “한국 산양과 같은 멸종위기종에 대한 보전·관리 계획을 세울 때 집단에 따른 유전적 차이를 ... ...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4억5000만 년 동안 지구를 지켜온 투구게
동아일보
l
2015.09.02
결과 지금의 4종으로 나뉘었을 거라 생각하고 있다. 또한 루나타스피스 아우로라 화석의
발견
을 통해 투구게가 약 4억5000만 년 전부터 지구에 살아온 ‘살아 있는 화석’이라고 보고 있다. ○ 파란 피 투구게는 헌혈천사? 투구게는 피 속에 푸른색을 띠는 산화구리가 있어 피가 새파란 하늘색이다. ... ...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
수학동아
l
2015.09.01
중독 환자의 뇌를 관찰한 결과 세로토닌이 분비되는 전두피질 부위가 망가져 있는 것을
발견
했다. 세로토닌이 줄어들면 분노 조절이 어려워서 쉽게 화를 낼 뿐 아니라, 충동적이고 폭력적으로 변하거나 우울증이 생기기도 한다. ● 디지털 중독인지 아닌지 수학으로 진단 전문가들은 디지털 ... ...
‘X문제’ 50개 선정 ‘X프로젝트’ 뚜껑 열어보니
2015.09.01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효과를 밝히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중력을 매개하는 입자도
발견
하지 못한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답을 추론하는 게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X프로젝트 추진위원회는 이날 X문제 50개를 선정한 데 이어 하반기 X문제 50개를 추가로 선정해 발표할 계획이다. X프로젝트에는 2 ... ...
고대 바다 장악했던 ‘거대전갈’ 실체 드러내
2015.09.01
발견
한 종은 믿기지 않을 정도로 형태가 특이했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이번에
발견
한 신종 바다전갈에 고대 그리스전함 ‘펜테콘터(penteconter)’에서 본따 ‘펜테코테루스 데코라헨시스(Pentecopterus decorahensis)’라고 이름 짓고 학술지 ‘BMC 진화생물학’ 1일 자에 발표했다. 램스델 교수는 ... ...
태양계 밖 행성, 지구와 성분 달라
2015.09.01
NASA)이 2011년
발견
한 암석형 행성 ‘케플러-10b’의 상상도. - 위키미디어 제공 지구를 닮은 암석형 행성을 찾는 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태양계 밖의 행성은 지각 성분이 지구와 다소 차이가 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먼 우주 행성에서 새로운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근거가 될 것으로 ... ...
“펭귄 위(胃) 속엔 십중팔구 플라스틱 쓰레기 있다”
2015.09.01
“플라스틱 공해가 도처에 편재해 있음을 가리킨다”고 말했다. 바닷새의 위에서
발견
되는 플라스틱 쓰레기는 비닐봉지, 물병 뚜껑, 합성섬유 등으로 도심의 강이나 하수구, 쓰레기 집하장에서 처리되지 않고 흘러나온 것들이다. 연구진은 바닷새가 플라스틱의 밝은 빛 때문에 먹이로 착각하거나 ... ...
[제29회 인촌상-과학기술] 서영준 서울대 약대 교수
2015.09.01
이름이 제일 먼저 뜬다. 그는 “1980년대 초 대표적인 발암 유전자인 ‘라스(RAS)’가
발견
됐을 때 과학자들은 암이 정복될 것이라고 생각했다”면서 “최근 암 연구는 암을 정복 대상이 아니라 공존 대상이자 예방 대상으로 본다”고 말했다. 서 교수는 2011년부터 서울대에서 ‘종양미세환경 ... ...
이전
868
869
870
871
872
873
874
875
8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