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서기
저널리스트
사무원
연예기자
연예
필자
뉴스
"
기자
"(으)로 총 46,214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벌레 잡는 식물의 구조적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01.07
사이언스 제공 이번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표지에는 육식을 하는 식물인 ‘네펜데스 그라실리스’가 개미를 유인하는 모습이 실렸다. 개미는 이 식물의 뚜껑 아래에 불안정하게 있다. 네펜데스 그라실리스는 곤충을 먹이로 삼는 식물이다. 곤충을 포획할 수 있는 이유는 세 가지 조건을 충 ... ...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는 어떻게 될까
과학동아
l
2024.01.06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매장 내에선 테이크 아웃 잔을 사용하기 어렵습니다.” 2023년 한 해 카페에 갈 때마다 듣던 이 안내, 2024년에는 듣지 못한다. 2023년 11월 7일 환경부가 일회용 종이컵의 실내 사용 규제를 철회하고 플라스틱 빨대와 비닐봉투 사용을 제한하는 규제의 계도기간을 무기한 연 ... ...
[표지로 읽는 과학] 마젤란은하에서 관측된 어린 별 주변 강착원반
동아사이언스
l
2024.01.06
네이처 7993호 표지. 네이처 제공 국제 학술지 '네이처'는 이번 주 표지로 높은 질량을 가진 어린 별이 형성되는 과정을 묘사한 일러스트를 실었다. 어린 별은 자신을 둘러싼 가스와 먼지로 이뤄진 원반 모양 구조에서 떨어져나온 물질과 붙으면서 자신의 몸체를 키운다. 안나 맥로드 영국 더럼대 ... ...
[헷갈린 과학] 양서류? 파충류?…도룡뇽 vs 도마뱀
어린이과학동아
l
2024.01.06
이끼도롱뇽. 국립생물자원관 제공 4개의 다리로 기어다니는 데다가 가늘고 긴 몸통에 꼬리까지 닮은 도롱뇽과 도마뱀. 둘은 생김새가 비슷해 헷갈릴 때가 많지만 엄연히 다른 분류에 속합니다. 도롱뇽과 도마뱀, 둘은 어떻게 구분할까요. ● 도룡뇽 도롱뇽은 개구리처럼 물과 땅을 오가며 사는 양 ... ...
2028년 수능 '심화수학' 제외 논란…'대학생 수포자' 걱정하는 교수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2028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미적분Ⅱ와 기하를 포함한 '심화수학'이 배제되면서 대학교 교수들은 학생들의 수학능력 저하를 우려했다. 게티이미지뱅크 2028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심화수학'이 제외된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국내 수학과 교수들은 한숨을 내쉬었다. 예전과 달리 최상위권 대학 ... ...
[의학바이오게시판] 서울대병원, CSP 인공심박동기 삽입술 200례 달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부정맥팀(오세일·최의근·이소령·권순일 교수)이 CSP 200례 달성을 기념하고 있다. 서울대병원 제공. ■ 서울대병원은 부정맥 최신 치료 시술인 ‘심장 전도계 조율술(CSP)’ 200례를 달성했다고 5일 밝혔다. 순환기내과 부정맥팀이 2021년 1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총 200례의 CSP 시 ... ...
[과기원NOW] KAIST ‘헤라클레스 인공근육’ 2023년 10대 기술 선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헤라클레스 인공근육을 인공 자벌레 소프트 로봇 분야에 활용한 모습. KAIST 제공. ■ KAIST는 김상욱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2022년 개발한 ‘헤라클래스 인공근육 기술’이 국제화학연합(IUPAC)에서 ‘2023년 10대 유망기술’로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헤라클레스 인공육은 인간의 근육을 모방한 ... ...
[사이언스게시판] 과총, 필즈상 수상 싱퉁 교수 기술교류회 초청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공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지원을 받아 10~12일 ‘양자장, 끈 그리고 기하’를 주제로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서 양자 분야 기술교류회를 개최한다고 5일 밝혔다. 양자장론, 대수, 미분기하학 관련 연사들이 ‘Calabi-Yau 다양체’에 대해 논의 ... ...
[인사]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대덕분석과학본부 소재연구기획실장 원종한 ...
꿀벌 줄어들자 '자가수분'으로 번식 전략 바꾼 팬지꽃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주로 호박벌을 사용해 수분하는 팬지꽃. 게티이미지뱅크 기후변화 등으로 전지구적으로 꿀벌의 개체 수 감소가 식물의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을 위해 꽃가루를 옮겨줄 꿀벌이 줄어들면서 번식 기회가 줄어든 식물들이 자가수분을 통해 번식하도록 진화하기 시작했다는 것 ... ...
이전
869
870
871
872
873
874
875
876
8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