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3,389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붉은악마 열광시킨 대형 전광판 LED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전력난이 있었다.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한가지 방법은 전력 소모의 18%
이상
을 차지하는 조명을 LED로 교체하는 것이다. 백색 LED는 적색·녹색·청색 LED를 조합하거나, 청색이나 자외선 LED를 이용해 형광물질을 빛나게 하면 제작할 수 있다. 현재 백색 LED는 개발이 거의 완료됐으나 비싼 가격 ... ...
스파이더맨 vs 배트맨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달려있다고 한다. 슈퍼히어로는 일정 수준의 틀을 벗어날 수 없다. 슈퍼 히어로로 태어난
이상
용감하고 정의로워야 하며 법의 심판에 악당들을 넘겨야 한다. 그러나 악당에 있어서는 기존의 틀을 깨는 어떠한 상상도 허용된다. 감독의 파격적인 상상력은 악당 캐릭터에서 빛을 볼 수 있는 것이다 ... ...
홈어드밴티지의 플러스알파 붉은 악마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우리대표팀이 뛰게 될 부산·대구·인천 경기장이 모두 그라운드와 관중석의 거리가 10m
이상
떨어져 있는 종합경기장이다. 구조적으로 그라운드를 압도할 수 있는 응원이 축구전용경기장에서보다 더 힘들다는 말이다.우리대표팀이 홈어드밴티지를 등에 엎고 경기하도록 하기 위해 경기장을 직접 ... ...
공각 기동대 vs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설명은 구차한 변명에 불과하다. 사람은 자신의 몸에서 발생하는 전류보다 수천배
이상
의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컴퓨터의 입장이라면 사람을 사육하는 것보다 단백질과 탄수화물을 분해해 에너지를 얻는 것이 효율적이다.물론 매트릭스의 중심은 ‘현실이라고 알아왔던 세계가 가짜일지도 ... ...
1. 전산유체역학이 추정한 가상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알아봤으나, 3차원 디지털 맵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인공위성에 찍은 스테레오 사진이 2장
이상
있어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1장 밖에 확보하지 못해 맵의 작성이 불가능했다. 아쉬운 대로 여러 전문가에게 문의해 금강산댐 바깥쪽과 평화의댐 안쪽의 대략의 강폭, 두댐 사이의 거리와 표고차 ... ...
인텔국제과학기술경진대회 inter ISEF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밝혔다.본상을 심사하는 심사관은 박사학위 소지자이거나 관련 분야에서 6년
이상
의 경력을 소지한 사람으로 위촉을 받거나 자원자 중에서 선발한다. 자원자는 주로 기업체 연구원이나 대학의 교수들인데 인터넷으로 신청서를 접수하면 된다.금년에는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여성 심사관이 선발 ... ...
1. 종교없는 과학은 무력하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19세기에 이르러서는 과학과 종교의 관계가 드라마틱하게 변모된다. 과학은 더
이상
신학의 울타리 안에서 보호받기를 거부하고 독자적인 길을 걷기 시작한다. 변화의 출발은 지질학에서 일어났다. 19세기 초까지 지질학은 지구의 역사를 성서로써 설명했다. 그 근거가 된 학설이 ‘대홍수설’이다. ... ...
의사결정을 뒤흔드는 뜻밖의 함정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평균치보다 높을 때도 있고, 낮을 때도 있다. 이들 각 병원은 1년 동안 남성의 비율이 60%
이상
인 날들을 기록해뒀다. 과연 어떤 병원에서 기록한 날이 더 많을까?1) 큰 병원2) 작은 병원3) 같다문5: B는 증권사에서 맹활약 중인 애널리스트다. 그는 자신이 담당한 업종의 지수 예측에 탁월함을 보이고 ... ...
빨대와 튜브로 만든 63빌딩 높이 재기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아무리 힘 좋은 펌프를 갖고 힘차게 빨아올려도 물을 10m
이상
끌어올릴 수 없다는 점을
이상
하게 생각했다.이를 본 갈릴레이는 자연이 진공을 싫어하는 어떤 한계점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이 진공을 싫어한다고 생각했고, 이 관념은 오랫동안 후대로 전해졌다.갈릴레이와 ... ...
SF영화, 그리고 로봇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최근에는 로봇이나 외계 생명체 그 자체가 주인공으로 자주 등장한다. 로봇은 더
이상
인간의 조력자나 부수적인 존재에 머물지 않고, 점차 인간과 동등한 지위를 획득하고 있다.사람들은 종종 게임과 스포츠 경기 등을 통해 로봇과 경쟁을 벌이기도 한다. 실제로 1997년 IBM사가 개발한 컴퓨터 딥 ... ...
이전
870
871
872
873
874
875
876
877
8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