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때
시각
타임
시점
세월
시
타이밍
d라이브러리
"
시간
"(으)로 총 14,019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러스 속의 나노 메모리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미국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 양양 교수팀은 백금 나노 입자를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TMV)에 넣어 만든 새로운 메모리를 ‘네이처 ... 또 데이터를 저장하라고 요청한 시점부터 실제 저장이 시작되기까지 수백만분의 1초의
시간
이 걸리는데, 이는 플래시 메모리와 비슷한 수준이다 ... ...
'최후의 심판', 최후 맞을 뻔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안료는 알루미늄과 규소로 구성된 입자에 붙잡혀 있는 황이 만들어낸 색이다. 그런데
시간
이 지나면 이 구조가 부서지면서 황이 떨어져 나가 변색된다. 연구팀은 핵자기공명장치(Nuclear Magnetic Resonance)를 통해 입자의 3차원 구조를 밝혀 이 사실을 알아냈다 ... ...
주머니코 바다표범, “나 떨고 있니?”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긴 잠수
시간
동안 받을 수 있는 뇌 손상을 줄이기 위해서”라며 “바다 속에서 80% 이상의
시간
을 보내는 주머니코 바다표범이 물 속에서 오랫동안 먹이를 찾을 수 있도록 적응한 결과”라고 말했다 ... ...
토성 고리는 위성연결고리?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미국의 토성탐사위성 카시니가 보내온 사진에서 토성의 고리가 4개 추가로 발견됐다. 이번에 발견된 고리 중 가장 밝은 것은 토성의 위성인 야 ... 평가했다.이번에 공개된 사진은 카시니의 광각카메라가 토성의 뒤편 2만2000km 떨어진 지점에서 3
시간
동안 찍은 165장을 합성해 만든 것이다 ... ...
북한 핵실험 심층분석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만약 핵실험이 확실하다면 지진파의 진앙이 핵실험 장소이기 때문이다. 지진파가 도착한
시간
을 알면 진앙까지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관측소가 3개 이상만 되면 거리를 반지름으로 해 원을 그려 겹치는 부분에 있는 진앙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지진연구센터에서는 핵실험 위치를 최초로 발표한 ... ...
특집Ⅰ 뿌리 깊은 나무 노벨상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전혀 새로운 현상과 지식의 장을 열었듯이 도저히 상상이 안될 정도로 정밀하게
시간
을 측정하는 기술도 완전히 새로운 과학과 기술을 만들어낼 것이다. 벌써 이 기술은 자연상수를 정밀하게 측정하거나 우주를 탐색하며 인공위성, 위성항법장치, 통신네트워크를 운영하는 첨단과학기술 분야의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방법이 없었다. 불과 2~3년 전만 하더라도 유전자 하나의 기능을 알기 위해 1~3년이라는 긴
시간
과 엄청난 연구비가 필요했다. 하지만 RNA 간섭 기술로는 수개월 내에 유전자 기능을 규명할 수 있다.그동안 신약개발 후보물질을 찾는데 쓸 수 있는 타깃 유전자를 발굴하기 위해 유전자 하나하나의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동안에는 지방이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탄수화물을 계속 섭취하는 경우 지방이 분해될
시간
이 없다. 장을 세척하면 살이 빠진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하지만 장세척은 지방 제거와는 별로 상관없다.방송 출연으로 들떠 있던 무기자가 마음의 상처만 입었다. 하지만 자신의 잘못된 생활습관은 눈에 잘 ... ...
물위에 예술이 흐른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전시를 열었다. 그는 함부르크 근교에서 바닷물을 퍼온 뒤 이 물을 투명한 관에 넣고
시간
이 지날수록 관 속의 해초가 죽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도록 했다.‘아트카날 2006’에서는 물을 작품의 소재로 사용하기도 했지만 물 자체를 전시 장소로 활용했다. 스위스의 안드레아 기신(Andreas Gysin)과 시디 ... ...
태풍 잡는 레이더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구름 내부의 3차원 속도를 파악할 수 있다. 도플러 효과를 이용해 태풍의 움직임을 실
시간
으로 볼 수 있다는 말이다.도플러 효과는 멀리 떨어진 우주의 별에서 오는 빛에도 적용된다. 별에서 오는 빛의 스펙트럼을 관찰하면 대부분의 별들이 수소핵융합 반응으로 빛을 내기 때문에 수소원자나 ... ...
이전
872
873
874
875
876
877
878
879
8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