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뉴스
"
이후
"(으)로 총 12,723건 검색되었습니다.
플라스틱 OUT! 빨대의 ‘착한 변신’
동아사이언스
l
2019.04.29
지역에 살던 수메르인이 맥주를 찌꺼기 없이 마시기 위해 짚으로 만든 것이 시초다.
이후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음료의 맛과 온도를 확인하고, 흘리지 않고 마시기 위해 사용하는 등 용도가 확대됐다. 플라스틱 빨대는 제2차 세계대전 때 처음 등장했다. 잘 썩는 천연재료 대신 오래 쓰고 값싼 ... ...
위성 개발 민간 시대 연다…500kg급 차세대 중형위성 2단계 사업 확정
동아사이언스
l
2019.04.28
갖춘 전자광학카메라와 10m급 C-밴드레이다 등이 탑재될 예정이다. 4호를 우선 개발하고
이후
3호, 5호를 순차 개발할 계획이다. 4호 개발은 올해 하반기 착수돼 2023년 발사될 예정이다. 정부는 차세대 중형위성 2단계 개발사업을 통해 국가 재난・재해의 적기 대응, 홍수 및 가뭄 분석, 농작물 및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무엇이 정신장애인의 치료를 막는가?
2019.04.28
부작용이 제법 있어서 널리 쓰이지는 못했다. webmd 1950년대 최초의 정신과 약물이 개발된
이후
, 수천 년 아니 수만 년 동안 만족스럽게 다루지 못했던 정신장애의 치료가 가능해졌습니다. 정신의학계는 열광했습니다. 수십 년 동안 차도가 없어 마냥 입원만 하고 있던 환자들이 드디어 퇴원하기 ... ...
“이것이 인간이 처음 소행성 표면에 만든 인공 크레이터”
동아사이언스
l
2019.04.27
는 SCI가 충돌로 일으킬 먼지에 피해를 입지 않도록 사전에 멀리 떨어진 상태였다.
이후
하야부사 2는 충돌에 의한 먼지가 가라앉기를 기다렸다 25일 접근해 영상을 통해 크레이터의 형성 여부를 확인했다. 하야부사 2는 올해 말 다시 류구에 접근해 새로 형성된 크레이터에서 ‘출토’된 지하의 ... ...
[주말 고고학 산책] 우삼별초 도령은 어쩌다 택배사고로 상어를 받지 못했나
2019.04.27
귀한 청자를 건지다 선박의 조난이 빈번해 ‘난행량’으로 불렸던 마도 앞바다의 전경.
이후
무사 항해를 바라는 뜻에서 ‘안흥량’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제공 2007년 난행량이 있는 충남 태안군 마도 앞바다에서 고기를 잡던 어부 심선택 씨의 그물에 이상한 것이 ... ...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황제펭귄 무리가 사라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이주한 사실이 밝혀졌다. 핼리 만에서 약 55km 떨어진 또다른 군집의 개체수가 2016년
이후
갑자기 10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2015년에는 약 1200쌍의 황제펭귄이 살았지만, 2018년에는 1만 4000마리로 이상으로 늘었다. 그나마 핼리 만의 펭귄은 이주할 곳이 있어 절반이나마 생존했다. 하지만 남극의 환경이 ... ...
시각장애인도 뇌 시각 영역 활용해 듣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뇌가 시각장애로 이 부분을 청각에도 반응하도록 전환시켰지만 시력을 회복한
이후
에도 능력이 사라지지 않고 유지되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파인 교수는 “시각장애인의 뇌가 어느 부분이 변하는지 뿐 아니라 어떤 종류의 변화가 있었는지를 봄으로써 뇌가 어떻게 발달하는지에 대한 ... ...
"해양바이러스 유전체 20만개 확보…알려진 것보다 10배 많아"
연합뉴스
l
2019.04.26
라는 이름의 배를 타고 세계 바다를 누비며 다양한 해역에서 바닷물과 생물을 모았다.
이후
시료를 12개 실험실로 각각 보내 바이러스 유전체를 분석했다. 과학자들은 '메타지노믹스'(Metagenomics) 기법을 이용해 바이러스를 배양하지 않고도 환경 시료에서 유전체를 분석할 수 있다. 해양바이러스는 ... ...
SF가 현실로… 인공뇌가 ‘의식’을 갖는다면?
동아사이언스
l
2019.04.26
상황을 제시했다. 이 가운데는 “만약 손상된 뇌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다면 1960년대
이후
사실상 죽음의 기준이 된 ‘뇌의 죽음’이 과연 의미가 있을까”란 질문도 있다. 죽음의 정의 자체가 변할 수 있다는 물음이다. 당시만 해도 가정이지만 이 질문은 현실이 됐다. 이달 18일 미국 예일대 의대 ... ...
'심장 속 최초 자율주행' 카테터 자율 로봇 개발돼
동아사이언스
l
2019.04.25
물질을 쓰는 일도 없어질 것이라고 봤다. 자율 로봇이 임상을 성공적으로 수행한다면
이후
숙련된 외과의가 없는 세계 일부 지역에서 외과의들의 수술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고도 봤다. 뒤퐁 교수는 “자율 로봇은 수술 능력에 있어 기울어진 운동장을 평평하게 할 뿐 아니라 운동장의 높이 자체를 ... ...
이전
875
876
877
878
879
880
881
882
8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