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높은사람"(으)로 총 3,8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난, 이제 MIE로 진화한다과학동아 l201201
- MIE(Magazine in Education). 넌 누구냐? 사회가 경제적으로 정치적으로 발전하면서 사회를 반영하는 교육도 변해왔다. 우리나라가 선진국과 경쟁하려면 암기와 대량생산보다 창의성과 지식의 융합이 중요하다. 암기-재생의 시대 → 표현의 시대(90년대 논술) →창의성과 융합의 시대(통합논술) 이제는 새로 ...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과학동아 l201201
- 국제연합인구기금(UNFPA)은 2011년 인구 70억 시대를 선언하며 80억, 90억, 100억 시대도 함께 예측했다. 80억이 되는 시기는 14년 뒤인 2025년, 90억은 다시 18년 뒤인 2043년이다. 100억은 40년 뒤인 2083년으로 예측했다. 그런데 이 연도 앞에는 물음표가 붙어있다. 100억 인구 달성이 순탄하지는 않을 거란 예상 ... ...
- Part3. 2150 지구로 보내는 편지과학동아 l201201
- 지구의 친구들아, 안녕? 난 화성에서 살고 있는 고등학생이야. 올해로 10살, 아 참, 지구 나이로 치면 18살이구나. 우리 부모님은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살다가 결혼한 뒤 화성으로 이주하셨어. 나는 화성에 온 뒤에 태어나서 한국은 물론이고 지구에도 가본 적이 없어. 영화나 텔레비전에서 본 게 다지 ...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과학동아 l201201
- 하나만 더 찾으면 완성인데 퍼즐의 마지막 조각이 보이지 않는다. 조금만 더 잘 찾아보면 곧 나올 것 같은데, 나올 듯 말 듯하면서 자꾸 사람 애간장을 태우고 있다. 퍼즐은 입자물리학에서 이야기하는 표준모형이고, 마지막 조각은 17개의 기본 입자 중에서 아직 유일하게 발견되지 않은 힉스다.지 ... ...
-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과학동아 l201201
- [초신성 폭발 잔해에서 중성자별이 탄생하는 모습. 중성자별 표면의 중력은 지구의 2000억 배다. 조금이라도 튀어나오거나 들어간 곳을 그냥 두지 않는다.]세상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모양은 무엇일까. 네모? 세모? 동그라미? 물방울, 해변의 조약돌, 하늘에 떠 있는 해와 달을 보면 동그라미가 ... ...
- 고등학교 동아리의 한계를 뛰어넘다과학동아 l201201
- “혹시 자동차항공기연구반을 아세요?”과학동아 편집부로 한 통의 e메일이 도착했다. “혹시 자동차항공기연구반을 아세요?”로 시작한 메일은 동아리에서 작은 요트를 만들었고 시험운행을 끝마치고 이제 사람들에게 공개하려고 한다는 내용이었다.엥? 고등학교 과학동아리에서 요트를 만들었 ... ...
- 별걸 다 정해 주는 수학 행복도 지수로 푼다!수학동아 l201201
- 내 이름은 노결정. 난 하루 종일 정말 피곤해. 왜냐구? 아침부터 저녁까지 고민이 끊이질 않거든. 일어나자마자 양치 먼저 할지 세수 먼저 할지 고민이 시작돼. 그리고는 두꺼운 옷을 입을지 얇은 옷을 입을지, 학교까지 버스를 타고 갈지 자전거를 타고 갈지, 간식으로 떡볶이를 먹을지 김밥을 먹을 ... ...
- 남녀평등이 수학 성적 가른다?수학동아 l201201
- 아직도 많은 사람들이 남자는 수학을 잘하고, 여자는 언어를 잘한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최근 미국 위스콘신대학의 연구팀은 수학성적이 사회문화적인 차이에 따라 달라진다고 발표했다.연구팀은 2005년부터 6년 동안 86개의 나라에서 학생들의 수학성적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다. 이 연구에는 성 ... ...
- [시사] 보도블록과 도서관, 어떤 것을 먼저 만들까?수학동아 l201201
- 연말이 되면 집 앞 보도블록을 바꾼다. 멀쩡해 보이는데도 바꾼다. 그렇지만 정작 동네에 필요한 도서관이나 공부방은 턱없이 부족한 것 같다. 보도블록을 바꾸는 대신 차라리 도서관을 짓는 것이 더 낫지 않을까? 이런 때 막연한 이유 대신 숫자로 설명하면 좋을 텐데….이런 생각에 경제학자들은 ... ...
- 꼬리에 꼬리를 무는 연구과학동아 l201201
- 연구활동을 마치면 학생들은 성취감을 맛봅니다. 그리고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그 다음 연구인 추수 연구를 하죠. 이 때 수평적 주제에 대해 또 다른 연구활동을 하거나, 수직적 주제에 대해 심화된 연구활동을 합니다.이번 호에 소개할 연구활동은 고등학교 과학동아리 학생들이 자신들이 연구 ... ...
이전8384858687888990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