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급
보급
제공
조달
공급계약
계약
이바지
d라이브러리
"
공급
"(으)로 총 2,885건 검색되었습니다.
저질체력 운동 시작하는 법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타기, 수영, 댄스처럼 몸의 산소 소비량을 높이는 운동법이다. 몸에 산소를 최대한 많이
공급
해 심장과 폐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혈관 조직을 튼튼하게 만든다. 그래서 유산소운동을 꾸준히 하면 고혈압이나 동맥경화, 심근경색 같은 심혈관질환과 당뇨 같은 대사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 ...
라푼젤도 모르는 머리카락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파마나 염색이 없던 시절, 긴 생머리는 건강하다는 증거였답니다. 머리카락은 모낭으로
공급
되는 혈액에서 영양분을 얻어 자라기 때문에 아프거나 먹지 못하면 잘 자라지 않을 뿐더러 윤기도 흐르지 않거든요"전중환 (경희대학교 진화심리학 전공 교수)두피 속이 궁금해!찰랑거리는 머리카락의 ... ...
Part 3. 인터뷰 - 대한화학회 김낙중 회장 & 한국화학연구원 오헌승 원장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있습니다. 사실 우리나라가 열심히 제품을 만들어 수출을 해도 결국 돈은 핵심 소재를
공급
하는 일본으로 흘러가는 경우가 많지요. 우리나라가 국민소득 2만 달러에서 정체돼 있는 것도 이런 구조적 문제 때문입니다. 이번 사태는 불행한 일이지만 소재의 기초가 되는 화학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 ...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않아 방사성 물질이 밖으로 노출될 가능성이 적다.우리 원전은 전기가 없어도 냉각수
공급
이 가능하다. 증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물이 열 에너지를 잃으며 자연냉각하는데, 이 물은 밀도가 높아져서 중력의 힘으로 저절로 아래로 내려와 냉각수를 순환하게 만들어 준다.후쿠시마 원전처럼 전기가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시작돼 10년 뒤에는 본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국도 고품질의 전력을
공급
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고, 네덜란드도 기존의 지중 케이블을 초전도 케이블로 바꾸는 일을 시작했습니다. 외국에서도 2020년경에는 본격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초전도 ... ...
고려대 봉사단 ‘쿠소’의 뜨거운 8박 9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있는 과목은 역시 ‘과학’이다. 앙스페우 중학교는 올해 초까지 전기는 커녕 수도조차
공급
되지 않던 열악한 지역이다. 실험기구를 이용한 과학수업은 상상하기 힘든 곳이다. 쿠소는 현지 학생들과 함께 만들어보며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체험형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과학 교구로는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150km 떨어진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 전기가 끊겼다. 비상상태에 전력을
공급
하는 장치마저 문제가 생기자, 원자로를 냉각시키는 장치가 제 역할을 못하면서 사고가 발생한 것이다.이 사고로 원자력발전소(원전)에서 누출된 방사성 물질의 공포가 시작됐다. 방사성 물질은 방사선을 낼 수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언젠가 초전도 전선이 거의 무한한 양에 가까운 전기를 저렴한 값에 소비자에게
공급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여기에 초전도 현상이라는 이름도 붙였다. 1913년 노벨물리학상은 오네스에게 돌아갔다.그러나 초전도 현상은 만만하지 않았다. 첫 발견 이후 물리학자들은 어떤 금속 물질에서 초전도 ... ...
인공위성이 그린 호랑이의 포효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매년 여름 이 지역에 내리는 비는 해안가의 식물이 살아가는 데 충분한 물을 일 년 내내
공급
해 준다.] [영역 싸움 서로 다른 색깔을 띠는 지역이 대립하고 있다. 녹색 부분은 숲이요, 보라색 부분은 사막이다. 미국 아리조나 주에 있는 오색사막과 스티그리브스 국립공원의 소나무숲이 맞닿아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관심을 보였다. 조 교수는 앞으로 휴대할 수있을 정도로 작은 옹달샘과 마을 전체에 물을
공급
할 수 있는 큰 규모의 옹달샘을 개발할 계획이다. 조 교수는 “앞으로도 깨끗한 물이 부족한 지역을 찾아 옹달샘을 보내거나 현지 마을에서 직접 제작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2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