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급
보급
제공
조달
공급계약
계약
이바지
d라이브러리
"
공급
"(으)로 총 2,88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사람과 야생동물의 동거 생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날씨를 이겨내려면 쉼 없이 시원한 물에 몸을 적시고 그늘에서 몸을 식혀야 한다. 고기를
공급
하는 데 돼지만한 동물은 없다. 하지만 물이 부족한 중동지역에서는 돼지를 기를 수 없어 아예 더럽게 여기기로 했다는 것이 마빈 해리스의 주장이다. 인도에서 소를 숭상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 ...
ERP/SCM공학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목표이다. 이를 위해 최소한 석사과정까지는 밟을 것을 권장한다. 대학원에서는 ‘ERP,
공급
망의 기술적 논제’와 같은 과목을 통해 ERP/SCM공학을 더 깊이 있게 배운다. 또한 메인 메모리 데이터베이스 기술, 상세한 ERP 프로세스, 스케줄링 이론 등을 배운다. 7 취업을 선택하면요?미국의 로버트 ... ...
라푼젤도 모르는 머리카락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파마나 염색이 없던 시절, 긴 생머리는 건강하다는 증거였답니다. 머리카락은 모낭으로
공급
되는 혈액에서 영양분을 얻어 자라기 때문에 아프거나 먹지 못하면 잘 자라지 않을 뿐더러 윤기도 흐르지 않거든요"전중환 (경희대학교 진화심리학 전공 교수)두피 속이 궁금해!찰랑거리는 머리카락의 ... ...
고려대 봉사단 ‘쿠소’의 뜨거운 8박 9일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있는 과목은 역시 ‘과학’이다. 앙스페우 중학교는 올해 초까지 전기는 커녕 수도조차
공급
되지 않던 열악한 지역이다. 실험기구를 이용한 과학수업은 상상하기 힘든 곳이다. 쿠소는 현지 학생들과 함께 만들어보며 원리를 이해할 수 있도록 체험형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과학 교구로는 ... ...
Part1. 상온초전도체 언제 탄생할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언젠가 초전도 전선이 거의 무한한 양에 가까운 전기를 저렴한 값에 소비자에게
공급
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여기에 초전도 현상이라는 이름도 붙였다. 1913년 노벨물리학상은 오네스에게 돌아갔다.그러나 초전도 현상은 만만하지 않았다. 첫 발견 이후 물리학자들은 어떤 금속 물질에서 초전도 ... ...
Part1. 원전 사고 5가지 핵심 쟁점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않아 방사성 물질이 밖으로 노출될 가능성이 적다.우리 원전은 전기가 없어도 냉각수
공급
이 가능하다. 증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물이 열 에너지를 잃으며 자연냉각하는데, 이 물은 밀도가 높아져서 중력의 힘으로 저절로 아래로 내려와 냉각수를 순환하게 만들어 준다.후쿠시마 원전처럼 전기가 ... ...
Part2. 꿈의 기술? 아직 피지 못한 꽃?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시작돼 10년 뒤에는 본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미국도 고품질의 전력을
공급
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고, 네덜란드도 기존의 지중 케이블을 초전도 케이블로 바꾸는 일을 시작했습니다. 외국에서도 2020년경에는 본격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초전도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150km 떨어진 일본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에 전기가 끊겼다. 비상상태에 전력을
공급
하는 장치마저 문제가 생기자, 원자로를 냉각시키는 장치가 제 역할을 못하면서 사고가 발생한 것이다.이 사고로 원자력발전소(원전)에서 누출된 방사성 물질의 공포가 시작됐다. 방사성 물질은 방사선을 낼 수 ... ...
2020년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대해 친절한 설명을 들을 수 있어 즐거웠다”며 “미래에 우주기지나 인공위성에 전기를
공급
할 수 있는 무선전력전송 기술이 빨리 개발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박영진 책임연구원은 “김진유 군이 무선전력전송 기술을 깊이 공부해 온 것 같다”며 “미래 기술에 대한 꿈을 키워나가길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03호
관심을 보였다. 조 교수는 앞으로 휴대할 수있을 정도로 작은 옹달샘과 마을 전체에 물을
공급
할 수 있는 큰 규모의 옹달샘을 개발할 계획이다. 조 교수는 “앞으로도 깨끗한 물이 부족한 지역을 찾아 옹달샘을 보내거나 현지 마을에서 직접 제작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2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