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깊음
길이
강도
농도
농담
심도
d라이브러리
"
깊이
"(으)로 총 1,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스크림이 혀에 착 감기는 이유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7월 12일 아이스크림 공장을 방문했다.문을 여는 순간 달콤한 바닐라 향이 훅 풍겼다.
깊이
가 사람 키를 훌쩍 넘는 양철 탱크에 모락모락 김이 나는 크림색 액체가 담겨 있었다. 잠시 뒤 천장까지 이어지는 거대한 펌프가 액체를 빨아 올려 ‘윙윙’ 소리를 내는 냉동장치에 넣었다. 장치와 연결된 3 ... ...
과학동아로 살펴본 과학 핫이슈
과학동아
l
2011년 08호
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가) 이번 사고를 통해 사람들의 뇌리에 가장
깊이
각인된 단어는 ‘노심용융(core meltdown 또는 nuclear meltdown)’이라는 말이다. ‘냉각수에 잠겨 있어야 할 연료봉이 대기 중에 노출돼 액체 상태로 녹으면서 방사성 물질을 방출한다’는 정도가 알려져 있다. 그런데 ... ...
중학생 논문집 펴내는 경북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대학 영재교육원에서 심화교육을 받는 체계다. 대학교수가 직접 지도한다는 점에서
깊이
있는 교육이 가능해 대학 영재교육원은 많은 영재들이 선망하는 기관이다. 이 때문에 동구과학영재교실은 경북대 과학영재교육원이 파격적인 결정을 내린 사례라고 할 수 있다.대구 동구청의 요청을 ... ...
수학일기는 나만의 포트폴리오
수학동아
l
2011년 08호
능력과 생각을 정확히 담는 포트폴리오인셈이다. 수학은 입시뿐 아니라 생활에서 생각의
깊이
를 키우고 다양한 해결 방법을 찾는 아이디어를 얻는 데도 큰 도움을 준다. 이런 관점에서 수학일기는 숨어 있는 자신의 능력을 재발견하도록 돕는 좋은 도구다.수학을 비롯한 모든 공부에서 시작은 ... ...
여름철 3대 피부질환 별들에게 물어봐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조절하는 교감신경을 잘라내는 방법이다. 발 다한증은 땀을 조절하는 교감신경이 뱃속
깊이
있어 수술할 수 없다. 수술은 가장 확실한 방법이기는 하지만 손에 갈 땀이 엉덩이나 등, 가슴 등 몸의 다른 부위에 나는 ‘보상성 다한증’이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교감신경을 클립으로 묶었다가 ... ...
Part 2. 해킹 Hacking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RFC1392에 따르면 해커(hacker)는 ‘시스템, 특히 컴퓨터와 컴퓨터 네트워크의 내부 동작을
깊이
이해하는 것을 즐기는 사람들’로 정의한다. 이에 반해 ‘권한 없이 컴퓨터 시스템에 접근하려는 사람’은 크래커(cracker)라고 한다. 미국에서는 선과 악의 이미지를 담아, 선량한 목적으로 보안 기술 개발과 ... ...
인류가 만든 최악의 독, 고엽제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6월 2일 한미공동조사단이 지표투과레이더로 캐럴 기지 땅속을 조사하고 있다. 10m 정도
깊이
에 있는 묻혀 있는 물질이나 굴착의 흔적을 탐지할 수 있다.][5월 31일 한미공동조사단이 캐럴 기지 인근 낙동강에서 물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Q3 캐럴 기지 주변은 다이옥신에서 안전할까?국립환경과학원은 ... ...
“끈끈한 동기애로 큰 목표 이룬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방송반에서 색다른 취미활동을 하고 있다. “전문교과를 통해 다른 특성화고에 비해
깊이
있는 지식을 배운다고 생각해요. 실습이나 현장 견학을 통해 실무능력을 쌓고, 국가기술 자격증도 서너개 갖고 졸업해요.” 일찌감치 항공기술자의 꿈을 갖고 입학한 그들의 미래는 지난 3년간 더욱 ... ...
고집쟁이 고고학자 '깐까나게 고르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왔는지 측정하고 있소이다.”측우기를 발명하기 전에는 땅을 파서 흙이 젖어 있는
깊이
를 보고 비가 온 양을 측정했다. 하지만 정확하지 않아서 문제였다.“비를 받는 통을 구리나 철로 만들어서 재면 되는 것 아니요?”고르리 박사는 그만 측우기 발명에 대해 말을 꺼내고 말았다. 그 때였다. 악당 ... ...
다양한 눈으로 바라본 세상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두 눈으로 상을 맺는 것은 다른 영장류와 포유동물에서도 볼 수 있는 특징으로, 거리와
깊이
를 판단할 수 있게 한다. 빛은 투명한 각막을 통해 눈으로 들어가는데 각막 바로 안쪽에는 홍채가 있다. 홍채는 동공을 형성하는 얇은 근육으로 빛의 양이 많을 때는 이완해 동공을 작게 만들고, 빛의 양이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