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학"(으)로 총 2,70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근의 공식과 평양냉면수학동아 l2015년 07호
- 수학자들은 실수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갈증을 허수로 해결해냅니다. 오늘날 수학과 물리학에서 허수는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입니다.미식가의 조건, 평양냉면16세기 실력 있는 수학자의 조건이 ‘근의 공식을 아느냐’였듯이, 오늘날 한국의 미식가의 조건은 평양냉면입니다. 맛집 좀 다닌다고 ... ...
- [Knowledge] 내 이론은… 그런 뜻이 아니라고!과학동아 l2015년 07호
- 1930년대에 독일에서 나치가 정권을 잡으면서 일반상대성이론은 대표적인 유대인 물리학으로 폄훼됐다. 유대인인 아인슈타인의 이론을 독일의 대학에서 강의하는 것은 불법이었다. 비슷한 시기에 소련에서도 마르크스-레닌주의와 일반상대성이론이 충돌한다고 여겨서, 적극적으로 ... ...
- [Knowledge] 전쟁의 포성 속에서 우주의 비밀에 접근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이론으로 자리를 잡아가기 시작했다.김재영_zyghim@kaist.ac.kr서울대 물리학과에서 ‘물리학기초론’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뒤, 독일 막스플랑크 과학사연구소 초빙교수, 서울대 강의교수, 이화여대 HK연구교수를 거쳐, KAIST 부설 한국과학영재학교에서 과학의 역사와 철학을 가르치고 있으며, ... ...
- [2015 과학동아 사이언스 바캉스] 7월25일 과학자와 함께하는 지적인 휴가!과학동아 l2015년 06호
- 휴가와 방학이 겹치는 7월 주말 하루 동안 다채로운 과학 강연을 선사하는 행사입니다. 현대물리학과 일반상대성이론, 첨단기술의 최전선을 최고의 전문가와 함께 만날 수 있습니다. 서울대 공대 교수와 함께 하는 전공 탐색과 다양한 과학 문화 행사도 열립니다 ... ...
- 논문 한 편의 저자가 1014명?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명인 초파리 유전체 분석 논문이 실렸다. 입자 가속기와 같은 거대 장비를 사용하는 이론 물리학 분야에서는 종종 발생하는 일이지만, 생물학 분야에서는 인간 게놈 연구와 같은 범국가적인 연구 프로젝트가 아닌 한 매우 드문 일이다.저자 1014명 중에는 대학원에 진학하지 않은 학부 학생이 900명 ... ...
- 10억 분의 4의 가능성, 뮤온 붕괴 현장 포착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생성되자마자 곧바로 다른 물질로 변해버린다. 물리학에서는 이를 ‘붕괴’라고 한다. 물리학자들은 그동안 B중간자가 뮤온이라는 물질로 붕괴할 것으로 예측해왔지만, 그 가능성이 10억 분의 4 정도로 매우 낮아 지금까지 실험으로 증명하기는 어려웠다. 연구팀은 이 붕괴 반응을 6시그마(99.9999998% ... ...
- 심성 꼬인 태양이 버럭 하다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바로 위 영역에서 100만K까지 급격히 가열 된다. 원인은 아직 미스터리인데, 많은 태양물리학자 들은 작은 규모의 자력선 재결합 현상이 일어나 자기력 에너지가 열에너지로 전환됐기 때문으로 보고 있 다(이를 나노플레어라고 한다). 작년 ‘사이언스’ 논문 은 이런 현상들을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 ...
- 상수의 탄생 ⑤ 난세가 만든 영웅, 플랑크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수상한 검은 물체까만 종이가 검은 이유는 대부분의 가시광선을 흡 란 가마에 작은 구멍을 내보면, 구멍이 검게 보인다.까만 종이는 가시광선 영역에서만 검지만, 큰 ... 만병통치약이었지만, 그 약은 우리를 요 지경 세상으로 이끌었다. 그곳이 바로 양자역학과 현 대물리학의 세상이다 ... ...
- [Knowledge] 7전 8기, 일반상대성이론의 탄생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물리학-수학 분과에 ‘중력장 방정식’이라는 논문을 발표했고, 1916년 3월 20일에는 ‘물리학 연보’에 논문 ‘일반상대성이론의 기초’를 제출했다.역사적인 이론이 탄생한 순간이었다. 아인슈타인은 이 최종결과에 적이 만족했다. 여기서 계산한 수성의 근일점 이동은 이미 오래 전에 정밀하게 ... ...
- [지식] 2015 아벨상 수상자 존 내시, 루이스 니렌버그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몰두해 다양한 업적을 남겼다.니렌버그는 캐나다 몬트리올의 맥길대에서 수학과 물리학을 공부했다. 뉴욕대 쿠란트 수학연구소에서 1949년 교수 직위를 받고 1999년까지 일했다. 그는 이번에 공동으로 상을 받는 존 내시를 ‘천재’라고 표현하며 평소 부러워했다고 한다.대신에 니렌버그가 가진 ... ...
이전8384858687888990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