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유물
물건
물체
목표
대상물
객관
객체
d라이브러리
"
사물
"(으)로 총 1,092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도 말을 할까?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표현할 줄 안다. 표현 방법은 2백16개로 이루어진 기호판을 누르는 것이다. 이 기호는
사물
의 모양과 전혀 다른 시각적 이미지로 이뤄졌다. 즉 사과의 모양과 전혀 다른 사과를 의미하는 문자를 안다는 말이다. 또한 기호판에는 형용사와 감정까지 포함돼 있어서, ‘좋다’, ‘나쁘다’라는 뜻까지 ... ...
② 양자론 구축의 대들보 빛과 물질의 이중성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튕겨 나온다. 파동과 입자의 성질은 이렇게 상반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어떤
사물
이 입자이면서 동시에 파동일 수는 없다.그런데 양자론의 파동-입자 이중성은 단순하게 말하면 파동인줄 알았던 빛이 입자성, 즉 물질의 특성을 가지고, 입자인줄 알았던 물질이 파동성, 즉 빛의 특성을 가진다는 ... ...
Ⅰ. 지평선의 보름달이 커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9호
물체를 봤을 때 비슷한 분석을 하게 된다.그런데 인간은 자신의 뇌 속에 들어 있는,
사물
을 인식하는 알고리즘을 쉽게 확신한다. ‘보는 것이 믿는 것이다’라는 말이 이를 대변한다. 그러나 좋지 못한 습성이다. 사실은 본대로 믿는 바람에 속는 경우도 허다하다.착시가 대표적인 경우다. 눈은 ... ...
색맹 병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이 색과 저 색이 다르다고 구분하는데 별 어려움을 못느낀다고 한다. 즉 색각이상자라도
사물
의 형태나 명암을 식별하는 것은 정상인과 동일하며, 단지 손상된 원추세포가 담당하는 색만 정상인이 보는 그대로 인식하는 것은 아니라는 의미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적록색각이상자 대부분은 정도가 ... ...
잘못된 머피의 법칙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인해 한번 잘못 인식된 선입견은 좀처럼 바로잡기가 힘들다. 만일 그 통계의 대상이
사물
이 아닌 사람이라면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우리 현실에는 실제로 잘못 인식된 선입견이 너무나도 많이 존재한다는 것을 이 글을 읽으며 충분히 인식했을 것이다. 그릇된 통계로 인한 잘못된 생각의 틀을 ... ...
① 시각 : 도로 상태 보며 핸들 조절하는 무인자동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있는 영역을 검출할 수 있다. 또 협각 카메라는 인간이 글씨를 보는 경우처럼 구체적인
사물
을 인식하는데 쓰인다. 게다가 코그의 눈은 안구운동 기능을 갖추고 있어 움직이는 물체가 나타나면 그 방향으로 시선을 돌릴 수 있다. 앞으로는 코그에게 눈으로 보고 손으로 물체를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을 ... ...
측우기·수표·풍기죽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큰바람(大風)풍속은 어떻게 측정했을까. 기상학에서는 풍속 측정도구가 없을 때 주변
사물
의 움직임으로 풍속을 측정하는 이론이 쓰인다. 뷰퍼트(Beaufort) 풍력계급은 12단계로 풍속을 분류하는 예이다. 1단계는 바람이 거의 없어 연기가 연직으로 상승한다. 2단계는 바람이 얼굴에 느껴지고 나뭇잎이 ... ...
화담 서경덕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366일’이라는 원리를 스스로 터득했다고 한다. 또한 열 여덟 살 때는 대학(大學)의 ‘
사물
을 탐구해서 앎에 이른다’는 대목에서 깨우침을 얻고, 이후에는 자기가 모르는 것을 벽에다 써 붙여 놓고 밤낮으로 그것을 보면서 원리를 깨닫게 될 때까지 궁리했다고 한다.이렇듯 어려서부터 자연에 대한 ... ...
3. 평면나라에서 공간나라로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편입된다.사람의 눈은 보통 원근을 구분할 줄 아는데 이는 사영기하적으로
사물
을 보기 때문이다.레오나르도 다빈치의'최후의 만찬'이 아름다운 것도 사영기하학적으로 원근법이 완벽하게 구현됐기 때문이다.현재 디지털 애니메이션으로 불리는 것들도 사영기하학 없이는 탄생할 수 없는 분야다 ... ...
지구는 얼마나 클까?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인간에게 공포심을 주려는 것으로 믿고 있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림자의 모양은
사물
의 생김새를 그대로 본 딴다는 걸 알고 있었다. 그래서 월식 때 달 표면에 서서히 드리워지는 그림자를 관찰하며 지구의 모습을 가늠해 볼 수 있었다. 밝게 빛나던 보름달이 약간은 주황색으로 물들며 월식이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