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자
계집
여인
숙녀
여성
d라이브러리
"
암컷
"(으)로 총 992건 검색되었습니다.
쥐의 생체시계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연구진은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N에틸 N니트로소 요소를 주입한 수컷쥐와 처리하지 않은
암컷
쥐 사이에서 자식을 얻었다. 그 결과 3백4마리 중 한마리만이 24.8시간인 것이 있었다. 이 쥐가 가진 유전자를 '시계유전자'라 이름 짓고 다시 교배시켰다. 여기서 태어난 N2에는 생체시계가 보통 것보다 긴 ... ...
(1) 세포 상호 의사소통, 생체기능 조절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큰 역할을 하는 유인물질이다. 흰개미의 여왕이 분비하는 여왕물질은 다른 미성숙
암컷
의 난소발육을 억제한다.꿀벌에서도 마찬가지로 여왕을 핥은 일벌로부터 입을 통하여 여왕물질이 무리 전체로 전달되어 여왕의 존재가 인식된다. 여왕이 죽으면 여왕물질이 없어지고 무리는 새로운 여왕을 ... ...
척추동물 수컷은
암컷
에서 진화했다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남기고 있다면 생물학자는 수컷과
암컷
의 '차이'에 눈을 돌릴 뿐 아니라 좀 더 수컷과
암컷
의 '유사성'에 초점을 맞춰야 할지도 모른다고 그는 주장한다. 앞으로 이 이론이 더 많은 연구와 검증을 거치면 동물 성의 본질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크루스 교수는 말한다 ... ...
중절 태아의 난세포로 체외수정 성공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수 있다고 한다.이 기술자체는 지금까지 그 가능성이 예측돼온 것이다. 포유동물의
암컷
태아에는 이미 난소와 난세포가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난세포는 아직 미숙해서 수정능력은 없다. 따라서 이 미성숙 난세포를 성숙시켜 수정 능력을 높이는 작업이 필요하다.난소에서 난세포를 ... ...
2. 기형아치료 새 생물 창조 등 의학 육종학의 새 전기 마련
과학동아
l
1994년 03호
관한 연구중 얼룩무늬 고양이에 관한 아주 오랜 유전학적 연구가 있다. 얼룩무늬는 유독
암컷
에만 나타나고 수컷에는 나타나지 않는다. 암코양이의 얼룩무늬가 가진 색소 유전자에는 검정색을 만드는 유전자와 노랑색을 만드는 유전자가 있다. 두 유전자를 가진 염색체들은 피부세포로 분화하는 ... ...
갈라파고스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7백-8백 종에 이르는 식물 중 2백 50종이 희귀종이다.군함새 수컷은 발정기의
암컷
에게 잘 보이려고 붉은 목주머니를 크게 부풀리는 새다. 이 새들은 잡목이 우거진 곳에서 떼를 지어 산다.갈라파고스에서 흔한 조류로 푸른 발을 가진 신천옹을 들 수 있다. 이 새는 새끼에 대한 애정이 강하다. ... ...
설치류로부터 배우는 것
과학동아
l
1994년 02호
발전이 무척이나 기다려진다. 이것과 관련해서 생각나는 것은 우리가 자식을 키우는데
암컷
과 수컷 모두가 동등하게 열심히 일하는 북미산 들쥐를 본받는 것이 현명하다는 것이다. Half of all the mammals in the world are of the order Rodentia, living almost everywhere. We hum ...
동물잡종교배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수 있어야 실용화가 가능합니다. 발생률이 낮은 이유 중에는 앞의 염색체 문제 외에도
암컷
생식기도관내에서의 이종(異種) 정자 거부 반응으로 인한 정자 사멸도 원인이 된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교미를 한번도 하지 않았던 개체를 사용한 실험을 계획중이며, 산란용 메추리가 아닌 육용 ... ...
동물들의 의사교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내는 소리를 나미비아의 한 평원에서 재생시켰더니 금세 수컷들이 몰려들었다고 한다.
암컷
이 내는 초저음파 음파가 사방 30㎞ 내에 있던 수컷들에게 전달된 것.한편 하마의 초저주파 음파는 1989년 아프리카의 탄자니아에서 처음으로 녹음되었다. 이 소리의 첫 청취자는 미국 프래밍햄주립대학 ... ...
생물 - 동물들의 본능행동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분비한다. 이와 같은 성적 유혹은 포유류에서도 볼 수 있다. 많은 포유류들이 발정기에
암컷
이 독특한 향기를 뿜어 수컷을 유인한다.페로몬은 성적 유혹 외에 동료들간의 정보 전달에도 활용된다. 개미는 먹이를 발견하면 그 복부 끝에서 길잡이 페로몬을 분비하면서 집으로 돌아오는데, 동료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