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식
데이터
인포메이션
뉴스
자료
보도
information
d라이브러리
"
정보
"(으)로 총 8,054건 검색되었습니다.
[에디터노트] 환경 특집호를 시도하며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줄 가능성을 제기했습니다. 일본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사태에서는 일본의 불투명한
정보
공개를 중심으로 주요한 논란점을 짚어 봤습니다.두 편의 서사 작품도 기후 문제를 소재로 합니다. 해도연 작가가 쓴 신작 SF 단편 ‘랄로랑이’는 기후변화 대응에 실패한 인류의 미래를 아프면서도 ... ...
[특집] 식물, 이젠 피부에 양보하세요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또는 식물성인지를 구분하는 것인 만큼 협업을 통해 화장품 제조에 쓰일 비건 원료
정보
를 제공하고 있다”며 “제조사와 협력해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 이익을 얻도록 하는 것이 비건 인증의 목표”라고 설명했다. 내 손으로 배합 누구나 즐기는 비건 라이프비건 화장품은 전 세계에서 인기를 ...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논쟁, ‘투명성’에 주목해야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농도와 양뿐만 아니라 정확한 배출 시기와 깊이를 알아야 한다. 일본 근해의 해류 데이터
정보
도 필요하다. 2011년의 쓰나미 같은 천재지변에 대비하고 있는지도 확인해봐야 한다. IAEA는 국제사회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오염수 해양 방류의 계획, 실행 등 전 과정에 참여한다는 방침이다. 논란의 ... ...
“과학과 지식 공유 막아선 안 돼”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사이허브는 세계에 많은 질문을 던졌다고 생각한다”며 “사이허브에 사람을 살리는
정보
와 인류를 이끄는 지식이 담겨있다는 것만은 분명한 진실”이라고 덧붙였다 ... ...
골든타임 만드는 빅데이터와 숫자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어떻게 해야 할까요? 바로 ‘숫자’를 잘 다뤄야 한답니다. 하루에 발생하는 어마어마한
정보
는 컴퓨터에 입력되기 때문에 컴퓨터가 사용하는 언어인 숫자로 저장돼요. 또 컴퓨터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내용을 이해하려면 반드시 숫자를 다루는 ‘수학’을 알아야 한답니다. 박제남 인하대학교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보물을 품은 거인? 고대 유적의 비밀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마, 말도 안 돼! 범인은 관광객 중 한 명이라고요!”“바로 그겁니다. 제가 받은
정보
는 범인이 이곳에 잠입했다는 것뿐이었습니다. 저는 당연히 관광객으로 위장했을 거라고 생각했지요. 그게 실수였습니다. 범인은 그렁그렁 행성 주민으로 변장한 겁니다.”“증거가 없잖아요!”“한눈을 판 ... ...
[한페이지 뉴스] 척추동물 16종 완전한 표준유전체 공개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유전체를 이해해온 셈”이라고 설명했다. 유전체 비교 분석을 수행한 이철 서울대 생물
정보
및 집단유전학연구실 연구원은 “유전체를 100 염기쌍 크기로 쪼개 봤을 때 GC(구아닌-사이토신) 함량이 높은 영역일수록 허위 소실 오류가 많아졌다”며 “이런 허위 소실 오류와 허위 중복 오류를 ... ...
[이공계 잡터뷰] 의료기기도 데이터 시대, 데이터 과학자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데이터의 중요성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의료기기 등 전자제품뿐만 아니라
정보
기술(IT), 금융, 유통 등 대부분 분야에서 데이터를 활용해 소비자들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김 대리는 “최근 넓은 분야에서 활약하는 만큼 자신만의 전문분야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 ...
연립방정식으로 쑥쑥 AI 지능을 키워라!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두둥! 이곳은 대한민국에 있는 어느 인공지능(AI) 연구소야. 저기 기계학습 알고리듬을 탑재한 AI 로봇 ‘아이폴리’가 곧 탄생하려고 해! 아이폴리는 반복적인 경험을 통해 스스로 학습하며 똑똑해질 거야! 이때 중요한 요소는 데이터야. 데이터를 추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규칙을 찾아내 결과를 예 ... ...
기계학습으로 본 AI의 세계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이렇게 사람이 일일이 규칙을 정해줄 수 없는
정보
사이의 규칙을 찾고 새로 입력된
정보
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확히 찾아내기 위해 기계학습이 필요하게 된 거죠.기계학습은 주로 통계적인 방법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감기를 진단하는 컴퓨터는 ‘감기에 걸린 사람은 대부분 열이 많이 나고 ... ...
이전
83
84
85
86
87
88
89
90
91
다음
공지사항